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18-1. 조선시대 교육제도, 과거제도 (서당, 향교, 성균관, 진사, 생원, 상피제, 백패, 홍패, 증광사, 알성시, 서경제도, 한품서용제, 대가제)

by 소이나는 2012. 5. 18.
반응형

 

 

 

1. 특징

  (1) 양반 위주 교육

  (2) 유학 교육에 치중

  (3) 교육 기회 확대

  (4) 학생의 특전 - 군역 면제


 2. 교육 기관


  (1) 인문 교육기관

   1) 중앙 - 사학(4부 학당) - 중학, 동학, 서학, 남학 - 정원 100명 (중등교육)

   2) 지방

      a. 서당 - 초등 - 사학, 향교에 입학하지 못한 선비, 평민의 자제 - 8~16세, 교수

      b. 서원 - 16c 이후 과거보다 학문연구 목적

      c. 향교 (중등교육)

        1. 지방에 설치한 관학

          1) 전국 모든 군현에 설치,

          2) 부목군현에 각각 하나 - 부목, 대도호부 : 90명, 도호부 : 70명, 군 : 50명, 현 : 30명

        2. 훈도 파견, 지방교화·유생교육, 기술관의 양성, 과거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시설 강습소

        3. 1년에 2번 시험 - 낙강생은 군역을 치르도록 하였다.

        4. 더 높은 학문을 원하는 교생은 생원, 진사가 된 다음 최고 학부인 성균관에 진학


      

   3) 성균관 (고등교육)

      a. 생원(유교경전)·진사(한문학) 원칙, 집단 상소, 권당(수업거부), 공관 (동맹 휴학)

      b. 생원, 진사 각 100명씩 모두 200명

      c. 건물 명칭

         1. 명륜당 - 유학 강의

         2. 문묘 - 공자 모신 곳

         3. 양재 - 기숙사

         4. 존경각 - 도서관

         5. 비천당 - 과거 시험 보는 곳


  (2) 기술 교육

    cf) 악학 - 장학원 (취재)

 

율학

서학(그림)

산학

의학

음양, 천문

역어(외국어)

도학

고려

국자감

태의감

사천대

통문관

태사국

조선

형조(잡과)

도화서(취재)

호조(취재)

전의감(잡과)

관상감(잡과)

사역원

소격서



 

고구려

통일신라

발해

고려

조선

근대

중앙

태학

국학

주자감

국자감, 12공도(사학)

성균관, 사학(4부학당)

육영공원

지방

경당(사학)

 

 

향교

서원(사학)

원산 학사 (사학)

  

    cf) 무술 - 경당, 화랑, 강예제(7재), 원산학사, 신흥무관학교



 3. 관리 등용 제도


  (1) 과거 응시 - 누구나 양인 이상이면 문무과 응시

   1) 과거에 응시할 때에는 4祖를 적어내어 가문을 분명히 하였다.

   2) 제외 - 범죄자 / 재정 축낸 자의 아들 / 서얼 / 재가녀·실행녀의 아들

              정3품 통정대부 당상관 이상 / 신량역천

   3) 문, 무, 의, 역, 음약, 율, 눔음의 7과로 정하였다.


  (2) 문과


    1) 자격

       가. 성균관 유생이나 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자가 응시

       나. 서얼, 재가한 여자의 자녀는 문과 응시에 제한을 받았다. - 법제적으로 서얼은 대과 응시자격 X

       다. 향리

           a. 4조 심사와 보단자 등 과거 응시 과정에서 불리한 조건 有

           b. 조흘강 이외 4서와 1경의 강 시험을 통과해야 했다.

           c. 생진시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군현 수령의 허가 要 →양반층의 비대를 막기 위해)

       다. 양인 - 원칙 : 응시가능

                  ➝ 일반 백성의 응시는 거의 불가능 → 경제·현실적 이유

        cf) 4조 내 천계 혈통이 있으면 자격을 얻지 못함

        cf) 보단자 - 응시자의 신분에 대한 보증을 서는 것

        라. 천인 - 법제적으로는 응시불가 → 특수한 경우에만 가능

         ex) 왜란 때 대가를 주고 속량되어 과거에 합격한 자가 있다.


  2) 문과

   1) 소과 (생진과, 사마시) - 5품 이하로 제한   

      가. 생원과·진사과 - 문과의 예비 시험으로 생원과(=명경과, 유교경전 이해력, 4서 5경),

                          한문학(시·부)에 뛰어난 진사과 (=제술과)

      나. 절차

         a. 초시 - 한성시, 향시 → 1400명 선발

         b. 복시 - 생원, 진사 각 - 성적순 100명씩 200명

      다. 백패라는 합격증 받고 생원과 진사, 성균관에 입학, 문과에 응시 가능, 하급관리가 되기도 함

   2) 대과 (문과, 동당시)

      가. 응시 자격 - 소과 합격, 생원이나 진사가 되어야 한다.

