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 후기의 경제적 변화 - 농업발달(수리시설, 새 작물), 자유 상공업 발달
2. 수취 체제 개편의 한계 - 양반 중심의 지배 체제 유지
3. 조선후기 농민 생활
☞ “소민의 생업을 보면, 오막살이집에 진흙으로 벽을 발라 위로는 비가 새고 옆으로는 바람이 들어와 사람이
살기 힘듭니다. ~ 이에 만일 흉년을 당해 망치면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일성록>
4. 조선 후기 농업
(1) 모내기법 (이앙법), 이모작 확대
(2) 금지령에도 이앙법 확산
1) 금지한 이유 - 가뭄에 대한 대비책이 부족
2) 이앙법 - 벼농사 생산성 증대, 면적당 수확량이 2배 이상 증가, 노동력 절감
☞ 「호조 판서 이유가 경연에서 아뢰기를, “모내기는 적은 노력으로 많은 효과를 거두므로, 이를 안 하는 곳이
없는 지경이니 이를 금하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가뭄을 만나면 높고 건조한 곳에서는 농사를 망칠 위험이
있으니 이를 엄히 금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 “남부 지역에서는 모두 이앙을 한다. 그 노동력이 직파에 비해 5분의 4가 절약되므로 노비나 고공이 많은
사람들은 경작 면적을 계속 넗혀 가서 토지가 없는 자는 조금도 경작할 수 없다.”
(3) 광작의 대두 → 일부 부농층 성장 (관권과 결탁), 다수의 임노동자화, 소작농도 광장을 행
(4) 견종법의 보급 - 밭고랑에 씨를 뿌리는 방법
(5) 상품 작물의 재배 : 담배 (일본), 인삼 - 개성
(6) 구황 작물의 재배 : 고구마(일본, 18세기), 감자 (19세기 청)
(7) 농기구의 개량 - 볏이 달린 쟁기가 보급되어 밭농사 능률이 높아짐.
(8) 목면, 면포 - 농촌사회 변화 ➝ 생산자와 소비자 분리
(9) 밭농사에서 가을 보리를 심어 여름에 거둔 뒤 다시 콩, 조를 심는 ‘그루갈이’가 발달
(10) 영세농의 이농현상
☞ 상업적 농업의 발달
“진안의 담배 밭, 전주의 생각 밭, 임천과 한산의 모시밭, 안동과 예안의 왕골 밭은 우리나라에서
으뜸으로 꼽히는 곳이다. 이곳들은 이들이 이익을 얻는 원천이다.” <택리지>
“왕십리에서 무, 살곳이 다리에서 순무, 석교에서 사지·오이·수박, 연희궁에서 고추·부추·해채, 청파에서
미나리, 이태원에서 토란 같은 것이 나온다. ~ 그래서 엄행수는 매년 6천전을 벌어들인다.” <연암집>
[논갈이, 모내기] [벼타작 김홍도]
5. 수리 관개 시설의 발달
(1) 조선 후기 저수지 축조 - 당진 합덕지, 연안 남대지
(2) 제언사(현종) - 저수지 관리
(3) 제언절목 반포 (정조) - 저수지 법률 (독점 소유 금지)
(4) 논의 비율 증대
6. 개간사업, 개척사업
7. 지대의 변화
(1) 지대 변화 -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과 병행하여 지주권의 약화, 전호권의 성장을 가져왔다.
(2) 지대
1) 타조법
a. 정률지대 : 풍·흉에 따라 지주와 소작인이 수확을 반씩
b. 전세와 종자 그리고 농기구를 소작인이 부담 - 농민에게는 불리 (지주유리, 지주 간섭, 영농 제약)
c. 대부분이 타조법
2) 도조법
a. 소작인에게 유리
b. 작인이 개간한 토지 등에서 행해짐
c. 정액지대 : 풍·흉작에 관계없이 해마다 정해진 일정 지대액 납부 - 수확량의 1/3 (영농의 자유, 경영 자유)
→ 점차 화폐로 내는 경향이 등장
d. 도지권을 가진 작인은 도조 토지를 매매할 수 있다.
cf) 농민 유리 - 대동법, 균역법, 도조법 / 농민 불리 - 영정법, 영농기술 발달, 타조법, 개간 사업
7. 몰락 농민의 증가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
고려 |
조선전기 |
조선 후기 |
농경 시작 (조, 피, 수수) 남경, 지탑리 |
벼농사 등장 (본격) (보리, 콩, 벼) 흠암리, 송국리 |
가축을 농경에 이용 저수지 우경 시작 |
우경의 깊이갈이 일반화 (심경법) 2년3작의 윤작법 보급 시작 |
가을갈이 농사법 2년3작 윤작법 일반화 |
상품 작물 재배 구황 작물 재배 광작 |
녹비+ 가축 배설물 → 휴경지 감소 |
밑거름+뒷거름 →휴경지 소멸 |
견종법 | |||
|
돌도끼, 흠자귀 바퀴날도끼 반달돌칼 |
|
남부 일부 지역에 이앙법 보급(시작) |
남부 일부 지역에 이모작 실시 |
이앙법, 이모작 전국 |
목화 전래 |
목화재배확산→ 무명 생산(면직) |
광작 현상, 제언사, 제언절목 | |||
‘농상집요’ 원에서 전래 |
‘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
농가집성, 색경, 산림경제 |
* [조선] 10. 조선 후기 경제 (조선 후기 민영수공업, 선대제 수공업, 대장간 김홍도) - 보기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