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Ⅰ. 양반 지주의 경영 변화
1. 지주 전호제 경영
(1) 농토의 확대
(2) 조선 후기 개간사업 - 오히려 지주제를 확대
(3) 지주 전호제 경영 - 소작료를 받는 지주 전호제
(4) 병작반수제로 운영되면서 농민 생활이 더욱 악화
☞「중종실록」- 지주 전호제 관련
“일반 백성으로 농지를 가진 자가 없고, 농지를 가진 자는 부유한 상인과 양반 사족뿐입니다.”
2. 지주 전호제의 변화 - 소작인의 소작권을 인정하고 소작료도 낮춰줌
3. 양반 지주의 변화
(1) 소작을 통한 부 축적 - 경제적 예속관계
(2) 지주의 토지 축적 강화
(4) 상인 물주 증가
(5) 몰락 양반 등장
Ⅱ. 농민 경제의 변화
Ⅲ. 민영 수공업의 발달
1. 발달 배경 - 상품 화폐 경제의 진전, 도시의 인구 급증, 대동법실시, 부역제의 해이
2. 과정
(1) 관영 수공업의 쇠퇴
(2) 민간 수공업자의 성장
1) 납포장의 증대, 경공장 수 격감 (1/10로)
2) 품질과 가격 우위
3) 점의 발달 - 철기 수공업체는 철점, 사기 수공업체는 사기점
(3) 장인 등록제인 공장안 폐지하고 장인세를 징수, 관영 수공업장에도사장을 고용
☞ “여러 관청 중에서 내자시, 사도시, 예빈시, 재용감 등은 소속 장인이 없어졌다. 그 밖의 여러 관청들은
장인의 종류도 서로 달라졌고, 정해진 인원도 상당히 들쭉날쭉하였다. 그리고 장인들이 공조에 등록하던
규정들은 점차 폐지되어 시행되지 않고 있다.” <대전통편>
3. 수공업 형태의 변화
(1) 선대제 수공업의 발달 - 상인이 수공업자를 고용
1) 물주 지배 방식
2) 공인이나 상인들에게 주문받기도 하고 미리 자금 원료를 받는 선대제가 성행
(2) 독립 수공업의 발달 - 18세기 후반, 점촌 형성
T) 사영 수공업자의 상업 자본으로부터의 독립현상 - 철기·유기 제조업에서 두드려졌다.
☞ “3월에 삼씨 뿌려 7월에 삼을 쪄서 / 닷새 동안 실 잇고 이어 열흘 동안 씻고 씽어 /
가는 손에 북을 들고 가는 베 짜 냈더니 / 잠자리 날개 같아 한 줌 안에 담뿍 들듯 /
아깝게도 저 모시, 남쪽 장사치에 다 주고 / 베 값이라 미리 받은 돈은 관청 빚에 다 터렸는데 /
베 짜는 저 아가씬 언제 보나 석새삼베 / 그나마 너무 짧아 정강이도 채 못 가니누나. /”
➝ 조선후기 민영 수공업 <이계집>
[대장간 - 김홍도]
* 납부방식에 따른 공인분류 (1) 상인적 공인 1) 공가를 미리 지급받아 공물을 사서 납부 2) 지계공인, 마계공인, 삼계공인, 면화계공인 등 (2) 수공업자적 공인 1) 공물을 제조하여 납부 2) 금계공인, 칠계공인, 수철계공인, 채색계공인 3) 조선 전기 당주동 일대의 관영 수공업장에서 일하던 장인들이 주로 맡았다. |
4. 농촌의 수공업 발달
Ⅳ. 민영 광산의 증가
[조선] 10-2. 조선 시대 광업 (잠채, 설점수세제, 수령수세제, 덕대, 조선 후기 광업) - 보기 클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