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저항 운동의 전개
Ⅰ. 농민 운동
1. 배경
(1) 농장 확대 - 일본의 토지 약탈, 한국인 지주성장
(2) 결과 - 농민 이탈, 소작
2. 1920년대 소작 쟁의의 전개
(1) 무현군 (신안) ‘암태도 소작쟁의’ (1923), 동양척식주식회사 농장소작쟁의(1924)
(2) 용천불이서선농장소작쟁의 (1925, 1927)
(3) 소작인 조합중심
3. 1920 중반 - 조선 농민 총동맹 (1927)
→ 소작료 인하, 생존투쟁, 소작권 이전 반대
4. 1920년대 후반 - 정치색이 짙어짐
* 1929 - 갑산 회전민 사건
5. 1930 이후
1) 동양 척식주식회사
2) 비합법적, 혁명적 농민 조합 조직(적색 농민조합) → 항일 농민 폭동, 사회주의와 연계
3) 더욱 활기 있게 전개
4) 소작권 취소, 이동반대 투쟁
6. 1930년대 후반부터 - 잠복기
1. 조선노동공제회 : 최초의 전국적 규모 노동자 조직 2. 조선노동연맹회 - 계급적 목표를 내세움 3. 조선노농총동맹 1) 사회주의 이념 반영 2) 전국적인 노동자·농민 조직 결성 3) 소작료를 인하하고 지세공과금을 지주가 부담할 것을 주장 (X - 농민들의 투쟁보다 노동자들의 투쟁을 우선시) ☞ * 우리는 노농계급을 해방하여 완전한 신사회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 우리는 단결의 위력으로서 최후의 승리를 얻을 때까지 철저히 자본가계급과 투쟁한다. * 우리는 노농계급의 현 생활에 비추어 복리증진 및 경제적 향상을 도모한다.
T) 농민·노동 총동맹이 노농총동맹으로 결합하며 대중운동은 한층 활기를 띠었다? (X) ➝ 다시 분리 (27년), 수적으로 농업노동자가 임노동자를 압도 T) 1925~1927년 시기 소작인조합이 농민조합으로 개편되어 자작농까지 포함하는 보다 대중적인 조직으로 바뀌었다.
|
Ⅱ. 노동 운동, 노동 쟁의
1. 1910 - 80% 이상 농업 ➝ 1930 이후 - 노동자
2. 원인 - 열악한 조건, 민족 차별, 일본의 독점 자본주의의 수탈, 일본 대기업 진출, 광공업 발달
3. 노동 조합의 결성 - 조선노동 총동맹, 적색 노동조합
4. 1920년대 후반기
(1) 영흥 노동자 총파업(1928)
(2) 원산노동자 총파업(1929)
1) 라이징선 석유회사 일본인 감독이 한국인 노동자를 구타한 사건이 계기
2) 최저임금 보장, 8시간 노동제 수립, 외래자본의 착취반대 등을 주장
3) 지역 노동운동단체인 원산노동연합회에 의해 조직적으로 주도 (X- 방직노동자를 중심으로 파업 전개)
4) 국내 노동자 단체의 지지와 성원
5) 사건이 발생하자 신간회도 조사단을 파견
6) 무력 탄압으로 실패 soy 한국사
5. 1930년대
(1) 투쟁적, 항일, 평양 고무공장 총파업
(2) 30년대의 혁명적 노동조합운동은 산업별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방법으로 추진되었고
공산당재건운동의 토대가 되었다.
Ⅲ. 민족 기업의 육성 (1920년대)
1. 배경 - 민족산업육성, 경제적 자립도모
2. 소규모 공장 건설이 두드러짐
3. 민족 기업의 설립
(1) 평양 메리야스 공업 (서민)
(2) 물산장려운동
(3) 경성 방직 주식회사 (지주) - 김성수
Ⅳ. 물산 장려 운동 (1922)
1. 사회주의 계열은 부르주아 운동 이라며 불참
2. 자본가 이익 독점
3. 자작회 (1923)
4. 물산장려회 - 조만식, 평양 (조선산직장려회)
5. 초기와는 달리 전개과정에서 일제와 타협하는 모습도 보였다.
➝ 1년도 못되 흐지부지, 민중외면, 민족주의계 이상재도 나옮
☞ “내 살림 내 것으로 ~”, “조선인이 만든 것을 입고, 먹고, 쓰자.”
☞ “독립을 실현하기 위하여 가장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는 독립의 기초가 되는
경제와 문화 분야와 실력을 양성하는 일이다.”
[경성방직 주식회사의 국산품애용운동 광고선전]
1. 1920년대 농민·노동운동에 대한 설명 1) 소작 쟁의는 주로 소작인 조합을 중심으로 전개 되었다? (O) 2) 노동 운동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투쟁은 원산 노동자 총파업이었다? (O) 3) 농민 운동으로 암태도 소작 쟁의가 일어났다? (O) 4) 농민·노동자의 쟁의가 절정에 달하였다? (X) ☞ 1930년대
2. 애국 계몽운동 1) 학회, 학교 설립, 문화 운동 등을 통해 대중을 계몽하고자 하였다? (O) 2) '식산흥업‘표방, 실력 양성론 등은 제국주의 침략을 묵인한 한계이다? (O) 3) '우승열패론‘을 기반으로 약자에 대한 강자의 지배를 인정하였다? (O) 4) 의병의 항일 투쟁에 호의적이었다? (X)
<참고> 1. 동제사 - 상하이 1912 - 신규식 - 한국 유학생 2. 일본의 민족 기업 육성 억압정책 - 회사령, 어업령, 광업령, 전매제도 3. 방곡령 (1889) - 황무지 개간 저지 - 보안회 (19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