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사581

[조선] 탕평책, 붕당정치 (영조, 정조) 정쟁의 격화와 탕평정치 Ⅰ. 붕당 정치의 변질 1. 붕당 정치 변질의 의미 - 균형이 깨짐 2. 원인 (1) 상업적 이익에 대한 독점 경향 1) 농업의 생산량 증대 - 이앙법, 이모작 견종법 2)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2) 붕당 정치의 기반 붕괴 1) 서인, 남인의 공존이 깨짐 2) 지주제, 신분제의 동요 (3) 쟁점의 변질 - 군영 장악 3. 변질과정 경신환국 서인 윤휴, 허적, 유악사건 기사환국 남인 장희빈 갑술환국 서인 인현황후 (1) 숙종 - 경신환국 (경신대출척, 1680, 붕당 정치 변질의 직접적 계기) - 서인 정권 1) 남인의 윤휴, 허적이 북벌론 제기 하며 도체찰사를 설치 군인 양성 2) 남인이 역모를 시도하였다 공방 3) 윤휴, 허적 축출 cf) 유악사건 - 허적이 궁중 기름 천막을.. 2009. 10. 26.
[조선 후기] 향촌의 변화 향촌 질서의 변화 Ⅰ. 부농층의 동향 1. 부농 계층의 대두 - 정부의 부세 제도 운영에 적극 참여 2. 향촌의 변화 (1) 부농층(요호부민)의 도전(신향의 대두) (2) 관권의 강화 (3) 농민에 대한 수탈 - 공동납제(총액제)가 강화 → 향촌질서 동요 → 사족들의 향촌에 대한 지배권을 약화 * 공동납제 1) 군현 단위로 총액을 부담자 수의 증감과 관계없이 부담 2) 전세에 비총제와 군역에서의 군총제, 환곡에서의 환총제 등 (4) 향전이 발생 : 향반과 부농들의 주도권 싸움 → 관권과 향리 세력이 상대적으로 강화 → 향리들의 수탈 (5) 향촌 변화의 결과 1) 향회의 기능 약화 - 자문 기구로 변함 2) 사족 세력 약화 3) 향임직이 요호부민에게 매매되기도 하였다. '신향‘의 대두 4) 부농층과 결탁하.. 2009. 10. 25.
[조선중기 후기] 정치 질서의 변화 - 세도정치 정치 질서의 변화 Ⅰ. 세도 정치 1. 배경 (1) 탕평 정치의 한계 - 왕에게 권력이 집중 (T. 분당 사이의 대립적인 구조가 사라졌다.) (2) 지배 체제의 분열 2. 성격 - 붕당의 파탄 3. 세도 정치 (1) 순조 1) 정순 왕후의 수렴청정기 - 순조가 11세로 즉위하자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며 노론 벽파가 정국주도 ➝ 신유박해 (1801)를 이용 장용영을 혁파하고 훈련도감을 정상화 2) 안동 김씨 일파의 세도 정치기 - 정순 왕후가 죽자 김조순은 반남 박씨와 풍양 조씨의 협력으로 정국 주도 3) 순조 말년 - 효명 세자가 대리청청으로 세도가를 견제 하였으나 갑자기 죽음 ➝ 김조순 가문이 중심으로 재정립 4) 사건 a. 로드 암허스트호의 통상 요구 b. 「만기요람」편찬 (2) 헌종 - 풍양 조씨.. 2009. 10. 25.
[조선 중기] 통치체제 (지배체제, 군사제도) 통치 체제의 개편 Ⅰ. 지배 체제의 모순 1. 조선 왕조의 통치 질서의 모순 (1) 신분 제도의 모순 1) 계층 간 이동의 불허 2) 소수 양반층의 특권 독점 3) 피지배층의 처지 개선 미흡 4) 양반들의 권위 강화 (2) 토지 제도의 모순 1) 토지 소유의 편중 - 양반 지주 중심 2) 지주 전호제의 강화 3) 농촌 사회의 분화 (3) 부세 제도의 모순 2. 체제 모순의 결과 - 농민의 토지 이탈, 위정자들의 위기 의식 대두 Ⅱ. 통치 체제의 변화 1. 통치 기구 개편의 배경 - 집권 양반 계층은 지배 체제 유지 (비변사, 5군영, 수취체제 개편) 2. 비변사의 기능 강화 (1) 삼포 왜란을 계기로 설치 (중종) - 임시회의 기구 (2) 상설 기구화 - 16세기 중엽 명종 (1555) 을묘왜변을 계기 .. 2009. 10. 24.
