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독립군의 재정비(1) 대한 통의부 (1922) - 남만주1) 서로군정서 + 대한 독립단2) 공화주의 vs 복벽주의로 분열 - 다시 분열 (1923) - 통의부, 의금부(2) 3부의 조직 1) 참의부 (1923 ~ 1927) 입법부 - 백광운 (임시정부 직할)2) 정의부 (1925 ~ 1927) 사법부 - 오동진, 지청천3) 신민부 (1925 ~ 1927) 행정부- 김좌진 (간도 참변 후 소련 영토에서 되돌아온 독립군이 조직)4) 성격 – 각부에 민주적 민정기관, 군정 설치5. 미쓰야 협정 (삼실협정, 1925)(1) 독립군 체포시 보상금(2) 만주 군벌 장쭤린 과 총독부 미쓰야 “중국 관헌은 각 현에 통고하여 재류 조선인이 무기를 휴대하고 조선에 침입하는 것을 엄금한다.이를 어긴 자는 체포하여 조선 관헌에 인도한다.”6. 3부의 통합 운동 (1926, 북경)(1) 혁신의회 (1928) - 한국독립당, 한국 독립군 결성 (지청천) (← 촉성회) → 한국 독립당(2) 국민부 (1929) - [만주사변 후] 조선 혁명당의 조선 혁명군 (양세봉) (← 협의회) → 조선 혁명당7. 한•중 연합 작전(1) 만주사변 (1931) 계기(2) 촉성회 → 한국 독립군 (지청천) + 중국 호로군 - 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경박호 전투 (의란, 아성, 징보, 대순자령 전투)→ 한국광복군* 한국독립군 - 기모자진, 김동삼 등이 중심이 된 혁신의회를 개편하여 결성한 군대 조직(3) 협의회 → 조선 혁명군 (양세봉) + 중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로이, 교육, 사회, 역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국 의용군 - 홍경성 전투, 영릉가 전투 (도보가, 청원, 결석령 전투)→ 조선의용대 (김원봉) → 한국광복군 제1지대에 흡수, 통합(4) 약화 - 일본의 대토벌작전, 중국군의 사기 저하cf) 양세봉 - 육군주만참의 부소대장, 제3중대장, 조선혁명군 총사령관cf) 1932 - 푸이를 명복상 원수로 하는 일본의 괴뢰 정부가 만주에 수립8. 만주사변(1931. 9)과 중일 전쟁 무렵 독립군(1) 동향1) 추수투쟁, 춘황 투쟁 (1931) – 소작료 인하 요구2) 동북 인민 혁명군 결성 (1933)a. 한인 항일 유격대 (만주 공산계열) + 중국 공산당 유격대 (중국 공산당 계열 정규군)b. 동북 ‘항일 연군’으로 개편 (1936) → 조국 광복회 조직 (만주)(2) 조국 광복회 조직 (1936)1) 민족 연합 전선 실현 (간도)2) 민족주의자, 공산주의자 결합(3) 보천보 전투 (1937)1) 동북 항일 연군 대원에 의해 발생2) 일제 행정 관청을 태우고 압록강을 건너다 추격하는 일본군에 상당한 피해3) 이 사건으로 조국 광복회의 국내조직 색출과 만주 지역 독립군에 대한 공세를 펼침4) 김일성이 주도 한 것으로 북한에서 선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