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서점 Book ■

화수분 - 전영택

by 소이나는 2009. 7. 9.
반응형



1. 줄거리

 첫겨울 추운 밤은 고요히 깊어간다.
행랑에서 아범이 우는 소리가 들린다.
 "아범이 왜 울까?"

 나의 행랑에 사는 아범은 아내와 어린 딸 둘과 살고 있으며, 그 아범의 이름은 화수분이다.
화수분은 매우 착해 보이는 사람이었고,
그의 살림살이는 끼니를 잊지 못할 만큼 가난하였다.
 그에게 있는 딸 중 큰 애는 귀동이라 불리며 성격이 아주 유별나고 버릇이 없었다
" 그 어미가 아무리 욕하고 때리고 하여도 볼만 부어서 까딱 없다. 도리어 어미를 욕한다."
작은 애는 이제 세살박이로 항상 어멈의 등에 업히어 있었다.

어느 날 쌀가게 아주머니가 큰 딸을 다른 사람에게 주락 하며 어떤 부인을 소개 시켜 준다.
"제 자식을 남을 주고 싶지는 않지만 어떻게 합니까. 아씨 아시드키 이제 새끼 또 하나 생깁니다그려."
큰 딸은 먹을 것을 많이 준다는 말에 그 부인을 따라 떠나갔다.
"그럼 너 저 마님 따라 살련~ 머리를 끄덕끄덕해요~ 어이가 없어서 내버리고 집으로 돌아왔지요.
 ~ 어째 안되었어요. ~ 찾아갔지요, ~그런데 벌써 떠나가 버렸겠지요."

전날 밤에 화수분이 운 까닭은 바로 남을 따라 떠나간 큰 애를 생각하며 운 것이다.

 며칠 후 화수분은 형 '거부'가 발을 다쳐서 농사일을 못하게 됐다는 전갈을 받고 일을 도와주러 양주로 간다.
(맏형은 장자, 둘째는 거부, 세째는 화수분이 이름이다. 원래 시골에서 남부럽지 않게 살았었다고 한다.)

보름이 지나도록 화수분이 돌오오질 않고 겨울은 점점 깊어져서 아주 추워졌다.
어느 날 어멈이 시골에 보낼 편지를 써달라고 해서 나는 편지를 써주고 붙여주기도 하였다.
그래도 호수분이 연락이 없자 더 이상 내 집에서 지내기가 곤란했던지 어멈이 시골로 간다고 하였다.

어멈이 떠난 그 날은 무척 추웠고, 바람이 몹시 불던 날이었다. 
칼날 같은 바람이 뺩을 친다.
그래서 나는 어멈이 잘 갔나, 얼어죽지나 않았나 걱정이 되었다.

그러던 어느날 김장을 마치고 날씨가 좀 풀어져 따뜻한 날, 동생 S가 놀러왔다.
화수분은 그의 시댁에서 천거했던 사람이라 그 동생이 잘알고 있던 터라 그가 화수분의 소식을 알려 주었다.
 화수분은 시골에서 두 사람 몫의 일을 하다가 몸살이 나서 누워있다가 어멈의 편지를 받고 그는 서울로 떠났다.
양근서 오정쯤 떠나 해질 무렵 백리를 거의 와서 높은 고개에서 내려다보니 
소나무 밑에 희끄무레한 사람의 모양을 발견했다. 그가 달려가 보니 작은 딸과 그 어미였다.
화수분은 왁 달려들어 안았다.
눈 위에 나뭇가지를 깔고 낮아서 헌 누더기를 덮어 쓰고 있었고 누더기 한 끝으로는 어린 것을 싸서 안고 있었다.
서로 마주본 그들 부부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하였다.

어린 것을 가운데 두고 그냥 껴안고 밤을 지낸 모양이다.

이튿날 부부는 얼어 죽었고
그들 사이에 어린 것만 살아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발견한 나무장사가 소에 어린애만 싣고 갔다. 




2. 전영택(田榮澤) - 1894~1967,

1898년 1월 18일 평양 출생
평양 대성학교에 입학 3년 중퇴
진남포 삼숭학교 교원, 서울 관립의학교 교원
동경 유학 - 청산학원 중학부 4학년 편입
1918년 청산학원 신학부 졸업
1919 동경에서 학생독립운동에 참가 후 귀국 - 창조의 동인,
1930년 - 홍사단에 입단하여 문인협회 이사장 역임
대표작 - 화수분, 순교자 베드로, 생명의 봄, 혜선의 사, 독약을 마시는 여인

백과사전 (전영택) 아래


3. 주제 - 가난한 서민의 애환과 따뜻한 인간애

4. 플롯 - '나'의 플롯에 화수분의 플롯이 삽입된 액자형플롯. 나는 부플롯, 화수분이 중심적인 플롯이다.