조선 전기 문학과 예술 (문학, 건축, 음악, 그림) 문학과 예술 Ⅰ. 문학 1. 전기 문학의 경향 (1) 초기 - 격식, 질서, 조화 (2) 중기 - 사림 문학, 흥취, 정신 2. 한문학 (1) 동문선 (15세기, 성종) 1) 서거정- 역대 시 산문 뽑아 편찬 2) 자주적 의식 “우리 나라의 글은 송·원의 글도 아니고, ~~ 바로 우리의 글인 것입니다.” (2) 16세기 1) 문학 저조 - 사림이 경학에 치중 2) 시조, 가사, 패설, 소설 - 형식은 다양 3) 산천의 아름다움 3. 설화 문학 (1) 15세기 - 격식 없이 그냥 들은 것 1) 금오신화 (김시습) - 최초의 한문 소설 2) 필원잡기 (서거정) - 일화 수록 3) 용재총화 (성현) - 수필체의 성격 (2) 16세기 1) 패관잡기 (어숙권 - 서얼출신) → 문벌제도와 적서 차별의 폐단을 지적 .. 2009. 10. 24.
근대의 세계 근대 사회로의 지향 근대의 세계 Ⅰ. 서양 1. 근대 사회로의 이행 - 르네상스, 종교개혁, 중앙 집권제 추구경향 2. 절대 왕정 -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 프랑스의 루이14세 3. 근대 시민 사회의 성립 - 시민혁명, 산업혁명, 나폴레옹 전쟁 4. 근대 문화의 융성 Ⅱ. 동양 1. 서양 열강의 아시아 침략 2. 민족, 자강운동 1) 중국 - 태평천국 운동, 양무운동 2) 일본 - 메이지 유신 3) 인도 - 세포이 항장, 스와라지 운동 근대사회 Ⅰ. 사회 변화, 서민 의식의 성장 1. 양반 사회의 동요 (16세기, 조선 중기) (1) 정치 - 정쟁 빈발, 보수적 성향 (2) 사회, 경제 1) 농장 확대 - 지주 전호제 강화 2) 군적 수포제 실시 - 양반과 상민의 구분을 확연히 하기 위한 군역제도 3).. 2009. 10. 23.
[조선전기] 과학기술 (천문, 의학, 역학, 농서, 활자, 병서, 무기) 과학 기술의 발달 Ⅰ. 천문, 역법, 의학 1. 조선 초기 과학기술 (15세기) (1) 과학 기술의 장려 (2) 격물치지 학풍 (3) 유학자의 기술학 겸비 (4) 전통문화 계승과 외래문화 수용 2. 천문학, 농업 관련 각종 기구의 발명제작 (1) 천체 관측 기구 - 혼천의, 간의 제작 (2) 자격루(물시계 1434), 앙부일구(해시계), (3) 인경과 파루 (밤 10시 인경에 종을 28번 쳐서 통행을 금지, 새벽 4시의 파루에 종을 33번 쳐서 통행금지) (4) 측우기(1441) - 세계 최초 (5) 토지측량기구 (세조) - 인지의, 규형 (6) 천문도 1) 천상열차분야지도(태조) - 조선 태조 때 고구려의 천문도를 바탕으로 돌에 새긴 천문도 2) 새로운 천문도 제작 (세종) - 소실 (7) 역법 1) .. 2009. 10. 23.
