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국문학사] 고려 시대의 시가 (속요, 경기체가)

by 소이나는 2012. 9. 23.
반응형
 



고려 시대의 시가


<1> 향가계 여요


 1. 향가가 고려 속요로 넘어가는 과정에서의 노래


 2. 도이장가

  1) 작가 - 예종

  2) 8구체

  3) 김낙, 신숭겸 추모

  4) 출전 - 평산 신씨 장절공유사


 3. 정과정

  1) 작가 - 정서(의종)

  2) 10구체

  3) 임금의 부름이 없자 억울함 하소연

  4) 출전 - 악학궤범


<2> 속요 (고려가요, 장가)


Ⅰ. 특색

 1. 평민, 민요적 성격

 2. 분절체, 후렴구, 반복구, 감탄사

 3. 3음보

 4.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남녀상열지사, 사리부재


Ⅱ. 작품

 

 1. 효심

  (1) 사모곡 - 효심 “위 덩더둥셩”             

  (2) 상저가 - 노동요 (방아), 효심


 2. 송도

  (1) 동동

   1) 월령체(달거리) 노래의 효시

   2) 자연, 풍습, 남녀 애정

   3) “아으 동동다리”

  (2) 정석가 - 임의 만수무강   “유덕신 님믈 여ㅣ  와지이다”

   

 3. 별리

  (1) 가시리 - 귀호곡, 사랑 이별  “위 증즐가 대평성대”

  (2) 서경별곡 - 대동강 배경 이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4. 청산별곡 - 현실도피


 5. 처용가 - 축사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6. 남녀상열지사

  (1) 쌍화점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 거디러 다로러”

  (2) 만전춘 - 시조의 기원

  (3) 이상곡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두너즈세 너우지


 7. 유구곡 - 뻐꾸기를 좋아하는 심정 노래 ‘벌곡조’



<3> 경기체가


Ⅰ. 특색

 1. 무신 난 이후, 신흥 사대부 여흥, 득의 만만한 생활 태도 중심, 건국이념, 도적적 이념

 2. 분절체, 3음보

 3. 전 대절, 후 소절의 6행

 4. 이두식 후렴구

 5. 교술 장르

 6. 주정성 가미

 7. 가사 문학의 기원

 8. 시사적 의미


Ⅱ. 작품

 

1. 고려시대

 (1) 한림별곡 - 경기체가의 효시

 (2) 관동별곡

 (3) 죽계별곡


2. 조선 전기

 (1) 악장형태

  1) 상대별곡 - 궁중 연락

  2) 화산별곡 - 삼각산 (한양 찬양)

 (2) 불우헌곡 - 성은, 한정 노래

 (3) 화전별곡 - 해남 유배시 풍경, 술

 (4) 도동곡 - 안향의 위엄, 덕

 (5) 독락팔곡 - 산수 사이에 노닐며 도, 최후






속요

경기체가

고려, 분연형태, 3음보, 후렴구

평민, 우리말

남녀상열지사

애환 서정,

시조의 기원

귀족, 한자, 이두식

악장으로 전승

자부심, 득의

가사의 기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