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삼국, 남북국] 16. 삼국의 불교, 발해의 불교 (삼국의 불교 전래, 마라난타, 이차돈, 삼론종, 열반종, 혜자, 미륵불 신앙, 원효, 의상, 화엄종, 원측, 혜초, 김교각, 진표, 선종, 교종, 9산)

by 소이나는 2013. 7. 15.
반응형



<2> 사상의 발달Ⅰ. 원시 종교1. 삼국의 민간 신앙 : 천신, 일월신, 산신, 해신, 샤머니즘, 점술2. 삼국 지배층의 시조 신앙 : 시조신 (始祖神)(1) 고구려 : 고등신(주몽), 부여신(주몽의 어머니)

(2) 백제 : 동명신, 온조신, 구이신(고이왕)(3) 신라 : 박혁거세신, 나을 신궁 건립 (김씨 시조 모심 - 지증왕 때부터 제사)Ⅱ. 삼국의 불교1. 전래 시기 : 4세기

2. 수용 배경(1) 초부족적인 사상 통일(2) 지배 질서 강화 : 왕즉불 (王卽佛) 사상, 윤회설 (輪廻說)3. 전래 과정(1) 고구려 : 소수림왕 (372) : 전진의 순도 (아불란사, 성문사)

(2) 백  제 : 침류왕 (384) : 동진의 마라난타(3) 신  라 : 전래 눌지왕(457), 고구려 묵호자 (귀족세력의 공인 반대)                      [이차돈 순교비] ➝ 공인 법흥왕(527) : 이차돈의 순교

(4) 대승•소승 섞여 들어옴4. 삼국 불교의 특징(1) 왕실불교 - 국왕을 석가모니 혈통으로 성화시킴(2) 귀족불교 - 윤회사상으로 특권유지(3) 호국불교 - 황룡사 9층탑, 인완경 백좌강회, 세속5계, 팔관회, 걸사표 (군사를 청하는 글)

   “왕이 고구려가 영토를 자주 침범함을 불쾌히 여겨, 수 나라 군사를 청하여 고구려를 치려고 원광에게 걸사표(乞師表)를    지으라 하였다. 원광이 가로되, “자기가 살려고 남을 멸하는 것은 승려의 도리가 아니나, 제가 대왕의 땅에 살며 대왕의

    곡식을 먹고 있으니 어찌 감히 명령에 따르지 않겠습니까?”라고 하였다. – 삼국사기   “국토가 어려워지려 하여 여러 재난이 일어나고 외적이 침입하였을 때에, 도량을 장엄히 하여 백 개의 보살상, 백개의

    나한상을 보시고, 백 명의 비구승을 청해다가 인왕경을 들으면 각종 재난이 사라질 것이다.” (4) 샤머니즘적 성격 - 성황당, 칠성각(5) 현세 구복적 성격 - 과거 무격이 담당하던 기능을 승려가 대신하게 되었다. (X- 내세적)

(6) 계율종이 가장 중요5. 불교의 역할(1) 고대 문화 발전에 공헌(2) 철학적 인식의 토대 구축(3) 중앙 집권화에 기여 (왕권강화)6. 삼국의 불교(1) 고구려 1) 삼론종(‘공(空)’을 이해) - 승랑 (중국 3론종 3대조)「화엄의 소」 (4~6c)

☞ ‘중론’, ‘십이문론’, ‘백론’을 근본 경전으로 성립모든 존재는 연기(緣起)할 뿐, 독자적 존재성, 자성(自性)은 없다.2) 열반종 (7c - 보덕) - 도교의 불로장생사상에 대항 (전주 경복사)

3) 천태종 - 파악 (중국 ‘지의’의 문화)4) 혜자 - 쇼토쿠 태자의 스승, 일본 삼론종의 시조(2) 백제 1) 율종 : ‘계율’ - 형식주의2) 성왕의 불교 장려 a. 겸익 : 소승 불교 계열인 율종 관계의 불경 번역 - 「범본 오부율」

b. 노리사치계 : 일본에 전파3) 현광 - 중국 천태종 혜사의 문하4) 법왕 - 살생금지법, 가축을 놓아주기도 함 5) 혜총 6) 관륵 : 무왕 때 승려로 일본에 불교 전파, 삼론종(三論宗)

(3) 신라1) 업설 (業說) = 왕이 곧 부처 (왕즉불) 2) 미륵불 신앙 : 화랑 제도와 밀접한 관련, 불국토(佛國土)를 건설한다.   “진지왕 때에 와서 흥륜사의 승려 진자가 법당의 미륵상 앞에서 소원을 빌며 말했다. “원컨대 우리 부처님이 화랑으로

