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 1. 신라 중대 왕들의 업적, 사건 (무열왕, 문무왕, 대왕암, 신문왕, 만파식적, 김흠돌의 난, 효소왕, 성덕왕, 경덕왕, 혜공왕, 9주5소경)

by 소이나는 2013. 7. 2.
반응형


<4> 남북국 시대의 정치 변화


박혁거세~지증마립간 법흥왕~진덕여왕 무열왕~혜공왕 선덕왕~경순왕

삼국유사 상고 중고(불교식 왕명기) 하고삼국사기 상대 중대 하대혈 통 성골 (聖骨) 진골 (眞骨)

계 열 내물계 김씨 무열계 김씨 내물계 김씨왕 권 약함 강함 약함수 상 상대등 시중(중시) 상대등


Ⅰ. 통일 신라의 발전1. 통일 직후 신라의 상황 : 번영, 생산력 증가2. 신라 중대의 정치 (왕권강화)(1) 무열왕 : 김춘추 (654 ~ 661)

1) 직계의 세습 : 왕권 강화2)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집사부 시랑직에 6두품세력 진출.3) 상대등 세력 역제4) 김유신의 후원 - 알천과의 경쟁에서 승리

5) 갈문왕(유력자에게 주어진 칭호)  제도 폐지6) 사정부 정비7) 중국식 왕호8) 백제 멸망 (660)9) 이방부격 60여조 수정 (율령개편)(2) 문무왕 (661 ~ 681) : 왕권의 전제화

1) 귀족파 숙청 - ‘불휼국사’의 명분2) 좌사록관, 우사록관 설치 - 왕권파에게 녹읍지급3) 귀족파 반란 - 박도유, 수제, 대토

4) 삼국통일 (676)5) 당문화 수용6) 무열왕의 아들7) 서당, 소경을 추가설치8) 대왕암 (수중릉) “내가 죽은 뒤 10일이 되면 불교식으로 화장하고 장례는 검소하게 하라. 국경 지방의 여러 성과 주현의 

세금은 그것이 필요치 않거든 헤아려 폐하도록 하고, 율령격식에서 불편한 것이 있으면 편리하게 고쳐라.” “내가 죽은 후에 호국 대룡이 되어 불법을 숭상하고 나라를 수호하려 한다.”

9) 감은사 축조 (3) 신문왕 (681 ~ 692)1) 중앙 관제 : 14부 완성, 예작부 설치2) 지방 관제 : 9주 5소경, 상수리제도3) 군사 제도 : 중앙군 9서당, 지방군 10정

4) 교육 제도 : 국학, 유학 (유교 정치 이념 시도)5) 토지 제도 : 관료전을 지급(687) - 수조권만 인정, 녹읍 폐지6) 사회 정책 : 귀족 숙청 ➝ 왕의 장인인 김흠돌의 모역 사건(681) ➝ 무열계 전제 왕권 강화가 배경

7) 사상 정책 : 유학 강조, 의상 : 화엄종 개창8) 만파식적 (萬波息笛) (신성한 악기) : 왕실의 번영과 평화를 상징, 이현대(동해)에서 얻음 

cf. 단군신화의 처부인, 진평왕의 옥대, 이성계의 금척 같은 성격9) 감은사 완공10) 달구벌 천도계획 – 실폐




soy 한국사,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 수정 : (7) 혜공왕 = 지정 → 김지정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4) 효소왕 – 서시, 남시 설치(5) 성덕왕 (702 ~ 737) 1) 백성에게 정전 지급, 민생 안정 (722)2) 패강 이남 확보 - 김정절 파견(6) 경덕왕 (742 ~ 765) 1) 중시(中侍)의 명칭을 시중(侍中)으로 격상 

2) 불국사, 석굴암, 성덕 대왕 신종3) 국학에 제업박사 설치4) 정찰 설치 - 백관 규찰 목적5) 환화정책6) 녹읍부활7) 우리나라 지명을 중국식으로 바꿈8) 국학 명칭 변경 – 태학감

cf) 녹읍은 귀족, 정전은 농민에게 지급(7) 혜공왕1) 태후의 섭정 - 만월부인2) 오묘제 정리 - 무열, 문무, 미추, 경덕, 성덕왕2) 96각간의 난 - 귀족난3) 난 - 김융, 김은거, 짐지정, 염상•정문

4) 혜공왕 피살 - 김양상(선덕왕), 김경신(8) 신라 중대 성격1) 귀족 세력의 약화2) 6두품 세력의 부각a. 왕과 결탁b. 집사부 시랑직에 진출하여 왕의 정치적 조언자로 활동

