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17. 원의 내정 간섭 (정동행성, 쌍성총관부, 동녕부, 부마국, 심양왕, 독로화, 순마소, 만호부, 다루가치, 결혼도감, 응방, 해동청, 몽골풍, 고려양, 관제의 격하)

by 소이나는 2013. 9. 15.
반응형


<5>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Ⅰ. 원의 내정 간섭1. 일본 원정 : 정동행성 (원정 준비기관) ➝ 태풍으로 실패T) 두 차례 실시된 원의 일본 원정에 군대와 물자의 제공을 강요 받았다. (충렬왕 때)2. 영토의 상실(1) 쌍성총관부 설치 (1258~1356) : 원 고종 말년 화주(양흥)에 설치 : 철령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편입(➝ 이후에 공민왕이 회복)(2) 동녕부 설치 (1270~1290) : 자비령 이북의 땅 차지, 서경에 동녕부 설치 (➝ 충렬왕 때 폐지)(3) 탐라총관부 설치 (1273~1301) : 목마장 경영3. 영토의 수복(1) 충렬왕 : 동녕부, 탐라총관부(2) 공민왕 : 쌍성총관부4. 관제의 개편 (원의 강요)(1) 부마국 (駙馬國): 원의 공주와 결혼, 원 황제의 부마가 되었다. cf. 원(元)의 공주가 데려온 시중 ‘겁령구’(怯怜口)의 횡포가 심함(2) 관제의 격하 1) 2성인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로 바꿈2) 6부를 4사로 통합 → 전리사(이부•예부), 판도사(호부), 군부사(병부), 전법사(형부) → 공부는 폐지3)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 (都評議使司) (독자적, 최고 상설기구)4) 중추원 ➝ 밀직사 (密直司) (➝ 조선 : 승정원, 삼군부)(3) 호칭 격하짐 ➝ 고, 폐하 ➝ 전하, 태자 ➝ 세자, ~조•종 ➝ ~왕, 선지 ➝ 왕지, 상서 ➝ 판서,시랑 ➝ 총랑, 사 ➝ 유, 주 ➝ 정T) 13세기 후반 2군 6위는 중앙 상비군으로의 면모를 거의 상실하였다.5. 원의 내정 간섭과 수탈(1) 원의 내정 간섭 제도1) 심양왕 (瀋陽王) 제도 : 남만주 심양 일대에 포로, 유민 고려민 통치하기 위해 설치 (실제로는 고려왕을 견제)2) 독로화 (禿魯花) 제도 : 고려의 세자가 북경에 인질 후 돌아와 왕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이 되었다.(2) 원의 내정 간섭 기구1) 정동행성 (征東行省) : 일본 원정 준비 기구 에서 변화 ➝ 연락소, 고려 내정 감독의 성격, 의례적 행사를 담당cf) 몽고인으로 임명되어야 할 평장정사, 우좌승, 참지정사는 비워두는 게 보통이었다.2) 순마소 (巡馬所) : 반원 인사 색출, 개경 치안 담당 = 감찰기관 (➝ 조선 : 의금부)3) 만호부 (萬戶府) : 5개의 만호부, 천호부 등 십진법에 따른 군사 편제가 영향력을 행사 (국방, 치안)4) 다루가치 (達魯花赤) : 감찰관 파견, 내정간섭, 공물 징수 감독(3) 몽골의 수탈1) 결혼도감 (結婚都監) : 처녀들 뽑아감 (원종 1272) – 과부처녀추고별감(寡婦處女推考別監)이라 함    “그 처녀의 수가 많은 때에는 40~50명에 이른다. ~ 밤낮으로 우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 고려사절요cf. 그래서 조혼이 유행2) 응방 (鷹坊): 매 징벌 ➝ 해동청 (海東靑) 사육3) 자주성의 손상, 통치 질서의 와해“고종 42년(1255) 3월 여러 도의 고을들이 난리를 겪어 황폐해지고 지쳐 조세∙공부∙요역 이외의 잡세를 면제하고, 산성과 섬에 들어갔던 자를 모두 나오게 하였다. 그때 산성에 들어갔던 백성들로서 굶주려 죽은 자가 매우 많았고, 늙은이와 어린이가 길가에서 죽었다. 심지어는 아이를 나무에 잡아 매어 놓고 가는 자도 있었다. 4월, 도로가 비로소 통하였다. 병란과 흉년이 든 이래로 해골이 들을 덮었고, 포로가 되었다가 도망하여 서울로 들어오는 백성이 줄을 이었다. 도병마사가 날마다 쌀 한 되씩을 구제하였으나 죽은 자를 헤아릴 수가 없었다.” – 고려사절요(4) 지방제도1) 5도 - 안렴사 (按廉使) 파견 2) 양계 - 병마사 → 도절제사 → 도관찰출척사 (‘도’의 성격으로 변화)(5) 기타1) 판도사 (➝ 조선 : 호조)2) 군부사 (➝ 조선 : 병조)6. 원 간섭기의 사회 변화(1) 친원 세력의 대두 (2) 풍속의 교류 1) 몽골풍 (蒙古風): 변발, 복장 등2) 고려양 (高麗樣) : 음악, 예절, 무용, 병, 고려아청, 고려만두 등이 원에 전해짐(3) 만권당 (충선왕) : 원나라에 학문연구소를 설치 (연경에 설치) (조맹부, 이제현) ➝ 문화, 학문의 교류(x – 개경에 설치)cf) 조맹부 - 송설체로 유명(4) 권문세족의 성장(5) 성리학의 수용으로 유학 발전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22. 문벌귀족,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조인규, 윤수, 김방경, 김취려)  (4) 2013.10.02
[고려] 21. 고려의 사회 (고려 신분제도, 중류층, 백정, 정호, 향소부곡, 일천즉천, 천자수모법, 솔거노비, 재인, 화척, 호적제도)  (2) 2013.10.01
[고려] 20. 홍건적의 침입, 왜구의 침략 (최영, 최무선, 이성계, 황산, 홍산, 정지, 관음포, 박위 쓰시마섬, 첨설직)  (3) 2013.09.18
[고려] 19. 공민왕의 개혁정치 (쌍성총관부 회복, 전민변정도감, 신돈, 충용위, 자제위)  (3) 2013.09.17
[고려] 18. 원 간섭기 고려 왕의 업적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정치도감, 찰리변위도감, 의염창, 한림원, 편민18사)  (0) 2013.09.16
[고려] 16. 몽골과의 전쟁 (김윤후, 박서, 삼별초, 배중손, 김통정, 다인철 소, 황룡사탑소실, 살리타)  (4) 2013.09.14
[고려] 15. 고려의 외교 정책 (여진, 만부교사건, 소손녕, 서희 거란족, 강조의 변, 귀주대첩, 7대실록, 천리장성, 윤관, 별무반, 척경입비도, 금 나라, 정봉수)  (10) 2013.09.13
[고려] 14. 고려 무신 집권기 난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망이망소이의 난, 김사미효심의 난, 전주 관노의 난, 만적의난, 최광수의 난, 이연년의 난)  (2) 2013.09.12
[고려] 13. 무신정변, 무신정권 (최충헌, 봉사10조, 도방, 교정도감, 흥녕부, 최우, 최이, 서방, 정방, 삼별초)  (4) 2013.09.11
[고려] 12. 문벌귀족, 이자겸의 난, 모청의 서경천도 운동 (대화궁, 팔성당, 천견충의군)  (0) 2013.09.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