    변하여 세상에 나타나시면 내가 항상 얼굴을 가까이 뫼시고 받들어 모시겠습니다.” 그 정성스럽고 지극한 기원의     심정이 날로 더해 가더니 어느 날 꿈에 한 승려가 나타나 말했다. “웅천의 수원사에 가면 미륵선화(彌勒仙花)를

    볼 수 있으리라.” 진자가 꿈에서 깨어 놀랍고도 기뻐서 그 절을 찾아가니 한 소년이 친절하게 맞이하여 자신도    서울 사람이라고 하였다. 진자가 다시 서울로 올라와 마을을 찾아다니면서 그를 찾았다. 그러다가 화장을 하고 

    장신구를 갖춘 수려한 남자아이가 영묘사의 동북쪽 길가에서 노는 것을 보았다. 진자는 그가 미륵선화라고 생각하여    가마에 태우고 돌아와서 왕에게 보였다. 왕은 그를 공경하고 사랑하여 받들어 국선(國仙)으로 삼았다. 그는

    자제(子弟)들을 화목하게 했으면, 예의와 가르침이 다른 사람과 다르고, 풍류가 세상에 빛났다.” – 삼국유사3) 법흥왕 ~ 진덕 여왕 : 불교식 왕명 (왕권과 밀착)

4) 진흥왕 a. ‘전륜성왕’이라 여겨짐 – 자신의 아들을 전륜성왕(轉輪聖王) 설화에서 이름을 따서 금륜∙동륜이라 함.b. 고구려의 승려 혜량을 맞아 국통으로 삼고 그 아래 주통, 군통을 두어 교단을 조직, 

전몰사졸을 위해 호국적 성격의 팔관회 개최cf) 팔관회 - 불교수행의 하나로 남조에서 유행한 것5) 진평왕 a. 원광의 세속5계 (cf. 원광 - 걸사표도 씀) b. 진종설 유포 (왕실이 석가모니의 종족이다.)

c. 보살계의 강조 - ‘보살계제자’로 참회d. 불교의 대중화 - 혜공, 대안e. 사회윤리, 국가 정신 강조6) 선덕 여왕 a. 자장의 계율종 개창 b. 호국적 성격의 황룡사 9층 탑 건립 (자장의 건의, 백제 기술자 아비지의 지도)

* 자장 관련 키워드 – 진골, 중국, 대국통, 황룡사9층목탑, 통도사Ⅲ. 불교 사상의 발달1. 통일 신라 불교의 특징: 불교의 이해 기반 마련, 사회적 통합 강화, 불교의 대중화

2. 통일 신라의 명승(1) 원효1) 불교의 이해 기준 확립 : ‘대승기신론소 (大乘起信論疎)’,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 대승기신론소 : 중국 화엄학 성립에 영향을 미침, 중관 사상과 유식사상을 하나로 회통 시키는 이론적 기반 제시

2) 종파 융합에 기여: ‘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 “세계의 모든 것은 공이다. 모든 현상은 식이다. 오직 한마음(一心)”* 화쟁사상 : 통합, 융화 - 교종 불교의 제학설을 한 단계 높은 차원에서 통합하려는 사상

3) 불교의 대중화 : ‘정토종 (아미타 신앙)’보급 (나무아미타불만 염불하면 왕생한다.)4) 법성종의 개창 : ‘화엄경소’ (실천) 남김 (교종)5) 점찰법회 (占察法會): 점을 쳐 악업을 참회, 법회로 중생의 해탈을 도모

6) 삼국유사 : 스스로 소성거사(小姓居士)라 일컬었다. ~ 무매한 무리도 나미아무타불을 부르게 되었다.7) ‘무애호’를 가지고 다님8) 「무량수경종요, 「아미타경소」, 「유심안락도」

9) 삼론종(대승불교)을 발전시킴10) 고려시대에 화정국사라 칭cf) 원효가 활동하던 시기 - 감은사 창설* 주의 : '무량수경의소‘는 법위 (저서) “~ 열면 헬 수 없고 가없는 뜻이 대종(大宗)이 되고, 합하면 이













soy 한국사,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문(二門) 일심(一心)의 법이 그 요차가 되어 있다.