5. 시점 - 1인칭 관찰자 시점 - '나'가 서술자가 되어 관찰

6. 인물
 (1) 화수분 - 우직, 순진, 가난하지만 자식의 사랑이 강함, 정적 인물
 (2) 어멈   - 무식하지만 순진한 여성 , 정적인물
 (3) 나      - 화수분의 집주인, 서술자, 소극적, 당대 지식인의 전형적 인물, 정적인물

7. 배경
 (1) 공간적 배경 - 자아와 세계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황폐화된 공간
                         첫 배경 중 '깊어가는 추운밤', '바람이 사람을 위협하는 듯 하다'고 표현한 부분,
                        '화수분의 울음소리' 등은 이 글 전개의 중요한 배경이면서 복선의 구실을 하기도 한다.
 (2) 시간적 배경 - 과거를 회상하는 허구적 시간이 주
 (3) 사회적 배경 - 인도주의사상

8. 문학사적 의의 -
 (1) 자연주의적 수법 (주관이 섞이지 않은 냉정한 서술)
 (2) 인도주의적 경향 - 어린 자식을 살리기 위해 죽는 장면에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고
                                역경과 비극적 결말에 동정으로 인도주의적이고 기독교적 모습이 잘 표현되었다.
 (3) 화수분은 조선문단에 1925년 발표

9. 아이러니의 제목
     화수분이란 이름을 통한 아이러니가 이 글의 중요한 의의가 되고 있다.
     화수분이란 '아무리 써도 없어지지 않고 자꾸 불어나는 전설적인 그릇'이란 뜻이지만
     이 글에서 화수분이란 인물은 너무도 가난하게 사는데 대한 묘한 표현으로 화수분을 더욱 빛나게 하였다.

10. 백과사전 (화수분) 아래




화수분이란 것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마치 산타 할아버지 선물주머니처럼 재물이 마구 늘어나는 것,
정말 그건 환상이라는 것은 누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치 꿈같이 좋은 일이 생기는 것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이런 허상은 현실에서는 뜻대로 되지 않기에
더욱 멋진 제목이 되지 않았나한다.
소설의 아범가족은 왜 그리 않 좋은 일만 생기고 그렇게 열심히 일해도 점점 돈은 없어지고 마는지
슬프다. 화수분과 대비되는 극한 대비가 주인공의 이름이 되어 버려 내용의 가혹한 현실을 더욱 극대화 시키고 있다.
정말 아이러니한 제목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운수 좋은 날' 같은 것 보다 한수위 인 것 같다 ㅎㅎ

내용은 상당히 짧은 이야기이다.
아범가족의 힘든 현실과 큰 딸과 헤어짐, 추운 겨울, 아범과 어멈의 죽음의 내용으로 끝나고
작은 딸은 다행이 살아있다.

'운수좋은날'은 좋은 일만 생기다 마지막에 아내의 죽음으로 비극으로 끝나지만
'화수분'은 안 좋은 일만 생기다가 아범과 어범이 죽고, 어린 아이만 살아남는다.
어린 아이를 살려 놓아서 인도주의적이라는 말을 하고는 있지만
부모를 잃고 혼자 살아가야하는 아이를 생각하면 그리 인도적인 것 같지도 않다.

가혹한 현실이 부각된 내용안에서 아이의 미래는 어떠할지..
자신을 살리며 죽어간 부모님을 떠올리면 과연 행복할지 모르겠다.
이것이 인도주의 적이고 기독교적인 성향이라고 믿고 싶지는 않다. ㅠ.ㅠ

결국 개인적으로 화수분은 비극의 극한으로 치닫고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된다.
한 가족의 붕괴를 보여주고, 子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가련한 모습만을 보여 준 것 같다.
단지 착하게 부지런히 살아도 이겨낼 수 없는 한계는 안타까움을 이루 말할 수 없다.






ⓢⓞⓨ
반응형

'■ 서점 Book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망매가 - 월명사  (0) 2009.07.18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신동엽  (0) 2009.07.16
외인촌 - 김광균  (0) 2009.07.15
폭포 - 김수영  (0) 2009.07.11
들길에 서서 - 신석정  (0) 2009.07.10
쉽게 씌어진 시 - 윤동주  (0) 2009.07.09
농무 - 신경림  (0) 2009.07.08
참회록 - 윤동주  (0) 2009.07.07
소설 조조 - 권오중  (0) 2009.07.06
눈이 오시네 - 이상화  (0) 2009.07.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