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여성 운동과 학생 운동1. 여성운동(1) 조선여자 청년회(계몽) (2) 반도여자청년회, (3) 조선여자 교육회(4) 대한애국부인회 (1919, 평양) - 평등, 문맹퇴치, 구습타파, 생활개선, 기독교계 항일비밀부녀 운동단체(5) 조선 여자 기독교 청년회(YWCA, 1923) (6) 근우회 (7) 중앙여자청년동맹 (1926)(8) 조선여성동우회 (1924) - 최초 사회주의적 여성해방론“어두 컴컴한 공장에서 감독의 무서운 감시와 100도 가까운 열기 속에서 뜨거운 공기를 마시며 육골이 쑤시고 뼈가 으스러지도록 노동을 하여 여성 노동자는 대개 15~16세 혹은 20세 전후로 그 대부분은 각지 농촌에서 모집되어 온 사람이다.” – 일제하 여성 노동자 생활 (1936, 조선일보)2. 소년운동(1) 천도교 - 청년회(2) 조선 소년 연합회 (1927) - 방정환(3) 중일 전쟁 후 중단3. 청년운동(1) 물산장려운동, 민립 대학 설립(2) 조선 청년 총동맹 (1924)1) 사회주의 사상 유입 후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로 분열된 청년 운동 수습하기 위해 조직2) 노동•농민 운동 지지(3) 1920년대 - 100여개 단체4. 학생운동(1) 노예교육철폐, 역사, 조선어, 학생회 자치, 언론집회 자유(2) 광주 항일학생 운동 (1929) (3) 2•8독립선언, 3•1운동(4) 조선학생대회 (1920) (5) 조선학생회 (1922)(6) 6•10만세운동 (7) 동맹휴학전개(1927)Ⅳ. 형평 운동 1. 배경 - 사회적 차별cf) 도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로이, 교육, 사회, 역사,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한 - 백정의 다른 명칭2. 전개 (1) 진주 이학찬 : 조선 형평사 (1923) - 백정의 인권 운동 단체로 시작 사회 각 운동에 적극 참여 “백정은 어떠한 지위와 압박을 받았는가? ~~”(2) 목표 - 저울처럼 공평한 사회 건설 “공평은 사회의 근본이고, 애정은 인류의 본량이다. 따라서 우리는 계급을 타파하고 모욕적 칭호를 폐지하며, 교육을 권장하여, 우리도 참다운 인간이 되고자 함이 본회의 취지이다.” - 창립취지문 일부(3) 조선 형평사 혁신동맹창립총회 (1924, 천안) [형평사의 전국 대회 포스터]3. 민족 해방 운동 성격 4. 변화(1) 1920말 - 급진파, 온건파 대립 (2) 1930 중반 - 1936 ‘대동사’로 개칭 → 사회주의 계열의 순수 경제 이익 운동Ⅴ. 인구의 증가와 도시의 변화1. 인구의 증가 [서울] 1920 (24만) → 1940 (93만)2. 일본인 거리1) 본정 - 충무로 2) 명치정 - 명동 3) 황금정 - 을지로4) 청계천의 북쪽은 북촌(한국인), 남쪽은 남촌 (일본인) [본정 입구]Ⅵ. 의식주 생활의 변화 1. 의생활(1) 한식 양식 혼합(2) 1910 - 가르마, 블라우스, 스커트, 단발머리, 파마, 스타킹(3) 1940 - 국방색 국민복, 몸빼(몸뻬)[신여성의 옷차림] [국민복 차림의 학생들] [몸빼]2. 식생활 - 과자, 빵, 케이크, 스테이크, 수프, 아이스크림 3. 주택(1) 1920 - 개량한옥 - (사랑방과 문간방이 없음) (2) 1930 - 2층 양옥(3) 1940 - 영단주택 (4) 변두리 – 토막집[1930년대 남산 일대의 거리와 주택의 풍경] [1920년대 삼판동 문화 주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