그 이문 속에 만 가지 뜻이 다 포용되어 조금도 혼란됨이 없으며 가없는 뜻이 일심과 하나가 되어 혼융된다.”“크다하나 바늘 구멍 하나 없더라도 쑥 들어가고, 작다하나 어떤 큰 것이라도 감싸지 못함이 없다. ~ 

도를 닦는 자에게 온갖 경계를 모두 없애 ‘하나의 마음(一心)’으로 되돌아가게 하고자 한다.” - 대승기신론소 “형이상학적 관점에서 화쟁의 논리적 근거를 일심(一心)에 두었다.

세상 모든 것은 일심에서 비롯되므로 모든 대립적인 이론들은 결국 평등하다는 것이다.”“하는 말은 상식에 어긋나고 드러난 행동은 거슬리고 거칠었다. 거사처럼 기생집과 술집을 드나들었고,

지공같이 갈과 석장을 지녔다. 소(疏”)를 지어 화엄경을 강하기도 하고 사우에서 가야금을 타며 노래하기도 하고,속인 집에서 잠을 자기도 하고, 산수 간에서 좌선도 하는 등 마음 가는 대로 하여 도무지 정해진 틀이 없었다.”

“오직 우리 해동 보살님은 성(性”)과 상(相)을 융통하여 밝히고 고금을 세밀히 살피서 백가이쟁의 실마리를 화합시켰으니, 일대의 지극한 공론을 얻으셨습니다. ~ 이름은 중국과 인도에 떨쳤고, 자비스러운 교화는 

저승과 이승을 감쌌으니, 그로 인한 덕을 찬양하려 해도 진실로 헤아리거나 말할 수 없습니다. 저(의천)는 천행을 두터이 입어 불승을 사모하여 선철(先哲)의 저술을 얻어 보았으나, 성사(聖師)보다 

나은 이가 없었었습니다.” - 대각국사문집 (원효를 표현)

“헛되고 헛된 논의가 구름이 달리듯 하여, 혹은 말하기를 내가 바르고 남은 바르지 못하다 하고 혹은 말하기를 내가 옳고 남은 옳지 못하다 하여, 도리어 그 형세가 강물과 같이 되었다.” – 십문화쟁론

“삼계가 오직 마음먹기 나름이요, 만법이 오직 생각 탓으로 생기는 것이라, 마음 밖에 따로 업이 없는 것을 무엇 때문에 법을 따로 구할 필요가 있겠는가. 나는 당나라로 가지 않겠노라.” – 송고승전


“아침에 일어나 보니 그들은 옛 무덤의 해골 사이에 누워 있었다. ~ 스님이 탄식하며 이르기를, “어젯밤에는 토굴이  아닌 무덤에서 잠을 자도 편안했었는데 오늘밤에는초저녁부터 도깨비굴이 있다 생각하니 탈이 많구나, 마음먹기에

 따라 가지가지의 일이 생기는 구나. 차별하는 생각이 없어지니 토굴이건 무덤이건 다를 바 없지 않은가. 삼계가 오직 마음먹기 나름이요. 만법이 오직 생각 탓으로 생기는 것이라. 마음밖에 따로 법이 없는 것을 무엇 때문에 법을

 따로 구할 필요가 있겠는가. 나는 당나라에 가지 않겠노라.” 라고 하였다. – 송고승전2) 의상 1) 화엄종 창설 : ‘화엄일승법계도’저술2) 화엄 사상 : 일즉다 다즉일 (一卽多 多卽一)의 원융 (圓融) 사상, 

우주의 다양한 현상을 하나로 귀결,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하나가 곧 일체이다.” → 왕권강화 (업설, 왕즉불과 연관)“모든 존재는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3) 현세에 고난을 구제 받고자 하는 관음 신앙을 중심으로 불교 대중화4) 영주 부석사5) 백화도장 발원문“법성은 원융하여 두 모습이 없으니 모든 불법은 부동하여 본래 고요하다. 

~ 하나 안에 일체이며, 모두가 하나이다.하나의 작은 먼지 안에 모든 방향을 포함하고 일세의 먼지 안에 역시 이와 같다.”            [화엄일승법계도]

“문무왕이 경주에 도성을 새로 쌓으려 하지 이 승려는 “왕의 다스림이 밝으면 짚단으로 경계를 삼아도 백성이 이를 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왕의 다스림이 밝지 못하면 장성을 쌓더라도 

재앙이 그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스님은 상선을 타고 등주 해안에 도착하였는데, 어느 신도의 집에 며칠을 머물게 되었다. 그 집의 딸 선묘는 스님을 사모하여 결혼을 청하였으나, 스님은 오히려 선묘를 감화시켜 보리심을 발하게 하였다. ~ 용으로 변한 선묘님은 

