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국문학사] 가사, 잡가

by 소이나는 2012. 9. 24.
반응형


 

가사, 잡가


<1> 가사


Ⅰ. 특색

 1. 장가 형태의 교술적 시가

 2. 4음보격

 3. 운문 산문의 중간

 4. 과도기적 갈래

 5. 다양한 성향

 6. 발생 - 상춘곡(다수설), 서왕가


조선 전기

조선 후기

사대부

평민

정격 가사

장편화, 산문화, 서사화

음풍농월, 연군 서정적

현실적


시  조

가  사

단가, 서정, 구수, 행의 제한

교술적, 우세, 4음보의 연속체, 장가

음수율, 음보율, 작자층, 종구가 유사

서로 상보적 관계



Ⅱ. 작품


1. 상춘곡 (정극인)

 1) 봄 경치

 2) 가사 문학의 효시


2. 만분가 (조위)

 1) 유배 가사의 효시

 2) 무오사화 때 지음


3. 관서별곡 (백광홍)

 1) 기행 가사의 효시

 2) 관서의 아름다움


4. 면앙정가 (송순)

 1) 산수의 아름다움

 2) 상춘곡에서 성산별곡으로 넘어가는 교량적 역할


5. 선반가 (권시 부인) - 내방가사의 효시 (아들 영접)


6. 정철

(1) 성산별곡 - 송강 가사의 처녀작, 성산의 풍물

(2) 관동별곡 - 금강산, 산수미

(3) 사미인곡 - 충신

(4) 속미인곡 - 두 여인의 문답 (후 사미인곡)

cf) 김만중이 극찬한 3개 -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 그 중 최고 = 속미인곡


7. 규원가 (허난설헌) - 남편을 기다리는 여자의 애원


8. 고공답주인가 (이원익)


9. 박인로

 (1) 태평사 - 왜란 끝나고

 (2) 선상탄 - 전쟁의 비애

 (3) 누항사 - 안빈낙도

 (4) 사제곡, 독락당, 영남가, 노계가


10. 농가월령가 (정학유) - 가장 규모가 큰 월령체 가요


11. 일동장유가 (김인겸) - 일본에 가서 견문을 적음 - 최장편의 가사


12. 만언사 (안조환) - 귀양


13. 봉선화가 (정일당 남씨) - 여성의 생활 감정 노래


14. 북천가 (김진형) - 명천 귀양


15. 연행가 (홍순학) - 청








<2> 잡가


Ⅰ. 특징

 1. 조선 후기, 전문 소리꾼, 유흥 노래

 2. 좌창 이라고도 함

 3. 파격이 심하다.

 4. 대중적 혼합가요

 5. 서민, 일부 양반 층


Ⅱ. 종류

 

1. 서도 잡가

 (1) 황해도, 평안도 - 탄식 형

 (2) 수심가, 영변가


2. 경기 잡가

 (1) 서울, 경기 - 맑고 깨끗

 (2) 휘몰이 잡가 - 빠름 - 맹꽁이 타령, 바위 타령

 (3) 십이잡가

  1) 순수 서민층

  2) 유산가, 적벽가, 선유가, 평양가, 제비가, 월령가, 방물가, 출인가, 십장가, 형장가, 집장가, 소춘향가


3. 남도 잡가  - 육자배기, 새타령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