3) 전제 왕권의 동요a. 경덕왕부터 흔들림b. 결과 : 녹읍 부활, 사원의 면세전이 늘어나 재정 압박적괴 흠돌과 흥원과 진공 등은 벼슬이 재능으로 올라간 것이 아니라 왕의 은혜를 입어 올라간 것인데~ 이제 불인(不仁), 불의(不義)로 자신의 위복(威福)만을 추구하고 관료를 능멸하더니, ~ 온갖 악인들과 서로 도와 기일을 정하여 반역을 하려 하였다. ~ 이에 병사를 모아 역적들을 없애려 하니, 산골짜기로 도망가기도 하고 왕실에 투항하였다. 나머지 무리는 모두 찾아내어 죽였다. -삼국사기

1) 진골 출신 왕의 직계 자손이 계속 왕이 되었다.2) 왕의 동생들에게 특권적 지위를 인정해 주던 갈문왕제도가 폐지되었다.3) 불교식 왕명을 버리고 중국식 시호를 취하여 유교 정치 이념으로 통치하려 했다.

4) 정전의 지급5) 관청과 행정 구획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고치는 개혁이 이루어졌다.6) 국학 설립하여 인재 양성을 꾀하였다.7) 상대등의 세력이 약화되고 집사부 시중의 지위가 강화되었다.


왕이 배를 타고 산으로 들어가니 용이 검은 옥띠를 바쳤다. 왕이 같이 앉아 물었다. “이 산과 대나무가 어떤 때에는 갈라지고 어떤 때는 맞붙고 하니 무슨 까닭인가? 용이 대답하였다. “비유로 말씀드리면 한 손으로 치면 소리가 나지 않고 두 손으로 쳐야 소리가 나는 것과 같습니다. 이 대나무는 합쳐야만 소리가 납니다. 폐하께서 소리로써 천하를 다스릴 좋은 징조입니다. 이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어 불면 천하가 화평해질 것입니다. 지금 아버님(문무왕)께서 바다 가운데 큰 용이 되시고 김유신도 천신이 되었습니다. 두 분 성인이 마음을 합하여 이같이 값으로 헤아릴 수 없는 큰 보물을 만들어 저를 시켜 바치는 것입니다.” ~ 왕이 행차에서 돌아와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게 하였다. 이 피리를 불면 적병이 불러가고 병이 나았다. 가뭄에는 비가 오고 장마가 개고 바람이 자고 파도가 그쳤다. 이 피리를 만파식적(거센 물결을 자게 하는 피리)이라 부르고 국보로 삼았다.  – 삼국유사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북국] 5. 발해의 통치 조직 (발해의 중앙관제, 발해의 지방 조직, 3성 6부, 5경 15부 62주, 독주주, 좌사정, 우사정, 중정대, 문적원, 주자감, 정당성)  (4) 2013.07.07
[남북국] 4. 통일 신라의 정치 조직 (통일 신라의 중앙관제, 통일 신라의 지방 조직, 9서당 10정, 9주 5소경, 상수리 제도, 외사정, 좌이방부, 우이방부, 창부, 사정부, 시중 중시)  (2) 2013.07.06
[삼국] 13. 삼국의 통치체제, 통치조직 (고구려, 백제, 신라의 중앙관제, 지방 조직, 6좌평, 22부, 5부 5부, 5부 5방, 17관등, 6부, 5주 2소경)  (5) 2013.07.05
[남북국] 3. 발해 (대조영, 고왕, 무왕, 문왕, 선왕, 애왕, 해동성국, 연호, 발해 건국, 발해 멸망)  (5) 2013.07.04
[남북국] 2. 통일 신라 말기 왕의 업적과 사건 (선덕왕, 원성왕, 독서삼품과, 애장왕, 헌덕왕, 김헌창의 난, 흥덕왕, 청해진, 경문왕, 진성여왕, 원종대노의 난, 경순왕, 신라 호족, 6두품)  (2) 2013.07.03
[삼국] 12. 삼국 통일 (백제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신라의 삼국 통일, 백제 고구려 부흥운동, 흑지상지, 복신 도침, 검모잠, 소부리주, 기벌포 전투, 매소성 전투)  (6) 2013.07.01
[삼국] 11. 삼국의 대외 관계, 삼국의 외교 (고구려, 백제, 신라의 대외관계, 여수 전쟁, 여당 전쟁, 살수대첩, 안시성 전투, 을지문덕 오언시, 천리장성)  (7) 2013.06.30
[삼국] 10. 삼국시대 비교 표 (고구려, 백제, 신라 비교 표)  (8) 2013.06.29
[삼국] 9. 삼국의 비문 (신라의 비문, 포항 중성리 신라비, 영일냉수리비, 울진봉평신라비, 영천 청제비, 단양 적성비, 창녕비, 북한산비, 사택지적비, 임신서기석, 황초령비, 마운령비, 남산신..  (4) 2013.06.28
[삼국] 8. 신라의 발전 (지증왕, 우산국, 법흥왕, 진흥왕, 진평왕, 분황사모전석탑, 선덕여왕, 화랑도 공인, 진덕여왕)  (2) 2013.06.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