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1-3. 붕당의 출현 (붕당정치, 이조전랑, 조선시대 학파의 분화)

by 소이나는 2012. 5. 16.
반응형

 

 

 

1. 시대적 배경 - 선조가 즉위하며 사림 주도

  

 2. 사림 세력 내의 갈등

  (1) 원인 - 척신 정치의 잔재를 어떻게 청산 할 것인가

  (2) 명종 이후 기성 사림들은 개혁에 소극적이었음

  (3) 명종 때 신진 사림은 적극적


 3. 붕당의 시작 (선조, 정당정치)

사 화

붕 당

16세기에 발생

17세기에 격화

훈구·사림의 대립

사림 자체의 분열

일시적 대립

장기적 투쟁

중앙에서 대립

지방이 근거

  

  (1) 붕당 의미

    1) 붕 - 붕우관계→ 같은 스승에 사제 : 학연성, 지연성

    2) 당 - 파당

    3) 학연과 지연을 매개로 의식과 정치 이념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 당을 이룬 것

    4) 언론 활동을 통하여 국왕의 신임을 얻어 국정을 주관하는 정치 형태

    5) 비판 세력이 공존하여 특정 붕당의 독주를 견제하고 산림의 의견을 국정에 반영할 수 있었다.

  (2) 배경

    1) 서인 (외척, 심의겸 - 척신 정치) vs 동인 (김효원 - 신진 사림) = 이조 전랑 직의 대립                (soy 한국사)

    2) 왕권약호, 비변사 기능 강화

  (3) 형성

    1) 서인 - (주기) 이이, 성혼 = 소극적

            - 백성 통치에 역점을 두어 제도 개혁을 통한 부국안민에 치중 (기호학파)

    2) 동인 - (주리) 이황, 조식, 서경덕 = 적극적

            - 자기 수양에 역점, 지배자의 도덕적 자기 절제로 부패방지 (영남학파)


 4. 붕당의 성격

  (1) 정파적 성격, 학파적 성격을 동시에 가짐

  (2) 신권 우위 정치 - 16세기 왕권이 약화되고 사림 정치가 전개

  (3) 공론에 의한 정치 추구




 

 

* 이조 전랑

  1. 정5품인 정랑, 정6품인 좌랑 - 문관을 천거하고 전형을 하는 큰 권한

  2. 삼사의 당하관 인선을 좌우, 삼사의 의견 대변

  3. 퇴임시 스스로 후임을 천거

  4. 반드시 홍문관의 젊은 유신 중에서 명망과 덕이 있는 인물을 엄선

      ➝ 홍문관을 거치지 않고는 전랑에 임명될 수 없다.

  ☞ 이중환 <택리지 복거총론 인심조>  : 이조전랑

    “권력은 곧 三公과 같기 때문에 대소의 관직이 서로 유지되었고, 상하 관직이 서로 견제하여 삼백 년 동안 큰

     권세를 가진 간사스러운 신하가 없었고, 신하가 세력에 커서 임금이 자유롭지 못한 폐단이 없었다. 이것은

     조종조에서 고려 왕조의 왕이 약하고 신하가 강했던 폐단을 거울삼아 말없이 예방하는 속셈을 은연중에

     내포시킨 것이다.”

 

* 서인·동인

   1) 군자소인론 - “동인은 옳고 서인은 그르다.”

   2) 양시양비론 (이이) - 동·서인 모두 시와 비가 있다.

동 인

남 인

북 인

이황

조식, 서경덕

온건파

급진파


서 인

남 인

대신이 주도

왕권강화, 정책 비판 기능

부국강병

상업, 기술 발전에 호의

수취 체제 완화, 자영 농 육성

상업·기술 발전에 소극

노비 속량, 서얼 허통에 적극적

기존 신분 질서 유지

 

* 남인

  1) 중소 지주 및 자영농의 안정을 기하려 하였다.

  2) 노비 속량과 서얼 허통에 적극적

  3) 권력 구조에 있어 왕권을 강화하려는 입장

  4) 청에서 내란이 일어나자 강화도에 성을 쌓고 수도 방위를 강화

 

* 기성 사림

  1) 가장 먼저 붕당을 이룸

  2) 이이와 성혼의 문인들이 가담

  3) 척신정치 잔재 청산을 둘러싸고 기성사림(소극적)과 신진사림(강한 사림정치)으로 분화되었다.

