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님아이건노이라요69

[고려] 17. 원의 내정 간섭 (정동행성, 쌍성총관부, 동녕부, 부마국, 심양왕, 독로화, 순마소, 만호부, 다루가치, 결혼도감, 응방, 해동청, 몽골풍, 고려양, 관제의 격하)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Ⅰ. 원의 내정 간섭1. 일본 원정 : 정동행성 (원정 준비기관) ➝ 태풍으로 실패T) 두 차례 실시된 원의 일본 원정에 군대와 물자의 제공을 강요 받았다. (충렬왕 때)2. 영토의 상실(1) 쌍성총관부 설치 (1258~1356) : 원 고종 말년 화주(양흥)에 설치 : 철령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편입(➝ 이후에 공민왕이 회복)(2) 동녕부 설치 (1270~1290) : 자비령 이북의 땅 차지, 서경에 동녕부 설치 (➝ 충렬왕 때 폐지)(3) 탐라총관부 설치 (1273~1301) : 목마장 경영3. 영토의 수복(1) 충렬왕 : 동녕부, 탐라총관부(2) 공민왕 : 쌍성총관부4. 관제의 개편 (원의 강요)(1) 부마국 (駙馬國): 원의 공주와 결혼, 원 황제의 부마가 되었다. cf. .. 2013. 9. 15.
[고려] 16. 몽골과의 전쟁 (김윤후, 박서, 삼별초, 배중손, 김통정, 다인철 소, 황룡사탑소실, 살리타) Ⅳ. 몽골과의 전쟁1. 13세기 초 동아시아의 정세 : 몽골의 팽창, 금의 쇠퇴 ➝ 거란의 일부가 대요수국(大遼收國)을세움(1216)➝ 동진국(東眞國, 1217)도 등장 (포선만노(浦鮮萬奴) - 금의 장군)2. 여•몽의 접촉(1) 거란족의 침입 : 몽골에 쫓긴 대수요국 거란족이 남하하다 제천에서 김취려에게 대파 (1217)(2) 강동의 역 : 동진국과 연합하여 강동성의 거란을 몰아냄 (1219)Ⅴ. 몽골의 침입1. 침입 배경(1) 여•몽 협약 (1219) : 공물 강요, 형제 관계 체결* 몽고의 6사 강요 - 입질, 호구 보고, 조군, 조부, 역참설치, 다루가치 주재(2) 몽골 사신 피살 사건 2. 몽골의 침입 과정(1) 제1차 침입 (1231) : 의주를 점령 → 귀주성에서 박서의 저항, 자주성 최춘명.. 2013. 9. 14.
[고려] 15. 고려의 외교 정책 (여진, 만부교사건, 소손녕, 서희 거란족, 강조의 변, 귀주대첩, 7대실록, 천리장성, 윤관, 별무반, 척경입비도, 금 나라, 정봉수) 대외 관계의 변화* 962 : 송과 통교 ➝ 993 : 강동6주(거란) ➝ 1019 : 귀주 대첩(강감찬, 거란) ➝ 1107 윤관 여진정벌 (별무반) ➝1125 : 이자겸, 금의 사대요구 수용 ➝ 1135 : 묘청 서경천도 ➝ 1232 : 강화도 천도 ➝ 1251 : 팔만대장경 ➝1270 개경 환도 ➝ 1368 : 원의 멸망 (공민왕 개혁) ➝ 1389 : 박위 쓰시마 섬 정벌 ~ 홍건적(정세운, 안우, 이승경, 이방식 이성계), 왜구 (최무선, 이성계, 최영, 정지, 연호군) ➝ 1392 : 고려멸망* 거란 916 → 고려 918 → 정안국(定安國) 927 → 송 960 ➝ 남송멸망 1279Ⅰ. 고려의 외교 정책1.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 – 친송배요, 외왕내제 (外王內帝), * 고려도경 (高麗圖經).. 2013. 9. 13.
[고려] 14. 고려 무신 집권기 난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망이망소이의 난, 김사미효심의 난, 전주 관노의 난, 만적의난, 최광수의 난, 이연년의 난) Ⅱ. 사회의 동요1. 무신 정권에 대한 반발 (정중부)(1) 김보당의 난 (1173) : 명종 때 의종의 복위를 꾀함, 반 무신난 성격 (∵ 무신 지배가 강화되는 계기) “명종 3년 (1173) 8월에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이 동계(東界)에서 군사를 일으켜, 정중부, 이의방을 치고 전왕(의종)을 복귀시키고자 하는데 ~ 한언국도 호응하고 장순석 등을 보내어 ~” – 고려사(2) 조위총의 난 (1174) : 서경 유수 조위총이 무신에게 항거 (∵ 농민 전쟁적 성격도 띄고 있다.)(3) 승려의 난 : 귀법사 등 교종 계열 ➝ 개경공격 (최충헌 때)2. 무신 집권기 하층민의 봉기(1) 배경 : 신분 제도의 동요, 백성 수탈의 강화, 지배체제붕괴, 새 국가 건설 의식 등장(∵ 정중부, 이의민 집권 - 이의민은 천민.. 2013. 9. 12.
