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적 사회 질서의 강화
Ⅰ. 성리학적 명분론, 왕도 정치
1. 성리학적 명분론, 분수론
(1) 왕도 정치 구현
(2) 양천과 반상이 엄격히 구분 ➝ 가부장 중심의 가족 제도가 점차 보편화
(3) 지주 전호제 관철
(4) 존화양이 사상을 바탕으로 친명 정책 추진
(5) 성리학 외는 배척
(6) 사회질서 유지, 소작인과의 모순·대립 완화
2. 언론과 학문 중시
(1) 경연 - 국왕과 대신이 모여 학술, 토론
(2) 서연 - 세자와 대신이 모여 토론
(3) 상소 - 여론을 정책에 반영
(4) 구언 - 백관의 의견을 들음
Ⅱ. 예학, 족보의 보급
1. 예학의 발달
(1) 종족 내부의 의례를 규정하는 학문 (종법이 사라지고 생김)
(2) 삼강오륜, 상장 제례의 의식을 바로 잡는데 기여
(3) 보급
1) 16세기 중반 - 주자가례
2) 16세기 후반 - 가묘, 사당을 건립
cf) 16c 사림이 민간에 보급한 서적 - 소학, 삼강행실, 이륜행실, 주자가례 (X- 주례)
(4) 발달 - 17세기
1) 양란으로 예치(개인·사회·국가를 예로 다스리는 것)가 강조
2) 예학자 - 김장생 ‘가례집람’ / 정구 ‘오선생예설분류’
(5) 영향
1) 사람 간의 정쟁의 구실로 이용 - 예송
2) 양반으로서 신분적 우위 확보
cf) 사례편람에 의하면 조선시대에는 차례(茶禮)에 녹차 대신 숭늉이 올려 졌다고 한다.
☞ “천안 유생 조덕수는 어미 섬기기에 정성을 다하여, 집은 비록 가난하였으나 술과 고기의 봉양을 그치지 않았다.
하찮은 음식물을 얻게 되어도 차마 먼저 맛보지 못하고 반드시 소매 속에 넣어 와서 울렸다. 어미가 병으로
괴로워하자, 구슬프게 눈물을 흘리면서 변을 맛보기도 하였고, 어미가 죽자 상례에 관한 일을 한결같이 가례에
따랐으며, 장례를 마친 뒤 무덤의 결의 여묘에 살면서 마을을 떠나지 않았다. 몸소 제물을 장만하여
아침저녁으로 게을리하지 않았고, 3년간 죽을 먹었다.” ☞ 예학 발달 내용 <명종실룍>
2. 보학의 발달
(1) 종족의 종적이 내력과 횡적인 종족 관계를 확인 (족보 기록 암기)
(2) 양반지배체제의 강화
(3) 친족 공동체의 유대, 신분적 우위성, 가족 내력 기록
(4) 문벌의 과시, 가문권위 과시
(5) 붕당 구별의 자료
(6) 영향 - 양반 문벌제도 강화
(7) 족보 (조선 전기)
1) 종족의 종적인 내력과 횡적인 종족 관계를 확인시켜 주는 기능
2) 결혼 상대자를 구하거나 붕당을 구별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
3) 족보를 외우는 것은 양반이 지녀야 할 필수적 지식의 하나
4) 족보에는 파보, 대동보, 반성보 등이 있었다.
5) 반드시 아들을 먼저 기재하지 않고, 아들과 딸 중의 출생순으로 기재
6) 아들만이 아니라 딸의 후손도 모두 수록하여, 일종의 만성보 성격을 가졌다.
7) 딸의 경우에는 딸의 이름 대신 배우자(사위)의 이름을 기재하였다.
