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 평민의 경제 활동
Ⅰ. 양반 지주의 생활
1. 양반의 경제 기반 - 토지, 노비 , 과전, 녹봉
2. 농장 경영 - 직접 경작 or 소작
3. 노비 소유
Ⅱ. 농민 생활의 변화
1. 농민 생활의 안정
(1) 농민 보호책
(2) 정부의 중농 정책 - 농업 기반 마련, ‘농사직설’, ‘금양잡록’(강희맹), ‘사시찬요’(강희맹) 등 간행 보급
* 농사직설 -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 - 삼남의 경험을 토대로, 독자적 농법 정리
* 사시찬요 - 4계절 농사법
(3) 양반들의 관심 증대 - 수리 시설 등 만듦, 농업기술도입, 자급자족적인 농업 중심의 경제 정책실시
2. 농업 기술의 발달 (전기)
(1) 윤작법의 일반화 - 조, 보리, 콩의 2년 3작 (밭농사) (cf. 고려 - 윤작법 보급)
(2) 이모작의 시작 - 남부지방 (일부 지역)
1) 건사리 (건경법) - 물을 대 주는 농법
2) 물사리 (수경법) - 무눈에 종자를 직접 뿌리는 농법
(3) 시비법 발달 → 휴경지 소멸
1) 밑거름과 뒷거름을 주는 방법 - 매년 농경지를 경작 가능 (연작 상경가능)
2) 농경지의 상경화 현상 확립
(4) 가을 갈이 농사법 - 보급
(5) 목화 재배 확대
(6) 작물 재배 - 면방직 기술의 발달 - 삼, 모시, 약초, 과수 soy한국사
(7) 저수 시설 확충 - 보 등 수차 보급
(8) 수경직파법 유행
(9) 쟁기, 낫, 호미 등 농기구 개량
cf) 이앙법은 고려 말에도 이용 (17세기 이후에 정부의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이앙법 일반화)
3. 농민의 몰락 - 16c 수취제도 폐단, 지주전호제 발달
* 농민 이탈 방지책
1) 구황촬요 보급 - 흉년 대비
2) 농민 통제의 강화 - 오가작통법, 호패법
3) 향약 시행 - 자치조직
<문제>
1. 이모작이 일부 남부지역에서 시작되었을 시기에 우리 최초로 농서가 편찬되었다? (O)
2. 어느 시기 인가? (1) 소(所)지역에서는 수공업이나 광업이 발달하였다. ☞ 고려시대 (조선에서 소수공업 소멸)
(2) 해동통보, 삼한통보 등의 화폐가 제작되었으나 유통은 부진하였다. ☞ 고려 숙종
(3) 사상의 성장으로 육의전이 쇠퇴하였다. ☞ 조선 후기
(4) 시비법의 발달로 휴경지가 소멸하고 남부 일부 지방에서 이모작이 시작되었다. ☞ 조선 전기
3. 조선전기에는 국경 지대에서 이루어지는 사무역을 중심으로 대외 무역이 발달하였다? (X) ☞ 공무역, 사무역
4. 다음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강구된 방안과 거리가 먼 것은? <2004 행시> “전근대 사회에서 주된 산업은 농업이었고, 농업을 담당하는 계층은 자영농과 지주의 땅을 빌려서 경작하는 소작농이었다. 지주층은 대체로 정치권력을 바탕으로 경제적 특권을 행사하였으므로 지주전호제는 끝없이 확대될 수 있었다. 따라서 국가의 일정한 보호 없이는 농민층은 끊임없이 소작농화 되거나 토지에서 이탈하여 유망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농업 생산력의 미발달로 재생산 구조가 취약한 상황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었다. 농민층의 유망 현상은 필연적으로 국가 재정의 악화를 초래하였다.” 1) 감무의 파견 2) 답험손실법 3) 의창, 상평창 4) 오가작통법 5) 보법 ☞ 5) 보법
5. 나말 여초와 여말 선초에 나타난 사회 현상 가운데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정치 지배 세력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2) 종래의 사상을 비판하는 사상 활동이 전개되었다. 3) 전통적 신분 질서가 동요하였다. 4) 일부 계층의 토지 소유 확대로 토지 제도가 문란해졌다. 5) 농업 생산력이 침체되고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 5)번
cf. 성리학적 경제관 관련 “검소한 것은 덕이 함께하는 것이며, 사치는 악의 튼 것이니, 사치스럽게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검소해야 할 것이다.” “농사와 양잠은 의식의 근본이니, 왕도 정치에서 우선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전에 공상에 관하나 제도가 없어, 백성 중에서 게으르고 놀기 좋아하는 자들이 수공업과 상공업에 종사하였기 때문에 농사를 짓는 백성이 줄어들었으며, 상업이 발달하고 농업이 피폐하였다. 이것을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
Ⅲ. 조선 전기 수공업 생산 활동
1. 관영 수공업 체제
(1) 장인은 공장안에 등록 - 매년 일정 기간 책임량을 제조하여 납품
(2) 편성 - 서울 : 경공장, 지방 관청 : 외공장
(3) 관수품 납품 - 의류, 화약, 무기, 문방구, 그릇, 활자 등
(4) 대우 - 삭료(한영우)를 식비 정도만 지급 (X - 녹봉을 받았다.)