[고려] 13. 무신정변, 무신정권 (최충헌, 봉사10조, 도방, 교정도감, 흥녕부, 최우, 최이, 서방, 정방, 삼별초) 무신 정권 시대Ⅰ. 무신정변(1170)1. 무신정변의 배경(1) 문벌 귀족 지배 체제의 모순 심화(2) 숭문 천무 (崇文 賤務) 정책1) 무신 차별a. 과거제도에 무과가 없음, 강예재(무학재)의 폐지b. 2품이상의 재상이 될 수 없었다. (∵ 정3품 상장군까지만 마련)2) 의종의 실정3) 무신의 경제권 침해 : 전시과 차별, 지휘권 독점, 의종의 향락생활, 군인전 폐지 ➝ 무신정변 2. 경과 - 정중부, 이의방 등 정변 ➝ 왕을 폐하 ➝ 명종을 세움 (1170, 경인난)3. 무신 정권의 변천(1) 제1기1) 이의방2) 정중부 (1170 ~ 1179) : 중방 (重房) 중심 (∵ 무신지위의 불안정 때문에)3) 경대승 (1179 ~ 1183) : 정중부 제거 ➝ 도방 (都房) (신변경호) 설치4) 이의민 (.. 2013. 9. 11.
[고려] 12. 문벌귀족, 이자겸의 난, 모청의 서경천도 운동 (대화궁, 팔성당, 천견충의군)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Ⅰ.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 1. 성립 : 성종 이후 2. 유형 : 신라 6두품 계열Ⅱ.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 1. 정치 : 과거, 음서 2. 경제 : 공음전, 사전 혜택 3. 사회 : 왕실과 혼인, 점차 폐쇄적•보수적 4.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과 갈등1) 비판 : 예종 때 한안인2) 사건 :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왕이 관란사에 행차하니, 김돈중 등이 절의 서쪽 대(臺)에서 잔치를 베풀었다. 휘장, 장막과 그릇이 사치스럽고 음식이 진기하여 왕이 재상, 근신들과 더불어 흡족히 즐기고, 김돈중, 김돈시에게 백금 각3정과 비단 각10필 거란산 실 70근을 하사하였다.”Ⅲ. 이자겸의 난 (1126)- 1125 : 금의 사대요구 수락 ➝ 1126 : 이자겸의 난 ➝ .. 2013. 9. 10.
[고려] 11. 고려 군역 제도, 고려 군사 조직 (중앙군, 2군6위, 중방, 선군, 지방군, 주현군, 주진군, 특수군, 별무반) 4.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1) 중앙군1) 2군 6위a. 2군 : 친위 부대 → 응양군 - 무신기 ‘반주’, 용호군(친위대) (현종)b. 6위 : 수도경비 (좌우위, 신호위, 흥위위), 금오위(경찰), 천우위(의장), 감문위(궁문수비), 국경방어2) 직업군인 편성, 군인전을 받고 역은 세습 되었다. “이 군인은 나이 20세에 충원되어 전시과를 받고 60세가 되어 제대하였다. 제대할 때 자손이나 친척이 있는 자는 그 자손과 친척으로 하여금 이 군인직을 계승하게 하여 전시과를 넘겨 주고, 자손과 친척이 없는 자는 감문위(監門衛)에 소속시킨 다음 70세가 된 이후 그가 받은 전시과의 일부를 구분전(口分田)으로 주고 제대시켰다.” – 고려사3) 폐단 : 군인전도 지급 못 받자 몰락 (cf. 현종 때 군인전 폐.. 2013. 9. 9.
[고려] 10. 고려 지방 행정조직 (향리, 감무, 안찰사, 5도 양계, 4도호부 8목, 왕경, 향소부곡, 한품제) 3. 지방 행정 조직(1) 지방 제도의 정비1) 태조 a. 자치권 부여 - 임시적 성격의 ‘전운사’를 둠, 호족에게 금유•조장(조세, 행정)직책b. 주•부 설치c. 군현의 ‘내속’관계 완성 - 큰 군현을 계수관으로 삼아 활용 (전기), 500여개의 군현d. 사심관제도 - 지방통제T) 서경, 동경, 남경은 목도호부와 아울러 계수관 지역이었다.2) 성종 : 지방관 최초 파견, 3경제 마련, 12목 설치, 경학박사•의학박사파견, 10도 설치, 12군 설치T) 고려의 후삼국통일 후 50년이 지나서야 처음으로 민사적 지방관을 파견할 수 있었다.3) 목종 - 도단련사•단련사•자사 파견4) 현종 a. 광역조직 : 경기, 5도 양계 (중기부터)b. 기초조직 : 5도 아래 4도호부 8목 56지주군사, 양계 아래 28진 .. 2013. 9. 8.
