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 려 |
조 선 |
합의 기구 |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
의정부, 비변사 |
왕명 출납 |
중추원 |
승정원 |
서 경 |
어사대, 중서문하성의 낭사 |
사헌부, 사간원 |
감찰 기관 |
어사대 |
사헌부 |
국립 대학 |
국자감 |
성균관 |
군사 조직 |
2군 6위, 주현군, 주진군 |
5위(5군영), 영, 진군(속오군) |
지방 통제 |
기인 제도 |
경저리 |
법 률 |
관습법 중심 |
성문법 (경국대전) |
행정 조직 |
5도 양계 |
8도 |
도 책임자 |
안찰사 (도내 순찰) |
관찰사 (감찰, 행정, 사법, 군사) |
수 령 |
파견 못하는 곳이 많음 |
모든 군현에 파견(권한증가) |
수령 견제책 |
임기제·상피제 원칙 |
임기제·상피제 엄격 적용 |
향촌 구조 |
주현 - 속현 - 향소부곡 |
현-면-리, 향소부곡소멸, 양인화 |
지방 통제 |
호족 자치 |
중앙 집권 |
지방관 파견 |
속현이 주현보다 많음. |
모든 군현에 파견 |
향촌 공동체 |
향도, 두레, 계 |
향약, 두레, 계 |
제 도 |
5도 양계/주현/촌 |
8도/부목군현/면통리 |
행정 편제 |
호족의 신분적 서열 |
인구, 토지의 대소에 따름 |
향 리 |
외역전 지급, 과거응시, 수취권 장악 |
아전으로 세력 축소 |
지방 세족 |
사심관 |
경재소, 유향소 |
T) 다음은 조선 시대 공신 수에 관련된 자료이다. 이를 토대로 옳은지 추론하시오.
1) (가), (나), (다)는 왕이 교체된 후 신하들에 대한 논공행상의 성격으로 실시되었다? (X) 2) (나), (다), (라)는 군사적 변란을 잠재운 공을 기려서 시행되었다? (X) 3) (다)의 명분은 국왕이 폭정을 했을 때 유교 정치 원리에 입각하여 신하가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이다? (O) 4) (라)의 농공행상은 결과적으로 대외적 위기를 초래하였다? (O)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