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군영은 서인의 정권 유지를 위한 군사적 기반이 되기도 하였고, 군내 정세와 대외 관계의 변화에 따라임기응변식으로 설치되었다? (O)2. 선조 때 신설된 훈련도감은 살수, 사수, 포수의 삼수병을 양성하였다? (O)cf) 삼군문 - 훈련도감, 어영청, 금위청Ⅲ. 군사 제도의 변화1. 군사 제도 개편의 배경2. 중앙군군영 시기 지역 특 징 구성 경제 기반훈련도감 선조 수도 삼수병 (포수, 살수, 사수) 장번 급료병 (용병) 삼수미세(2.2두)어영청 인조 효종 때 북벌 운동의 본영 농민 번상병 보인총융청 경기 일대 북한산성 중심 경기 속오군 경비담당수어청 광주, 부근 남한산성 중심 금위청 숙종 왕실 (수도) 5군영 체제 완성 농민 번상병 보안(1) 5군영 체제1) 훈련도감 (訓鍊都監) (왜란 중, 선조)a. 직업군인 - 급료를 받음b. 설치 - 의무병제와 농병 일치제가 무너지고 용병제, 상비군제로 바뀌어 가는 계기c. 살수 - 장기간 근무하고 일정한 급료를 받는 상비군d. 삼수병 – 장기근무 (급료) = 상비군“당속미 1천석을 군량으로 하되, 한 사람당 하루에 2되씩 준다고 하여 군인을 모집하면 응하는 이가 사방에서 모여들 것입니다.” – 서애집, 유성룡2) 어영청 (御營廳) (인조) - 이괄의 난(1624) 계기, 후금 침입 대비, 도성 숙위3) 수어청 (守禦廳) (인조) - 정묘호란(1627) 후 설치(2) 성격1) 임기응변으로 설치, 국방력의 강화라는 명분으로 설치, 용병제 도입2) 서인의 군사적 성격 - 정치세력의 물리적 기반 (x- 왕권 강화)T) 비변사, 5군영, 속오군의 정책목표는? ☞ 외침의 대비와 국방강화3. 지방군* 방위 체제의 변화1) 진관 체제(鎭管體制) - 지역단위 방어이기에 대단위 침입에 무력2) 제승방략 체제 (制勝方略) – 중앙 파견 장수가 지휘3) 속오군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束伍軍) 체제 - 왜란 중 진관으로 복구, 속오군은 대체로 영장(營將)에 의해 이루어졌다.“신역의 유무와 공사천을 막론하고 조현을 감당할 만한 자로만 대오를 편성 ~ 위급한 향촌 방어에 쓰려는 것이지, 병조가 교체 상번 시켜서 부역군으로 쓰게 하자는 것은 아니었는데, 천인뿐만 아니라 양반, 유사, 아전의 무리로서 토목의 역사를 견디지 못하는 자까지도 그 속에 섞여 있습니다. ~ 병조가 원군의 수효가 적다하여 연이어 징발하여 교체하므로, 그 군병들이 조총, 활, 화살을 다 팔아 식량을 구하고 그래도 부족하면 또 의복까지 파는데, 심한 자는저자와 마을에서 구걸을 하여 원망이 ~” – 선조실록4) 영장 체제 (인조) - 정묘호란 후 - 중앙에서 영장이 파견 진관 체제 제승방략 체제 속오군 체제시기 15세기 세조 16세기 명종 17세기 이후특징 1) 지역 단위 방어 (소규모)2) 조선 초기 군사력 강화 1) 유사시 필요한 방어처에 각 지역의 병력을 총동원2) 중앙에서 파견하는 장수가 지휘 1) 진관을 복구, 속오법으로 편제2) 양반에서 노비까지 편제 (혼성군)3) 생업에 종사하며 향촌을지키다 전투 동원한계 많은 외적의 침입에 효과 없음 왜란 중 효과 없음 양•천 혼성군 (훈련 미실시) 고 대 고 려 조 선 근 대중앙군 통일 신라 - 9서당발해 - 10위 2군 6위(직업군인, 군인전) 5위(종합적 계획) ➝5군영(필요에 따라) 2영 (무위영, 장어영) ➝친위대(을미개혁)지방군 삼국 : 행정 = 군사통일신라 : 10정 주현군(5도)주진군(양계) 영진군(정병) ➝ 속오군(양•천 혼성군) 진위대 (을미개혁)특수군 신라 : 서당, 위병 사자대 광군(거란), 별무반(여진), 삼별초 (몽골) 잡색군 : 전기, 농민 제외 별기군 (신식 군대)Ⅳ. 수취 제도의 개편 (후술)1. 수취 제도의 개편(1) 지주제의 강화, 과중한 수취로 생존 어려움(2) 전세는 영정법, 공납은 대동법, 군역은 균역법으로 바꿈 → 영정법을 제외하고 지주 부담 증가2. 향촌 지배 방식의 변화 - 사족으로 지배 - 후기 수탈이 더욱 심해졌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