[고려] 9. 고려 중앙 관제 (광평성, 내봉성, 순군부, 내의성, 도항사, 물장성, 진각성, 검교직, 동정직, 산칙, 상참관, 의형대) * 중앙 관제1. 9품 16계제 - 1품 삼중대광, 중대광 ~ 9품 군윤, 중윤 → 향직 체계2.태조(1) 광평성 (시중, 시랑, 낭중, 원외란) - 총괄(2) 내봉성 - 인사, 사정(司正)(3) 내의성 - 정사 간쟁(4) 순군부 - 군권(5) 병부 (6) 창부 - 재정(7) 의형대 - 법률, 형벌(8) 도항사 - 선박, 수운(9) 물장성 - 공예, 보물(10) 내천부 - 왕실 재산(11) 진각성 - 문서, 도서(12) 백서성 - 문서(13) 내군 - 의장 병기3. 성종 관계 정비 - 중국식 문산계 도입4. 문종 정비(1) 관계의 2등급제 운용1) 문산계 - 2등급2) 종5품 이상 – 대부계, 정6품 이하 - 낭계(2) 문산계 중심 (무신도 문산계를 받음)(3) 무산계 도입(4) 실직, 산직 구분1) 실.. 2013. 9. 7.
[고려] 8. 고려 통치조직, 정치조직, 중앙정치제도 (대간, 사천대, 한림원, 춘추관, 삼사, 어사대, 상서성, 식목도감, 중추원, 도병마사, 재신, 낭사, 추밀, 승선, 중서문하성, 6부) Ⅶ. 통치 조직1. 정치 조직(1) 당제, 송제, 고려의 독자적인 제도 등 세 계통으로 구성, 운영(2) 성종 : 2성 6부제 확립 (중국 3성 6부를 받아들였지만 변형시켜 운영) ➝ 문종 때 완성(3) 주요 통치 기구들은 상하 2중으로 구성(4) 고위직자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겸직제가 시행된 귀족적 체제: 도병마사, 식목도감, 음서(대표적), 공음전, 재추회의, 서경제도2. 중앙 정치 제도 (2성 6부)(1) 중서문하성 (中書門下省, 재부) : 최고 관서1) 문하시중이 국정 총괄2) 재신 (宰臣) : 2품 이상 ➝ 백관 통솔, 국가 중요 정책 심의•결정 (중서령 문하시중 ~ 지문하성사까지)3) 낭사 (郎舍, 간관) : 3품 이하의 관리 ➝ 간쟁, 봉박, 서경권 (관리 임명, 법 개정 등에 동의하는 권리.. 2013. 9. 6.
[고려] 7. 고려 중기 왕들의 업적 사건 (현종, 덕종, 문종, 숙종, 예종, 인종, 서적포, 남경 설치, 사학 12도, 개성 나성, 군현제, 주현 공거법, 목종, 강조 정변, 복원궁, 서적소) * 중기1. 목종 (980~1009) – 개정전시과, 강조정변 (1) 목종 즉위(2) 강조 정변 - 천추태후, 김치양 역모 → 강조가 오히려 현종 옹립(3) 7대실록편찬2. 현종 (1009)(1) 거란2•3차 침입(2) 개성 나성 축조 (1029)(3) 국정안정1) 개성부 정리 - 경중 5부, 경기로 분립(경기제)2) 지방 - 4도호 8목 56지주군사 28진장 20현령으로 개편 (5도 양계)3) 향리의 정원제 실시 - 향리 통제4) 봉행6조 - 수령에게 지침(4) 군현제 골격마련(5) 초조대장경 조판(6) 도병마사(7) 기타1) 주현공거법 – 향리 과거 응시2) 주창수려법 – 창 설치3) 면군급고법 – 70세 이상 부모 섬기면 군역 면제4) 김훈, 최질의 난3. 덕종 (1031) - 천리장성 시작, 민생.. 2013. 9. 5.
