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8. 조선 후기 대외 관계 (백두산정계비, 간도협약, 기유약조, 통신사 파견, 울릉도 독도 문제)

by 소이나는 2014. 5. 29.
반응형

* 대명 의리론에 의한 상징물1) 대보단)숙종) - 명의 신종추모 2) 만동묘 (숙종) - 명의 사당3) 조종암 (숙종) - 명 보은하는 뜻의 바위 4) 존주휘편 (정조) - 춘추대의 선앙 위한 사례1. 조선 후기 대외 관계1) 임진왜란 이후 기유약조를 체결해 부산포를 다시 개항하였다? (O)2) 왜란 후 수신사는 선진 문화를 일본에 전파하는 구실도 하였다? (X) ☞ 통신사3) 17세기 말, 18세기 초에 이르러 북학론이 대구하였다? (O)4) 숙종 때 안용복이 일본에 건너가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하였다? (O)2. 다음의 묘사와 관련된 외교사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일본 사람이 우리나라의 시문을 구하여 얻은 자는 귀천현우를 막론하고 우러러보기를 신선처럼 하고 보배로 여기기를 주옥처럼 하지 않음이 없어, 비록 가마를 메고 말을 모는 천한 사람이라도 조선 사람의해서나 초서를 두어 글자만 얻으면 모두 손으로 이마를 받치고 감사의 성의를 표시한다.”1) 1811년까지 십여 차례 수행되었다.2) 일본의 정한론을 잠재우는 데 기여하였다.3) 일본 막부가 자신의 권위를 높이려는 목적도 있었다.4) 18세기 후반 일본에서 국학 운동이 일어나는 자극제가 되었다.<4> 대외 관계의 변화Ⅰ. 청 1. 호란 이후(1) 표면적 관계 - 활발한 교역(2) 북벌 정책의 추진 (서인)1) 정권 유지 수단2) 국방력 강화3) 북학론의 대두 - 천리경, 자명종, 화포, 만국지도, 천주실의 문물 소개(3) 북학론 대두2. 청과 국경 문제(1) 백두산정계비의 건립 (1712) - 숙종 [西爲鴨綠, 東爲土門, 故於分水嶺, 勒石爲記]1) 압록강, 토문강 경계2) 토문강의 위치에 대한 해석상 차이 - 간도 귀속 문제 발생 (東爲土門)[백두산 정계비]                 [백두산 정계비의 위치](2) 간도 협약 (1909) - 외교권을 상실한 상태에서 청의 영토로 귀속Ⅱ. 일본 1. 교섭 재개(1) 배경1) 일본의 입장 - 에도(도쿠가와) 막부가 쓰시마 섬 도주를 통해 조선에 국교를 재개하자고 요청2) 조선 - 유정(사명당)을 파견 - 조선인 포로 7천명을 데려옴 (1607)3) 대마도주는 국교 재개 과정에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서 양국의 국서를 개작하였다.(2) 기유약조 (광해군, 1609) 1) 부산포 왜관 설치, 제한 돈 범위 교섭2) 계해•정미약조보다 제한3) 대마도 교역 허락2. 통신사 파견(1) 에도막부의 쇼군(장군)이 바뀔 때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조선에 사절 파견을 요청 (X- 천황이 바뀔때)(2) 선조(1607) ~ 순조 (1811) - 국빈 예우, 문화 전파(3) 견문록 - 해유록 (신유한, 동사록 (강홍중), 해사일기 (조엄)(4) 한번 파견되면 일본의 유행이 바뀔 정도로 일본 문화 발전에 심대한 영향을 주었다.(5) 19c 일본에서 국학 운동이 일어나며 중단되었다.cf) 역지빙례 (1812~1867) - 통신사의 대마도 행[통신사 행렬도]                          [통신사의 행로]3. 