          → 성균관에서 원점 300을 딴 생원·진사가 응시 또는 소과 합격자도 응시

      나. 응시 절차 - 초시 : 240여명 → 복시 : 성적순 33명 씩 (홍패 수여 - 이조에서 발급)

                   → 전시 : 진사에 갑과 3명, 을과 7명, 병과 23명 등급(석차)을 정함  (33명 외 불합격)

                   cf) 유생들은 매일 아침, 저녁 식당에 참석하여 일정한 원점을 따야 문과 초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

      다. 갑과 : 1등 - 장원(종6품), 2등 - 방안(정7품), 3등 - 탐화 (정7품)

      라. 현직 관료 합격자는 1등은 4품계 2·3등은 3품계, 을과 2품, 병과 1품계를 올려줌


  (3) 무과

   1) 무예, 경서, 병서                         2) 문무 양반 제도가 확립

   3) 서얼· 중인이 주로 응시                  4) 유교경전도 시험과목 (경서, 병서)

   5) 급제자에게 홍패를 수여                  6) 초시 → 복시 → 전시

   7) 갑 - 종7품 / 을 - 종8품 / 병 - 종9품   8) 소과가 無

   T) 무과도 최종 선발인원은 33인이었다?  (X)


  (4) 잡과

   1) 4과 : 역과(사역원), 율과(형조), 의과(전의감), 음양과(관상감 - 천문)    (x- 산과)

   2) 3년마다 초시와 복시 본다. (전시 無)

   3) 합격자에게 백패부여

   4) 무과·잡과 - 서얼, 중간층 위주 응시

   5) 3품까지 승진 가능

   T) 기술관을 뽑는 잡과는 3년마다 예조에서 실시하였다?   (X)   ☞ 해당 관서


  cf) 기술관

   1) 사림파가 대두하면서 성리학 이념에 따른 문학을 존중하고 기술학을 더욱 천시하였다.

   2) 기술관은 승진에 제한을 받아 정3품 당하관에 그쳤지만, 역관과 의관은 당상관까지 특진하는 예가 있었다.

   3) 기술관직은 세습되어 17세기 이후 중인 가문이 형성되었다.                                (soy한국사)

 

 4. 기타 관리 임용법

  (1) 취재  

    1) 과거시험 이외 간단한 시험으로 하급관리, 하급 기술관원 시험 - 필요시 시취로 충당

    2) 간단한 특별채용 - 양반 자제 중 나이가 많거나 능력부족한자가 주로 응시

    3) 종류

      a. 이조취재 - 응자제·외교관·녹사·서리·수령 등 하급문관

      b. 병조취재 - 갑사, 대졸 대상

      c. 예조취재 - 의·역, 천문, 풍수, 율학, 화원, 악생,

                    회화(도화서), 도학 (소격서, 도교), 산학 (호조), 악학 (장악원) 등 

  (2) 천거 - 대개 기존 관리들의 대상으로 추천

  (3) 음서 (문음) - 2품 이상의 자제, 승진 제한 有 (능력을 보다 중시)

                 ➝ 과거를 통해야만 고관으로 출세

      cf) 고려 음서 - 5품 이상, 승진제한 無

  (4) 이과 - 서리를 뽑는 시험

  (5) 승과 - 폐지 : 조광조 (중종) → 명종 때 부활 → 문정왕후 사망 후 완전 폐지


 5. 양반 제도의 보수성

  (1) 대가제 실시 - 문부 현직자가 자궁(정3품 당하관)이상 되면 별도로 부과된 품계를

                    자식, 조카 등에게 줄 수 있게 한 제도 (세습적 성격), 상설화된 제도

  (2) 한품서용제 - 중인층이 인물을 높게 등요 당상을 허가하지 않고,

                   서얼은 정3품까지, 향리와 토관은 정5품까지, 서리는 정7품까지 승진을 제한


6. 시험의 실시 시기

  (1) 정기 - 3년마다 실시하는 식년시

  (2) 부정기 (별시)

    1) 증광사 - 국왕 즉위 등 특별채용

    2) 알성시 - 왕이 성균관 문묘 배알 시 → 친림과 (상피제 부적용)였다.

    3) 별시·경과 - 일반 경사

    4) 정시 - 봄· 가을에 성균관 유생

    5) 춘당대시 - 처음에는 무과 → 문묘 행차에여 작헌례 한 후 문과도 봄

    6) 황감제 - 감귤을 성균관 유생에게 나누어 줄 때 시행 (명종)

    7) 백일장 - 시골 유생

  (3) 승진 시험 - 증시 (10년마다) - 당상관까지 올려 주었다.