[고려] 6. 고려 성종의 업적, 사건 (노비환천법, 비서성, 수서원, 의창, 상평창, 12목, 외관, 최승로, 시무28조, 건원중보, 서희, 문신월과법) Ⅵ. 성종1. 유교 정치의 실현 : 6두품 출신이 주도2. 최승로의 시무28조 건의 (왕권전제화도 규제, 행정기능) ➝ 귀족 권위의 특권을 보장하는 귀족 정치의 실현주장 (X- 국왕 중심의 정치)(노비안검법 비판, 신분질서 유지 강조)(1) 유교 정치 이념 구현 - 과거제 정비 (→ 문벌귀족의 토대 마련) (X- 성리학)(2) 중앙 집권 체제 확립 - “자손을 등용 청합니다.”(3) 문벌 귀족 사회 확립(4) “불교는 수신(修身)의 본(本), 유교는 치국(治國)의 근원(根源)이다.” ➝ 국자감 설치(5) 군사제도의 개편 (북방 경비 철저) “압록강 가에 석성으로써 경계를 삼은 것은 태조가 정한 바입니다.”(6) 신분제도의 확립 - “노비를 안검하니(광종 때) ~ 주인을 모함하는 일이 많았습니다.”(7) .. 2013. 9. 4.
[고려] 5. 고려 혜종, 정종, 광종, 경종 (과거제도, 주현 공부법, 제위보, 노비안검법, 칭제 건원, 광군사, 왕규의 난, 시정전시과, 쌍기) Ⅱ. 혜종 1. 왕권 약화 배경 : 태조의 정략 결혼 2. 왕규의 난 : 외손자인 광주원군(廣州院君)을 옹립하려다 왕식렴에 의해 제거, 왕건의 정략결혼 정책의 부작용3. 박술희 숙청Ⅲ. 정종 1. 서경 천도 계획 : 공신반대로 실패 2. 광군사 설치 (947) : 거란 침입 대비 (30만)Ⅳ. 광종 : 왕권 안정, 중앙 집권화, 호족 세력 약화 1. 노비안검법 (956) : 노비해방(호족약화) ➝ 양인확대 (세수확대) : 국가 재정 기반(역을 부담), 왕권 안정 cf. 유사 - 공민왕의 전민변정도감설치 2. 과거 제도 (958) - 쌍기의 건의로 시행3. 백관의 공복 제정 : 4색 복제 (四色公服制) (자, 단, 비, 녹) 4. 칭제 건원 (稱帝建元) : 황제라 칭, 연호 : 광덕, 준풍, 개경은 황도 .. 2013. 7. 30.
[고려] 4. 고려 태조의 업적 사건, 왕건의 업적 사건 (훈요십조, 사심관제도, 기인제도, 사성정책, 북진 정책, 만부교 사건, 청천강에서 영흥) [2] 고려의 정치 고려의 정치 구조Ⅰ. 태조1. 후삼국 통일 이후 : 호족 세력 포섭, 지배층 편제, 수취 체제 개편2. 민생 안정책(1) 수취 체제 개편 : 취민유도 (세율 1/10으로 낮춤)* 취민유도 (取民有度): 백성들에게 조세를 수취할 때에 일정한 법도가 있어야 한다.(2) 흑창 : 빈민 구제 위해 봄에 곡식 나눠 주고 추수 후에 갚게 했던 기구 cf) 춘대 추납 : 고구려 때 진대법(3) 노비 해방3. 민족 융합 정책 : 능력본위, 개방적 사회4. 북진 정책(1) 고구려 계승 의식 : 국호 고려 (연호 : 천수 天授) (2) 서경 중시 (평양)(3) 거란에 대한 강경책 : 만부교 사건 (선물로 보낸 낙타 50필 죽게 함, 942)(4) 발해 유민 포섭(5) 영토확장 : 청천강 ~ 영흥☞ “우.. 2013. 7. 29.
[고려] 3. 고려 사회의 성격 (중세 사회의 성격) Ⅴ. 중세 사회의 성립1. 중세 사회의 성격(1) 새로운 지배 계층의 형성 : 호족, 문벌 귀족 (성종부터)(2) 유교 정치 질서 중시 : 6두품 계열, 행정적 기능 강조(3) 중세 문화의 발달 1) 문화의 폭 확대 : 혈족적 관념과 종교의 테두리에서 벗어남2) 독자적 성격3) 지방 분화의 성격 뚜렷 : 세련, 소박, 귀족 문화와 공존4) 유•불 문화의 공존 5) 기록에 의한 출판 문화 발달 : 대장경의 조판, 금속활자6) 소박미 - 관촉사, 개태사, 둔마리 고분, 이천동 석불, 운주사 와불(4) 강력한 민족의식의 형성 : 고구려 강토 회복, 북방 민족과의 항쟁과정(5) soy 한국사,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 2013. 7.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