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Ⅰ. 명
1. 외교 정책의 원칙 - 사대교린 정책
2. 국초의 대명 관계
(1) 태조
1) 요동 정벌 추진 - 정도전이 중심 진도를 작성, 성보를 수리 - 불편하기도 함
2) 고명·금인 - 명이 왕위를 승인하는 고명과 금인을 보내지 않아 권지고려국사라는 칭호 사용
T) 조선 초기 지식인들은 만주를 우리 국토의 일부로 생각했다.
(2) 태종 - 사이가 좋아짐
3. 사절의 파견
(1) 목적
1) 정치적 - 왕권의 안정, 국제적 지위 확보
2) 경제적 - 문화 외교, 공무역
(2) 무역
1) 수출 - 마필, 인삼, 화문석
2) 수입 - 견직물, 서적, 약재, 문방구, 도자기
3) 폐단 - 명의 과다한 금은 요구를 피하기 위해 금·은광을 거의 폐쇄
4. 대명 관계의 변화 - 지나친 친명정책
정기 사찰 |
부정기 사찰 | ||
하정사 |
정월 초 인사 |
주청사 |
특별한 요청 |
성절사 |
황제 생일 |
사은사 |
중국에 감사할 일 |
천추사 |
황후·태자 생일 |
진하사 |
황제 등극 |
동지사 |
동지에 파견 |
진위사 |
황제 황후 상사에 조문 |
* 표면상 : 사대 외교
실제상 : 국가적 실리 추구
Ⅱ. 여진
1. 여진족의 내력 - 부족 단위 생활, 반농반목
2. 대여진 정책
(1) 교린 정책 - 회유, 토벌의 양면 정책
(2) 회유책
1) 귀순 장려
2) 유숙소 설치 - 북평관 (국경 무역, 조공무역)
a. 태평관 - 조선에 있던 명이 유숙소
b. 동평관 - 일본
c. 북평관 - 여진
d. 회동관 - 명에 있던 조선의 유숙소
3) 무역소 설치 - 경성, 경원에 두고 무역 허락
(3) 강경책 - 진, 보를 설치, 여진족의 본거지를 토벌
1) 태조 - 개척
2) 세종 - 최윤덕·이천 등을 보내어 4군을 설치 / 6진 개척 (김종서), 압록강, 두만강 경계
a. 4군 - 여연, 우예, 자성, 무창
b. 6진 - 온성, 경원, 종성, 경흥, 회령, 부령
3) 야연사준도 - 김종서가 4군과 6진을 개척의 모습을 조선 후기에 그린 것
4) 세조·성종 - 신숙주, 윤필상이 여진 토벌
(4) 북방 사민 정책
1) 자치적 지역 방어 체제를 확립함과 동시에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함
2) 이주 시킴 (태종 ~ 중종)
3) 토관 제도 시행 - 토착민을 토관으로 등용
고구려 천리장성 |
부여성 ~ 비서성 |
삼국통일 |
대동강~원산만 |
고려 태조 |
청천강~영흥만 |
고려 천리장성 |
압록강~도련포 |
공민왕 |
압록강 중류 ~ 함남 |
조선 세종 |
압록강 ~ 두만강 |
[야연사준도] [4군 6진]
Ⅲ. 일본, 동남아
1. 일본
(1) 강경책
1) 왜구의 침략
2) 조선의 대비책
3) 쓰시마섬 정벌 - 200여 척 함대 건조해 이종무가 토벌 (1419)
“쓰시마라는 섬은 보디 우리 당이다. ~” - 동문선 -
(2) 회유책
1) 교린 정책 - 제한된 조공 무역
T) 조일 외교는 중앙 정부끼리의 적례 관계 교린과
대마도를 중심으로 하는 기타 세력과의 기미 관계 교린으로 정비되었다.
2) 조공 무역
a. 삼포 개항 - 부산포(동래), 염포(울산), 제포(진해) ➝ 세견선 왕래 (X- 염포)
b. 계해약조(세종) - 무역양이 많아져 제한하는 조치 - 세견선 50척, 세사미두 200석
3) 관직을 수여하지는 않음
cf) 해동제국기 - 신숙주 - 일본 다녀온 후 씀
(3) 섬유, 생활필수품(쌀,콩), 비단, 인삼, 서적, 무명 수출
(4) 일본과의 관계
1) 1419 세종 - 쓰시마 정벌 (이종무)
2) 1426 세종 - 3포 개항 (세견선 왕래, 부산·염포(진해), 제포(울산) )
3) 1443 세종 - 계해약조 (50척, 200석)
4) 1510 중종 - 삼포왜란 - 비변사 설치 (임시)
5) 1512 중종 - 임신약조 - 제포만 개항, 세견선 25척, 세사미두 100석 (반으로 줄임)
6) 1544 중종 - 사량진 왜변
7) 1547 명종 - 정미약조 - 규정 위반에 대한 벌칙 강화
8) 1555 명종 - 을묘왜변 - 국교 일시 단절, 비변사 상설화 기구화
9) 1592 선조 - 임진왜란 - 비변사 최고 기구화
10) 1597 선조 - 정유재란
11) 1609 광해군 - 기유약조 - 부산포만 개항, 세견 20척, 세사미두 100석 - soy 한국사
2. 동남아시아
(1) 조선 초 - 류큐(오키나와), 시암(태국), 자와(자바 - 인도네시아)와 교류
(2) 사신, 토산물, 조선의 선진 문물 전파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1-3. 붕당의 출현 (붕당정치, 이조전랑, 조선시대 학파의 분화) (2) | 2012.05.16 |
---|---|
[조선] 11-2. 사화, 조광조 (사림,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0) | 2012.05.16 |
[조선] 11-1. 조선시대 - 훈구파, 사림파 (관학파, 사학파) (0) | 2012.05.16 |
[조선] 10. 호란과 북벌론 (정묘호란, 병자호란, 가도 사건, 이괄의 난, 북벌론, 효종, 나선정벌) (0) | 2012.05.16 |
[조선] 9. 임진왜란 (사천 전투, 정유재란, 이순신, 의병, 행주대첩, 진주대첩, 광해군의 중립외교, 인조반정, 비격진천뢰, 판옥선, 해전도, 공명첩, 거북선, ) (0) | 2012.05.15 |
[조선] 7. 조선 군사조직, 군역제도 (양인 개병제, 보법, 봉족, 5위, 갑사, 내삼청, 영진군, 제승방략, 속오군, 잡색군, 내금위) (13) | 2012.05.15 |
[조선] 6. 양반 중심의 향촌 사회 (유향소, 경재소, 향청, 경저리) (0) | 2012.05.15 |
[조선] 5-1. 참고) 고려와 조선의 정치 조직 비교 표 (0) | 2012.05.14 |
[조선] 5. 조선 지방 행정조직 (관찰사, 임기제, 상피제, 향리, 수령, 유수관, 조선 촌락, 조선 8도) (5) | 2012.05.14 |
[조선] 4. 조선 중앙 정치 조직 (조선 관직, 당상관, 당하관, 참상관, 참하관, 윤대, 구언, 경연, 대간, 양사, 경관직, 숭문원, 교서관, 권당, 한품서용제, 외관직, 행수법, 의정부, 6조, 한성부, 삼.. (4) | 2012.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