스님을 사묘하여 스님이 신라에 도착한 뒤에도 줄곧 옹호하고 다녔다. 스님이 화엄의 대교를 펼 수 있는 땅을 찾아 봉황산에 이르렀으나 도둑의 무리 5백 명이 그 땅에 살고 있었다. 용은 커다란 바위로 변하여 공중에 떠서 도둑의

무리를 위협함으로써 그들을 모두 몰아내고 절을 창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삼국유사 (3) 원측 

1) 유식 (唯識) 불교를 깨달아 서명사에서 강의 - 규기와 논쟁하며 우위성 보여줌2) 당에 머물며 독경에 종사cf. 유식불교 : 일체의 삼라만상이 오직 마음에 의해서 변화한다.

(4) 혜초 : 인도 - ‘왕오천축국전’ (往五天竺國傳) (펠리오에 의해 간쑤성 돈황 석굴에서 발견, 파리박물관에 있음)(5) 김교각 1) 왕족출신2) 중국에서 포교하다 지장보살이 되었다.                              (X- 미륵보살)

(6) 진표 - 점찰 신앙선도, 미륵신앙(법상종), 지방서민에게 유표, 금산사.(7) 불교의 대중화1) 원효 : 극락에 가고자 하는 아미타 신앙2) 의상 : 아미타 신앙 + 관음 신앙(현세 고난을 구제)

T) 법흥왕 (왕호) ➝ 진흥왕 (국통, 주통, 군통의 교단 조직)➝ 진평왕 (사회 윤리, 국가정신 고양) ➝ 선덕여왕 (황룡사 9층 목탑)T) 불교의 호국성 : 백고좌회(백좌강화)에서 호국경인 인왕경을 강독하였다. (진평왕)

Ⅳ. 선종의 전래1. 전래와 보급 - 통일 전후 선덕 여왕 때 법랑, 혜공왕 때 신행 헌덕왕 때 도의 등이 전래, 교종에 밀리다가 신라 말기에 가서 기반을 넓힘2. 선종 9산의 발달

(1) 선종에 성격1) 실천적 경향 : 문자를 넘어(不立文子), 수행으로 마음속에 내재된 깨달음을 얻는다. 인간의 본성을 바라보면 곧 진리를 깨친다. (見性悟道 견성오도).

2) 좌선•참선 중시 : 불립문자(不立文字), 이심전심(以心傳心), 교외별전(敎外別傳), 즉시성불 - 직관적 인식(참선) 방법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3) 혁신적인 성격

4) 호족의 이념적 지주5) 중국의 남종선 계통의 선풍이 주류(2) 9산의 형성1) 화엄사상, 선종, 지방 호족 출신                                     

2) 최초의 본산 : 도의가 개창한 가지산파3. 선종 발달의 영향(1) 중국 문화에 대한 인식 확대(2) 신라 말기 조형 미술의 쇠퇴 (부도는 발달) (∵ 유파를 상징하는 스승 유골이 존중)

(3) 지방 문화 역량 증대 (호족)(4) 고려 왕조 개창의 사상적 기반 (반신라적 경향)                          [신라의 교종과 선종9산]“820년대 초에 승려 도의가 서쪽으로 바다를 건너가 당나라 서당 대사의 깊은 뜻을 보고 지혜의 빛이 스승과 비슷해져서

 돌아왔으니, 그가 그윽한 이치를 처음 전한 사람이다. ~ 그러나 메추라기의 작은 날개를 자랑하는 무리들이 큰 붕새가  남쪽으로 가려는 높은 뜻을 헐뜯고, 기왕에 공부했던 경전 외우는 데만 마음이 쏠려 선종을 마귀 같다고 다투어 비웃었다.

 그래서 도의는 빛을 숨기고 자취를 감추어 서울에 갈 생각을 버리고 마침내 북산에 은둔하였다.”-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 비문 (중국 선종 도입한 ‘도의선사’)

교 종 선 종분파 5교 9산성격 불경•교리 중시, 전통•권위 중시 좌선•참선 중시, 형식과 권위 부정, 실천지지 중앙 귀족  지방 호족, 6두품

융성 신라 중대 신라 말기 (하대)영향 조형 미술 발달, 중앙 집권화 조형 미술 쇠퇴, 중국 문화 인식 확대,지방 역량 증대, 고려 개창 기반, 한문학 발달