8) 족보 기재 방식은 아들과 딸의 재산 상속 방식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9) 일족 근원, 내력, 중시조의 사전, 시조 발상지, 범례, 계보표 등 기재
Ⅲ. 서원, 향약
1. 설립 배경 - 사림 세력 위축 뒤에 유향소의 기능을 강화하며 서원 설치 향약 제정
2. 서원
(1) 제사, 교육, 숭배, 추모, 향촌교화, 향음주례(손님을 모시고 잔치를 하는 의례)
(2) 향촌 사림을 결집, 향촌 안정, 학문발전 자극, 지방 양반자제의 교육이 목적
(3) 서당 기능 + 사당 기능 - 서현 봉사와 교육, 고려시대 이래의 사학인 서재에 선현을 봉사하는 사묘를 겸한 것
(4) 왜란 이후 급속히 발전
(5) 최초의 서원 - 단순 서재는 고려말, 사묘를 겸한 것은 중종 36년(1543)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
(6) 사액 서원- 이황의 건의로 소수 서원으로 사액되었다.
(7) 지방문화발달에 기여, 성리학 발달에 기여, 지방 유림의 집회소 기능
(8) 지방에서 사림이 성장할 수 있는 터전이 되었다.
(9) 뒤에는 붕당정치의 온상이 되기도 하였다.
(10) 17c - 향촌을 주도, 수렴하는 기구로 역할 확대
(11) 폐단이 생김
[소수 서원]
cf) 사우 - 특정 가문의 선조에 대한 제사를 담당하던 곳
☞ “진실로 선정의 자취가 남고 향기가 뿌려져 있는 곳, 예를 들어 최충, 정몽주, 길재, 김종직, 김굉필과 같은 이가
살던 곳에 모두 건립하게 될 것이며, 혹은 조정의 명에 의하고 혹은 사사로이 건립하게 될 것이며, 책을 읽고
학문을 닦는 것으로 하여 조정이 학문을 존중하는 기풍과 태평한 세상의 즐거운 교육이 빛나고 드높을 것입니다.”
<퇴계전서>
3. 향약
(1) 단결, 전통적 공동 조직, 미풍양속 계승, 삼강오륜 중심
(2) 덕목
1) 덕업상권 - 좋은 일은 서로 권장
2) 과실상규 - 잘못한 일을 서로 꾸짖는다.
3) 예속상교 - 올바른 예속 나눈다.
4) 환난상휼 - 재난과 어려움을 돕는다.
(3) 권선징악과 상호부조의 목적, 농촌자치를 위한 유교적 성격의 규약
성리학적 도덕규범을 강조하여 지주와 전호 사이의 대립을 무마시키는데 목적
(4) 중종 대 조광조 등에 의해 실시 - 여씨 향약 도입
(5) 전국적 - 이황 - 예안 향약 / 이이 - 해주 향약, 서원향약
(6) 사람이 약정에 임명, 회장격인 도약정, 간사격인 직월로 구성, 사족이나 수령이 주도
(7) 향촌 질서로 규율, 양반들의 권익을 유지하는 역할, 농민 교화, 신분질서의 유지를 꾀함, 양반질서 옹호
(8) 향약의 윤리규범은 사족과 농민 사이에 차별적으로 적용
(9) 정약용 - 향약의 폐단 비판
(10) 16c 전반에는 송 대의 여씨향약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주로 감사의 책임 아래 시행
(11) 농민 수탈 도구로 전락, 수령이 향촌 통치차원에서 시행한 적도 있다.
(12) 향약이 보급되며 국가의 농민 지배력이 약화 - 사림은 향약을 통하여 지방관보다 강한 영향력을 가졌다.
☞ “장부는 셋을 두고, 한 장부는 입약을 원하는 모든 사람을 기록하고, 한 장부에는 덕업이 볼 만한 사람을 기록하며,
다른 한 장부에는 과실이 있는 사람을 기록하는데, 이 일은 직월이 맡아서 하며, 모임이 있을 때 약정에게
고하고난 다음에 직월에게 넘긴다.” <율곡집 잡저>
T) 율곡이 만든 향약은 향촌 사회에서 신분제적 질서와 성리학적 윤리의 확립을 목표로 하면서도
상부상조를 위해 만들어진 전래의 계 조직을 향약 속에 흡수하여 소농민의 생활을 안정시키는데 주안을 두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