 

      







[학파의 분화]

 

1. 사대부 ➝  2. <고려말>[급진개혁파] 정도전, 조준 ➝   3. <조선초기> 관학파 ➝ 권근(집현전) ➝

                [온건개혁파] 정몽주, 길재 ➝                 사학파 ➝ 김숙자 ➝ 김종직

 

4. <성종~ 연산군~ 명종> 사화 : 훈구파 vs 사림파 ➝  5. 선조부터 사림끼리 대립 (척신정치, 이조전랑) ➝

 

6. <조선중기>  동인 - 영남학파 (이황, 조식, 서경덕) : 적극적 ➝

 

    정여립 모반사건, 건저의 사건 : [남인] (유성룡, 이원익) / [북인]조식, 서경덕

 

    서인 - 기호학파 (이이, 성혼) : 소극적 ➝

 

7. <광해군> 북인 정권 (중립외교)  ➝ 8. <인조> 서인 집권 (친명배금) : 붕당 진전 (남인도 참여) = 호란 발생  ➝

 

9. <효종> 서인 (북벌추진, 어영청) ➝ 10. <현종> 남인 (예송논쟁 : 서인과 남인이 대립) ➝

 

11. <숙종> 서인 (경신환국, 붕당 변질) ➝ 서인 중 [노론] 송시열(대명) / [소론] 윤충  ➝

 

12. <장희빈> 남인 (기사환국) ➝ 13. <인현황후> 서인 (갑술환국) ➝ 14. <경종, 장희빈 子> 소론 (신임옥사) ➝

 

15. <영조, 숙빈 최씨 子> 노론 (탕평책) - 이인좌의 난, 사도세자, 나주 괘서사건 ➝

    

    노론 중 [벽파] 사도세자 비판/ [시파] 옹호 ➝ 16. <정조> ➝ 17. <세도정치 - 순, 헌, 철> 노론(외척)

 


 

 

[조선] 11. 조선시대 -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예송 논쟁, 선조, 광해군, 현종, 기해예송, 갑인예송, 건저의 사건, 정여립모반사건, 회퇴변척)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5. 조선시대 성리학적 사회 질서의 강화 (서원, 향약, 경연, 서연, 상소, 구언, 예학, 족보, 보학, 소수 서원)  (0) 2012.05.18
[조선] 14. 조선시대의 향촌사회 (유향소, 사족, 향안, 향회, 향규, 향약, 오가작통제, 촌락, 두레, 석전, 향도)  (0) 2012.05.17
[조선] 13. 조선의 사회 정책과 법률 제도 (사창제, 상평창, 혜민국, 제생원, 대명률, 삼법사, 장례원, 포도청, 한성부, 의금부, 종법)  (0) 2012.05.17
[조선] 12. 조선시대 -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조선 신분제도, 양천제도, 반상제도, 중인, 신량역천, 천민, 서얼, 호적, 호패, 양반)  (2) 2012.05.17
[조선] 11. 조선시대 -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예송 논쟁, 선조, 광해군, 현종, 기해예송, 갑인예송, 건저의 사건, 정여립모반사건, 회퇴변척)  (0) 2012.05.17
[조선] 11-2. 사화, 조광조 (사림,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0) 2012.05.16
[조선] 11-1. 조선시대 - 훈구파, 사림파 (관학파, 사학파)  (0) 2012.05.16
[조선] 10. 호란과 북벌론 (정묘호란, 병자호란, 가도 사건, 이괄의 난, 북벌론, 효종, 나선정벌)  (0) 2012.05.16
[조선] 9. 임진왜란 (사천 전투, 정유재란, 이순신, 의병, 행주대첩, 진주대첩, 광해군의 중립외교, 인조반정, 비격진천뢰, 판옥선, 해전도, 공명첩, 거북선, )  (0) 2012.05.15
[조선] 8. 조선 전기의 대외관계 (유숙소, 무역소, 야연사준도, 삼포개항, 계해약조, 기유약조, 삼포왜란)  (0) 2012.05.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