[조선 전기] 불교, 민간신앙, 도교 불교와 민간 신앙 Ⅰ. 불교의 정비 1. 목적 (1) 사회적 - 유교주의적 국가 기초 확립 (2) 경제적 - 국가 재정을 확보 2. 불교 (1) 태조 - 도첩제(허가증) 실시 - 지나친 건립을 금지 * 도첩제 - 포를 낸 사람만 승려 허가 (출가제한) (2) 태종 - 억불책 - 사원 정리, 몰수 (3) 세종 - 선·교 양종으로 통합, 전국에 36개절만을 인정 (4) 성종 - 강력한 억불책 - 도첩제 폐지(출가 자체를 금지) - 산간 불교 (5) 세조 - 숭불 (6) 중종 - 승과를 폐지 (조광조), 승인호패법 실시 (7) 명종 - 승과 부활 (→ 문정왕후 사후 완전 폐지) 3. 명맥 유지 (1) 배경 1) 민간 신앙으로 정착 2) 호국적 - 왕실의 안녕 명복 기원 3) 사회 통합 - 포용·융합 4) 자주.. 2009. 10. 23.
성리학의 발달 성리학의 발달 Ⅰ. 성리학의 정착 1. 고려 말의 성리학 2.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관학파) 사림파 (사학파) 연 원 급진개혁파 (정도전, 조준, 권근) (정인지, 한명회, 신숙주) 온건 개혁파 (정몽주, 길재, 이색 → 조광조) 집권기 15세기 16세기 이후 정치적 입장 적극적인 역성혁명, 유교 국가 운영에 학문적 이론 제공 소극적이며 고려 왕조에 충성 표시 의리와 명분 출 신 성균관, 집현전 사학, 사원 학 문 사장적 성향 (문물정비) 경학적 성향 사상 정책 타 사상도 수용 - 불교, 도교 성리학 중시 정치 이상 중앙집권, 왕도 정치바탕, 패도정치 수긍 부국강병, 기술학 중시, 주례가 이념 향촌 지지, 왕도 정치 주장, 패도정치 비판 도덕과 의리, 성리학적 이념, 소학 중시, 형벌보다 교화에 의한.. 2009. 10. 23.
조선 전기의 문화 - 한글, 교육, 과거제도 민족 문화의 융성 Ⅰ. 조선 초기 민족 문화 발달 배경 1. 민족적, 실용적인 성격의 학문 2. 한글창제 3. 성리학 이외 학문, 사상 중시 4. 유교 이념에 토대를 둔 국왕의 장려 Ⅱ. 교육제도, 과거제도 1. 특징 (1) 양반 위주 교육 (2) 유학 교육에 치중 (3) 교육 기회 확대 (4) 학생의 특전 - 군역 면제 2. 교육 기관 (1) 인문 교육기관 1) 서당 - 초등 - 사학, 향교에 입학하지 못한 선비, 평민의 자제 - 8~16세, 교수, 훈도 파견, 지방교화·유생교육 2) 중앙 - 사학(4부 학당) - 중학, 동학, 서학, 남학 - 정원 100명 (중등교육) 3) 지방 - 향교 - 부목군현에 각각 하나 (중등교육) 4) 성균관 (고등교육) - 생원(유교경전)·진사(한문학) 원칙, 집단 상소.. 2009. 10. 22.
[조선시대] 양반, 평민의 경제활동 경제 정책, 경제 구조 Ⅰ. 경제 정책 1. 농본 정책 2. 농업 정책 - 농경지 확대, 토지 개간, 양전 사업 3. 상공업 정책 (1) 상공업 규제 배경 - 사치 낭비 조장, 농업의 피폐 (2) 상공업 부진 - 직업적 차별, 유교적 경제관, 자급자족적 농업 중심 경제 (3) 16세기 이후의 변화 - 통제력이 약화 Ⅱ. 과전법의 시행과 변화 1. 과전법 시행 (공양왕 3년, 1391) 2. 토지의 종류 (1) 공전 - 수조권은 국가, 민전을 국가의 징세의 대상으로 파악 1) 공해전 - 중앙 관청의 경비 2) 늠전 - 지방 관청의 경비 조달 3) 학전 - 각급 교육 기관 4) 둔전 - 군대 비용 (2) 사전 1) 과전 - 품계에 따라 지급, 원칙적으로 세습은 불허 2) 공신전 - 공신 세습 3) 별사전 -.. 2009. 10. 22.
