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Ⅰ. 근대 교육과 학문의 보급
1. 근대 교육의 실시
(1) 원산학사 (1883)
1) 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
2) 덕원 주민
3) 무술, 외국어, 자연과학, 국제법
(2) 동문학 (1883) - 영어, 통역관, 근대적 최초 관립학교
(3) 육영 공원 (1886)
1) 최초의 관립 학교
2) 상류층에 영, 수, 지리, 정치 교육
3) 좌원과 고관관리자체 중심 부원
4) 길모아, 헐버트 (한국통사, 사민피지 = 세계지리서)
2. 근대적 교육 제도의 발전
(1) 갑오개혁 후 = ‘교육 입국 조서’ 반포 (1895)
☞ “교육은 실로 국가를 보존하는 근본이 된다. 교육은 그 길이 있는 것이니, 헛된 것과 실용적인 것을
먼저 구별해야 한다. 이제 짐은 정부에 명령하여 널리 학교를 세우고 인재를 길러 새로운 국민의 학식으로써
국가 중흥의 튼 공을 세우고자 하니, 국민들은 나라를 위하는 마음으로 덕과 건강과 지식을 기를지어다.
왕실의 안전이 국민들의 교육에 있고, 국가의 부강도 국민들의 교육에 있도다.”
→ 이후 소학교·중학교·사범학교·외국어 학교·의학교 등을 세워 관립학교 제도 확립 : 한성사범학교 (1895)
(2) 교과서 - 국민소학독본, 초등본국역사
(3) 소학교령 (1895)
(4) 흥화학교 (1895) - 민영환
(5) 한성영어·일어·한어학교
(6) 한한학원 (1884)
(7) 베론신학당 (1857) - 제천
3. 개신교 계통의 사립학교
(1) 배재 (1885) - 아펜젤러 (최초 사립학교), 감리교
(2) 이화 (1886) - 스크랜튼 (최초 여자 사립학교)
(3) 경신 (1886) - 언더우드 (최초 전문실업교육기관)
(4) 정신 여학교 (1895) - 앨러스
(5) 숭실 (1897) - 배어드 (최초의 지방 사립학교, 근대적 대학 교육의 시작) - 평양
4. 광무개혁 이후
(1) 1899 - 한성중학교, 한성의학교(지석영), 상공학교
(2) 1900 - 광무학교
5. 민족 운동가들의 사립학교
(1) 을사 조약 이후
(2) 보성 (1905) - 서울 = 이용익
(3) 양정 (1905) - 서울 = 엄주익
(4) 신민회
1) 서전서숙 (1906) - 북간도(밀산부) = 이상설, 최초의 민족주의 교육기관 → 김약연이 명동학교로 개명
2) 오산 (1907) - 정주 = 이승훈
3) 대성 (1907) - 평양 = 안창호
4) 양산 (1907) - 안악 = 김구
5) 신흥 (1911) - 남만주 = 이시영
(5) 숙명여학교 (엄귀비), 진명여학교(엄주원) - 1906
(6) 휘문의숙(1905) - 민영휘
6. 민족주의 교육의 발흥 배경
(1) 학회설립
1) 서북학회 - 이갑 (학보발행, 순회강연)
2) 기호학회 - 이광종 (학보발행, 학교설립)
3) 영남학회 - 장지연 (대한자강회)
4) 호남학회 - 이채 (학보)
5) 관동학회 - 남궁억 (황성신문)
6) 흥사단 - 안창호 (흥사단보)
7) 대동학회 - 김윤식 (대동전수학교)
8) 여자교육회 - 진학신 (양규 의숙 설립)
(2) 대학교육
7. 일제의 사립학교 탄압
(1) 보통학교령 (1906) - 관립 6년제 소학교를 4년제 보통학교로 개편
(2) 사립학교령 (1908)
Ⅱ. 국학 연구의 진전
1. 국학 연구 - 실학이 원류 - 민족의식 고취
2. 국사 연구
(1) 근대 계몽 사학의 성립
1) 영웅전기 보급 (애국심 - 을지문덕, 강감찬, 이순신)
2) 외국 역사서 번역
3) 일제 침략 비판
a. 황현 - ‘매천야록’, ‘절명시’ - 1910 을사조약 “요사스러운 기운이 가리워 임그별을 옮겨가고 ~”
b. 정교 - 대동역사(1905), 대한계년사(1910)
4) 일제 맹종 - 역사집략 (김택영, 1905)
(2) 신채호
1) 독사신론(1908)
2) 역사 서술 - 조선사연구초, 조선상고문화사
3) 이순신전, 을지문덕전, 최도통전, 이태리 건국 삼걸전
(3) 현채 - 동국사략, 유년필독, 월남망국사
(4) 조선 광문회 - 고전 정리, 간행 (최남선, 박은식)
* 박은식 - ‘한국통사’ = ‘혼’을 강조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안중근전, 연개소문, 동명성왕전
(5) 메켄지 - ‘조선의 비극’, ‘자유를 위한 투쟁’
(6) 그리피스 - ‘은둔의 나라 한국’
(7) 헐버트 - ‘한국사’, ‘대동기년’
(8) 우기선 - 강감찬전
3. 국어 연구
(1) 국한문체의 보급
(2) 서유견문 - 유길준 - 국한문채 보급에 공헌
(3) 독립신문, 제국신문 - 한글
(4) 황성신문 - 한글, 한문 혼용
(5) 국문연구
1) 국문연구소 - 지석영, 주시경
2) 국어연구학회 (1908)
3) 국어강습소
4) 문법서
a. 유길전 : 조선문전 (1895) - 최초의 근대 문법서
b. 이봉운 : 국문정리 (1897) - 한글 전용, 띄어쓰기의 선구
c. 지석영 : 신정국문 (1905) - 공식적 최초 국문 통일안 제시
→ ‘·’를 없애고 ‘ㅣ’, ‘ㅡ’ 자의 합음으로 ‘ㅢ’자를 새로 만듦
d. 주시경 : 국어문법 (1906) - 한글 맞춤법 통일안 확립
4. 국학 운동의 의의
(1) 민족의식 고취
(2) 학문적 깊이에는 한계성 존재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사] 국권의 피탈과 민족의 수난 (일제의 통치 변화) (0) | 2009.11.11 |
---|---|
일제치하 민족 경제의 변화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병참기지화 정책) (0) | 2009.11.11 |
[구한말] 문예, 종교의 새경향 (1) | 2009.11.10 |
독립운동 (0) | 2009.11.10 |
개항 이후 사회 변화 (1) | 2009.11.09 |
근대 문명의 수용 (0) | 2009.11.08 |
구한말 경제 침탈, 경제 구국 운동 (0) | 2009.11.07 |
애국 계몽 운동 (0) | 2009.11.07 |
항일 의병 전쟁 (을미의병, 을사의병, 활빈당, 정미의병,) (2) | 2009.11.06 |
아관파천, 독립협회, 대한제국 (주권 수호 운동) (0) | 2009.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