교 종 (중대) 선 종 (하대)구분 개창자 중심사찰 비고 구분 개창자 중심사상 비고열반종 보덕 경복사(전주)  불교 대중화의 기반, (통일 전 개창) 가지산 도의 보림사(장흥) 최초

계율종 자장 통도사(양산) 삼국이 모두 중시 (통일 전 개창) 실상산 홍척 실상사(남원) 법성종 원효 분황사(경주) 일명 해동종 - 교학불교, 경주 중심 도리산 혜철 태안사(곡성) 호족

화엄종 의상 부석사(영주) 전제왕권 뒷받침 (교학, 경주) 봉림산 현욱 봉림사(창원) 법상종 진표 금산사(김제) 미륵신앙으로 확대 → 백제, 고구려로 확산

신라 불교계의 지역적 분화를 가져옴. 사자산 도윤 흥녕사(영월) 호족 사굴산 범일 굴산사(강릉) 진골 출신 6두품

cf) 이엄 (須彌山) - 왕건의 고문 성주산 무염 성주사(보령) 진골 출신 6두품 cf) 당 유학 - 도의, 혜철, 무염, 도윤, 현욱, 범일 희양산 도헌 봉암사(문경)

수미산 이엄 광조사(해주) 마지막Ⅴ. 발해의 불교 1. 왕실•귀족 중심의 불교 2. 불교의 융성 (승려 : 정소)3. 토착신앙과 융합 - 아브리코스 절터에서 발견된 치미에 용이 새겨짐

4. 경교와도 결합 - 아브리코스 절터 : 경교의 십자가 점토판 발견 1. 무량수전 - 극락정토를 주관하는 아미타 여래 좌상을 모신 법당2. 대웅전 - 석가모니불을 봉안, 법화경에 근거한 사바세계의 석가모니불

3. 아미타불 - 무량수경의 극락세계4. 비로자나불 - 화염경의 연화장세계1. 다음 불교 성향의 시대 상황은? “문자를 뛰어넘어 연구보다 실천 수행을 통하여 개인적인 마음속에 내재된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실천적인 경향이 강하였다.”1) 조형 미술의 발달2) 도당 유학생의 증가3) 독자적인 지방 세력의 성장4) 유교 정치 이념의 도입☞ (3번) - 불립문자 선종, 신라 하대

2. 어느 시대인가?(1) 아미타 신앙, 관음 신앙 등이 등장하면서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 통일 직후(2) 경주 중심의 지리 개념에서 벗어나 국토를 재편성하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신라 말기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 21. 백제의 예술 (벽돌 무덤, 무령왕릉, 송산리 고분, 금동대향로, 서산마애삼존불상, 창왕명 석조 사리함, 정림사지 5층석탑, 미륵사지 석탑, 백제의 무덤)  (2) 2013.07.20
[삼국] 20. 고구려의 예술 (고구려의 고분, 고구려 고분벽화, 장군총, 굴식돌방무덤, 각저총, 씨름도, 사신도, 현무도, 청룡도, 주작도, 무영총, 무용도, 수렵도, 안악 3호분, 수산리 고분벽화, 안..  (4) 2013.07.19
[삼국] 19. 삼국의 과학, 기술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첨성대, 천문학)  (2) 2013.07.18
[삼국, 남북국] 18. 삼국 학문, 발해 학문, 통일 신라 학문 (최치원, 설총, 강수, 김대문, 독서삼품과, 국학, 토황소격문, 계원필경)  (3) 2013.07.17
[삼국, 남북국] 17. 삼국 도교, 발해 도교, 삼국 풍수지리설 (현무도, 강서대묘, 사택지적비, 백제 금동대향로, 백제 산수무늬벽돌, 정효 공주 묘지)  (2) 2013.07.16
[삼국, 남북국] 15. 삼국 문화의 성격, 통일 신라 문화의 성격, 발해 문화의 성격  (2) 2013.07.14
[남북국] 8. 발해의 경제 (솔빈부, 발해의 대외무역)  (4) 2013.07.12
[남북국] 7. 통일 신라의 경제 (민정문서, 촌락문서, 연수유답, 정전, 관료전, 계연, 장보고, 법화원, 교관선, 이슬람상인, 휴경법)  (2) 2013.07.11
[삼국] 14. 삼국의 경제 (삼국 수취제도, 경무법, 두락제, 결부법, 진대법, 귀족 경제, 삼국 농민경제)  (3) 2013.07.10
[남북국] 6. 남국국 시대의 사회 (통일 신라의 사회, 발해의 사회, 금입택)  (2) 2013.07.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