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Ⅴ. 남북국의 정치 조직1. 통일 신라의 중앙 정치의 정비(1) 중앙 관제 1) 국왕중심 a. 장관복수제b. 병부 강화 - 6관등제, 대아찬에서 태대각간까지로 높임 → 재상, 사신을 겸직
2) 시중(중시)의 지위를 강화a. 화백회의 보완b. 왕의 지배를 받는 행정부적 성격c. 장관인 중시는 상대등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가 있었다.3) 총괄 최고 관부 부재
4) 복합적 관직제도 - 6전 조직, 5등관제 - 영, 경, 대, 사지, 사5) 골품제와 관질 밀착 운용6) 왕실 국가 사무 분리 → 3궁 통합 때부터 본격화 7) 사정부 : 감찰기관
(2) 14개 관청 정비 : 집사부 아래 위화부 등 13부를 두고 행정 업무 분담 (횡적 편제 - 병렬적, 독립)(3) 민족 융합 정책 1)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우대
2) 9서당 편성 : 민족 융합 정책 (∵ 유민을 중앙군에)“문무왕 10년에 왕은 사찬(沙飡) 수미산(須彌山)을 보내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봉하였다. 14년 8월에 안승을 보덕왕으로 삼았다.”“문무왕 13년에 백제에서 온 사람으로써 내외관을 마련하였는데, 그 별슬 차례는 본국의 관위에 따라 주었다.”“신무왕 6년에 고구려인으로써 경관(京官)을 마련하였는데 본국의 고나품을 헤아려 이를 주었다.”
soy 한국사,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4) 중국식 명칭 : 집권력 강화 관부 시기 업무 발 해 고 려 조 선 근대 이후집사부 진덕여왕 국가 기밀 정당성 중서문하성 의정부 통리기무아문
병 부 법흥왕 군사•국방 지부 병부 병조 군무아문조 부 진평왕 공물•부역 인부 호부 호조 탁지아문창 부 진덕여왕 재정•회계
위화부 진평왕 관리 임명 충부 이부 이조 내무아문예 부 의례•교육 의부 예부 예조 외무아문, 학무아문영객부 외교•사신접대
승 부 마정•육상 교통 좌이방부 진덕여왕 형률•노비 예부 형부 형조 법무아문우이방부 문무왕
선 부 선박•해상교통 공장부 신문왕 수공업 신부 공부 공조 공무아문, 농상아문예작부 토목•영선
사정부 무열왕 관리 감찰 중정대 어사대 사헌부 도촬원수 상 시중 대내상 문하시중 영의정 합의기관 화백 정당성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의정부비변사 통리기무아문2. 통일 신라의 지방 제도 : 9주 5소경(1) 9주 : 한주, 상주, 웅주, 전주, 앙주, 강주, 무주, 삭주, 명주1) 장관
a. 명칭 변경 = 군주 ➝ 총관 ➝ 도독 (∵ 군사적 성격에서 점차 행정적으로 변해갔다.)b. 6두품도 취임은 가능 했지만, 진골이 독점 (단서에 ‘진골만’이라 달음)2) 촌주
3) 신라•가야 3주, 백제 3주, 고구려 3주4) 외사정 (外司正)파견 (감찰임무) : 중앙 집권적 통치 조직 강화(문무왕 - 주마다 2인의 외사정) cf. 중앙에는 ‘내사정’(3) 5소경
1) 군사, 행정, 수도가 구석이라는 약점 보완, 피정복민 회유•감시, 문화보급2) 장관 - ‘사신’3) 충주 - 가장 일찍 소경설치 (우륵, 강수, 김생 등 가야계 귀족들이 사민)
(4) 군 - 태수 / 1인 외사정(5) 현 - ‘소수’, ‘현령’파견 [9주 5소경](6) 상수리 제도 : 지방 호족을 상경(7) 특수 행정구역 - 향•부곡•성 설치 (‘소’는 無 → 고려 때)
서원경 (청주) 1) 민정문서 2) 서원향약(이이) 3) 이인좌의 난 4) 직지심체요절중원경 - 2소경에도 있음 (통일 전에 설치)[김찰기관] (통일신라) 사정부 ➝ (발해) 중정대 ➝ (고려) 어사대(순마소) ➝ (조선) 사헌부
➝ (갑오개혁) 도찰원 ➝ (현재) 감사원[대 학] (신라) 국학 → (발해) 주자감 → (고려) 국자감 → (조선) 성균관[왕의 교서] (고려) 한림원 → (조선) 예문관
[언론 자문] (고려) 대성 → (조선) 사간원, 홍문관 → (근대 이후) 중추원[출납 회계] (고려) 삼사 → (근대 이후) 회계심사원[왕실업무] (고려) 중추원, 밀직사 → (조선) 승정원 → (근대이후) 궁내부
[도서보관] (발해) 문적원 → (고려) 비서성, 수서원 → (조선) 규장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