울릉도, 독도 문제(1) 삼국시대 충돌(2) 안용복 (숙종) - 일본 어빈 쫓아냄(3) 울릉도 경영(4) 일본 1) 1905 - 시마네 현 - 다케시마라 부름, 불법 편입 (러일전쟁 중) (주의 - X 청일전쟁)2) 1907 - 독도 일본 편입 결정3) 1952 - 이승만이 독도를 경북 울릉읍 도동리 행정구역에 포함 ‘평화선’선언4) 1953 - 일본 영유권 표시 - 독도 의용 수비대를 결성, 일본인 몰아냄5) 1996 - 일본 문부성, 독도를 자국 영토로 표기6) 1998 - 한일 어업 협정 타결7) 2005 - 다케시마의 날 조례 상정8) 2005 - 조례 통과9) 2006 - 일본 독도 인근 해양 조사차 측량선 출발10) 2007 - 일본 방위 백서, 일본의 고유 영토로 기술11) 2008 - 문부 과학성 - 중등 교과서에 독도 영유권 명기 공식 발표(5) 독도의 역사1) 삼국사기, 신라 지증왕 본기, 이사부 열전 - 지증왕(512) 이사부가 울릉도(우산국) 흡수 이래 한국 영토                        [팔도총도]2) 고려사 - 우산국의 영역임을 밝힘, 고종 때 최우가 사민 정책 시도하였으나 풍랑으로 실패, 우산국 사람들이 고려에 토산물을 바침3) 조선 태종 (1417) - 공도 정책 실시로, 울릉도와 독도 관리가 소홀4) 세종실록지리지, 강원도 울진현 조 - 독도에 대한 최초의 기록물 (X- 경북)5) 동국여지승람(1481), 신증동국여지승람(1531)의 ‘팔도총도’ - 울릉도와 독도를 별개 두 섬으로 표시6) 은주시청합기 (1677)7) 숙종 (1697) - 안용복8) 일본 막부가 조선영토로 인정하는 문서를 조전 조정에 넘렸다. (1699)9) 헌종 : 유럽에 알려짐 - 프랑스 포경선에 의해 로세 리앙쿠르 암초로 불림 (1849)10) 1855 영국 호네스트호에 의해 측량11) 명치(메이지) 초기 - 울릉도를 다케시마, 독도를 마쓰시마라 불름12) 1881 - 독도를 울릉도민의 여름철 어업 기지로 이용13) 대한 제국 (1900) - 독도를 울릉군에 관할한다는 내용 (죽도, 석도)14) 러일 전쟁 (한일 협정서 이후) - 1905 - 한국정부 몰래 시마네 현에 불법 편입 - 1906년 알려짐15) 광무 (1906) - 우산도, 삼봉도, 가지도, 석도 등으로 불리였는데 독도로 처음 쓰인 것은 울릉 군수기록과, 황현의 ‘매천야록’에서이다.16) 1946 - 연합국 독도를 한국 영토로 확인 - 국제법적 효력이 살아 있음17) 1952 - 리앙쿠르 바위섬이라는 서양 호칭으로 명기하여 연합국이 한국에 반환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13. 조선 후기 천주교, 예언 사상, 불교 (정감록, 천주교 박해, 신해박해, 신유박해, 병인박해, 기해박해, 병오박해, 황사영 백서사건)  (5) 2014.06.03
[조선] 12. 조선 후기 농민층 (김홍도 - 자리짜기)  (6) 2014.06.02
[조선] 11. 조선 후기 향촌 질서 (부농층, 요호부민, 신향, 향전, 동족부락, 사족)  (0) 2014.06.01
[조선] 10. 조선 후기 가족 제도 (친영제도, 혼인 풍습,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2) 2014.05.31
[조선] 9. 조선 후기 사회 (중간 계층, 상소운동, 노비종모법, 이진홍, 연조귀감, 이진택, 규사, 조희룡, 호산외기)  (2) 2014.05.30
[조선] 7. 세도 정치 시기 (순조, 헌종, 철종, 세도정치의 폐단)  (2) 2014.05.28
[조선] 6. 조선 정조 (이산, 준론탕평, 규장각, 장용영, 초계문신제, 문체반정, 금등사건, 진산사건, 오회연고, 현릉원, 화성 건설, 신해통공, 대유둔전, 만천명월주인옹, 홍국영, 대전통편, 무예..  (6) 2014.05.27
[조선] 5. 조선 영조 (영조 업적, 치적, 사건, 이인좌의 난, 정미환국, 을사처분, 기유처분, 완론탕평, 임오화변, 사도세자 사건, 노비종모법, 청요직 개방, 동색금혼패, 신문고 부활, 청계천 준설..  (3) 2014.05.26
[조선] 4. 붕당 정치, 탕평론, 탕평책, 조선 숙종 업적, 숙종 사건, 경종 (환국,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 정유독대)  (2) 2014.05.25
[조선] 3. 조선 후기 군사제도 (5군영, 중앙군, 지방군, 훈련도감, 속오군, 제승방략, 진관체제, 어영청, 수어청)  (12) 2014.05.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