[조선시대] 성리학적 사회 성리학적 사회 질서의 강화 Ⅰ. 성리학적 명분론, 왕도 정치 1. 성리학적 명분론 (1) 왕도 정치 구현 (2) 양천과 반상이 엄격히 구분 ➝ 가부장 중심의 가족 제도가 점차 보편화 (3) 지주 전호제를 관철 (4) 존화양이 사상을 바탕으로 친명 정책 추진 (5) 성리학 외는 배척 2. 언론과 학문 중시 (1) 경연 - 국왕과 대신이 모여 학술, 토론 (2) 서연 - 세자와 대신이 모여 토론 (3) 상소 - 여론을 정책에 반영 (4) 구언 - 백관의 의견을 들음 Ⅱ. 예학, 족보의 보급 1. 예학의 발달 (1) 종족 내부의 의례를 규정하는 학문 (종법이 사라지고 생김) (2) 삼강오륜, 상장 제례의 의식을 바로 잡는데 기여 (3) 보급 1) 16세기 중반 - 주자가례 2) 16세기 후반 - 가묘, 사당을.. 2009. 10. 22.
[조선] 향촌 사회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Ⅰ. 향촌 사회 1. 향촌의 편제 (1) 향 - 중앙에서 지방관 파견 (2) 촌 - 군·현 밑, 면·리 - 중앙에서 파견하진 않음 2. 향촌 생활 (1) 유향소 1) 수령을 보좌, 향리를 감찰 2) 변화 - 경재소가 혁파 (1603)되며, 향소 향청으로 명칭이 변경 (2) 사족의 활동 - 지주로 향안을 작성 1) 향안 - 지방 사족의 명단으로 임진왜란 전후의 시기에 각 군현마다 보편적으로 작성 2) 향회 - 종래 양반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구였으나 후기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의견을 묻는 자문기구 3) 향규 - 운영규칙 (3) 향약의 보급 - 조광조 때 처음 ➝ 이황, 이이의 노력 (4) 목적 - 사족의 지배력 유지위한 장치일 뿐 Ⅱ. 촌락의 구성, 운영 1. 촌락 (1) 동. .. 2009. 10. 22.
조선 전기의 사회 정책과 법률제도 사회 정책과 법률 제도 Ⅰ. 사회 정책 1. 실시 배경 (1) 농민 생활 안정 - 민본주의, 농본주의 (2) 양반 지배 체제 강화 - 성리학적 명분론, 봉건적 지배 체제 강화 2. 농민 이탈 방지책 (1) 토지 겸병 금지 (2) 재해 시 조세의 경감 3. 사회제도 (1) 환곡 제도 - 국가에서 운영 1) 의창 - 빈민들에게 양식, 곡식 빌려 주고 원곡만 회수 (15세기) 2) 상평창 - 16세기부터 곡식 대여 - 원곡의 감소분으로 1/10을 거두어 들여 고리대화 되었다. (2) 사창제 운영 1) 주민 자치적 2) 성격 - 향촌 사회 안정, 농민 생활 안정 3) 실시 - 문종 1451 ➝ 부실해져 폐지 (성종, 1470) 4. 사회 시설 (1) 의료 시설 1) 혜민국, 동서 대비원 (태조) - 수도권 환자.. 2009. 10. 22.
[조선시대] 양반 중심의 사회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Ⅰ. 양천 제도와 반상제도 1. 양천 제도 (15세기) (1)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하는 제도를 법제화 ➝ 갑오개혁 이전까지 지탱 (2) 양인 - 과거 응시, 조세, 국역 (3) 천민 - 비자유민 - 천역 담당 2. 반상 제도 (16세기) (1) 실제 양반 특권 강화 (2) 양반과 상민 간의 차별 (4) 실제 : 4신분제 정착 - 양반, 중인, 상민, 천민 3. 신분 이동 가능 : 개방적 사회 - 양인이면 과거 응시 가능 (한계가 있다.) cf) 친영제도 - 17세기 이후 여자가 남자 집에서 혼례를 치루고 곧바로 남자 집에서 생활 cf) 남존여비, 이성불양, 장자 상속, 여성 재가 금지 Ⅱ. 신분 구조 1. 양반 (1) 의미 변화 1) 초기 (15세기) - 문반, 무반 (항구적 세습.. 2009. 10.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