(5) 국역 외 활동 - 동원 되는 기간 외 사적으로 팔 수 있음 (국역이 끝나면 자유롭게 생활필수품을 제조·판매)
(6) 쇠퇴
1) 16세기 - 부역제 기피
2) 유지가 어렵게 되자 사장(私匠)이 대두
(cf. 후기 - 납포장 증가, 자유로운 민영수공업, 18세기 말 공장안 폐지)
2. 민영 수공업
(1) 민영수공업
(2) 가내 수공업 - 농가에서 자급자족의 형태로 생활필수품 만듦
1) 농민들은 가내 수공업을 통하여 면직물, 농기구 등을 생산하였다? (O) 2) 조선 전기에 공인이나 상인으로부터 원료와 자금을 미리 받아 공장들이 물품을 생산하는 선대제가 일반적이였다? (X) ☞ 조선 후기 |
Ⅳ. 상업 활동
1. 관영 상업
(1) 시전 - 납세의무
(2) 시전 상인
1) 조정에서 시전을 국역 부담의 대상으로 삼아 보호
2) 독점 판매권 행사 ‘금난전권’
3) 육의전 번성
a. 명주, 종이, 어물, 모시, 비단, 무명
b. 서울 이외 지방에서는 불허
c. 상설적 판매
4) 도성의 간선도로 주변에 국가에서 행랑을 지어 시전상인에게 대여하였다.
(3) 경시서 - 불법적인 상행위 통제 (→ 후에 ‘평시서’로 개편)
(4) 난전 - 국가 허용 범위를 넘어선 형태, 시전 상인의 견제로 발전 못함
2. 장시
(1) 보부상 - 5일
(2) 발달 - 15세기 후반 농업 생산력 발달부터 ➝ 전국적 확대 16세기
3. 화폐의 발행
(1) 유통부진 - 저화, 조선통보
(2) 주요 유통 수단 - 쌀, 무명, 면포
cf. 태종 - 저화 ➝ 세종 : 조선통보 ➝ 세조 : 팔방통보(전폐, 화살촉)
T) 경국대전에 의하면 관리의 녹봉은 저화로도 지급되었다? (O)
4. 국제 무역
(1) 명 - 공무역, 사무역
(2) 일본 - 왜관 중심, 동평관 설치 (한양)
(3) 여진 - 무역소 통함
* 다음조선 전기 경제 구조와 경제생활에 대한 개념을 도표화한 표에서 (가), (나)에 들어갈 개념은?
(가) (나) 1) 중앙 집권적 경제 정책 농민층 분화와 사회 갈등 2) 양반 중심의 경제 정책 사회 안정과 향촌 질서 3) 중앙 집권적 경제 정책 부세 제도와 향촌 통합 4) 농업 중심의 경제 정책 조세 개혁과 사회 통합 5) 양반 중심의 경제 정책 양반층 분화와 민생안정
☞ 1)번 (가) 중앙 집권적 경제정책, (나) 농민층 분화와 사회갈등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