7. 인사 관리 제도

  (1) 상피제 시행 - 친인척과 같은 관서에 근무하지 않도록, 출신 지역의 지방관으로 임명치 않음

  (2) 서경 제도

    1) 인사의 공정성 확보, 관리임명 동의권

    2) 대간(사헌부, 사간원)은 서경이라 하여 5품 이하 관리를 처음 임명 시에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조사하여 가부 승인하는 역할도 한다.

  (3) 근무 성적 평가


 8. 용어

  (1) 중시 - 합격된 관리대상 시험 → 10년에 한번

  (2) 역시 - 주초만 시험관에게 넘겨 채전

  (3) 주초 - 답안지 사본

  (4) 녹명 - 신원 확인 후 등록하는 것

  (5) 조흘강(학례강) - 녹명 전 실력을 검정하는 것

  (6) 기로과 (영조) - 왕비, 대비 등 나이 60, 70 기념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기술학 교육

국자감에 기술학부

해당 관청에서 실시

종 류

제술업, 명경업, 잡업, 승과

문과, 무과, 잡과

무과실시

X

문무 양반 제도, 주로 서얼이나 중간 계층이 응시

특별 채용

음서제 (5품이상)

문음제 (2품이상)


<문제>

 

1. 문반 관리는 지역안배와 실력을 고려하여 선발하였다?   (O)

 

2. 부정기 시험으로 국왕이 문묘에 참배한 후 성균관에서 보는 증광시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보는 알성시가 있었다?

   (X) ☞ 바뀜, 경사가 증광시, 성균관이 알성시

 

3. 생원·진사시는 초시, 복시, 전시의 세 차례 시험으로 이루어졌다?   (X)

   ☞ 초시, 복시

 

5. 조선 전기 양반

 (1) 진사시 급제시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얻었다?   (O)

 (2) 문과(대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박사가 되었을 때 과전과 녹봉을 지급받았다?  (O)

 (3) 이조판서가 되어 정부 재정에 관한 정책을 주관하였다?  (X)  ☞ 호조

 (4) 좌의정이 되어 다른 재상과 합의하여 국정을 총괄하였다?  (O)

 

 

* [조선] 18. 조선 전기 문화의 융성 (한글 창제, 훈민정음, 조선 지리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방역지도, 팔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해동제국기, 훈민정음 해례본, 팔도..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9-2. 조선시대 성리학의 융성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 회재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이기 이원론, 성학십도, 이통기국론, 일원론적 이기 이원론, 이기호..  (2) 2012.05.20
[조선] 19-1. 조선시대 성리학의 정착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0) 2012.05.20
[조선] 18. 조선 전기 문화의 융성 (한글 창제, 훈민정음, 조선 지리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방역지도, 팔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해동제국기, 훈민정음 해례본, 팔도..  (0) 2012.05.19
[조선] 18-3. 조선 윤리서, 의례서, 법전의 편찬 (국조오례의, 이륜행실도, 동몽수지, 경국대전, 대전통편, 속대전, 경제육전, 경제문감, 대전회통)  (0) 2012.05.19
[조선] 18-2. 조선 전기 역사서의 편찬 (조선왕조실록, 고려사, 고려사절요, 고려국사, 동국사략, 의궤)  (0) 2012.05.19
[조선] 17. 조선 전기 경제활동 (양반 평민 농민의 경제활동, 조선 전기 수공업, 조선 전기 상업, 육의전, 경시서, 장시, 윤작법, 이모작, 관영수공업)  (0) 2012.05.18
[조선] 16. 조선시대 경제 정책, 경제구조, 수취체제 (과전법, 직전법, 관수관급제, 전분6등법, 연분9등법, 공납, 요역, 조창, 경창, 방납, 환곡, 조선시대 조운로)  (2) 2012.05.18
[조선] 15. 조선시대 성리학적 사회 질서의 강화 (서원, 향약, 경연, 서연, 상소, 구언, 예학, 족보, 보학, 소수 서원)  (0) 2012.05.18
[조선] 14. 조선시대의 향촌사회 (유향소, 사족, 향안, 향회, 향규, 향약, 오가작통제, 촌락, 두레, 석전, 향도)  (0) 2012.05.17
[조선] 13. 조선의 사회 정책과 법률 제도 (사창제, 상평창, 혜민국, 제생원, 대명률, 삼법사, 장례원, 포도청, 한성부, 의금부, 종법)  (0) 2012.05.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