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조선] 26. 성리학. 양명학 (양명학 비판서, 정제두, 강화학파, 지행합일설, 치양지설, 전습록, 박세당)

by 소이나는 2014. 6. 24.
반응형


* 전습록 (傳習錄) 1) 왕양명의 철학 어록을 서애(徐愛)가 집록(輯錄) 2) 왕문성 공전서에 들어있다. 3) 지행합일, 치양지 기술4) 이황이 왕양명을 이단으로 규정하게 함.[4] 근대 문화<1> 성리학의 변화Ⅰ. 성리학의 교조화 경향1. 성리학의 교조화 (1) 서인 주도 - 인조반정 이후 = 주자 중심 성리학 절대화(2) 김장생 「가례집람」(3) 우암 송시열 -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주자어류소분(朱子語類小分)」2. 성리학의 비판(1) 17세기 후반부터(2) 6경, 제자백가등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경향 * 6경 - 서경, 시경, 역경, 예기 춘추, 악기(3) 윤휴 - 서경덕의 영향, 유교 경전에 대해 독자적 해석, 주자 비판                    [송시열](4) 박세당 1) 사변록  [思辨錄]“송나라 때에 와서 정자•주자 두 선생이 6경의 뜻을 다시 환하게 밝혔다. 그러나 경(經”)에 실린 말의 근본은비록 하나이지만 실마리는 천 갈래 만 갈래이다. 이 때문에 나는 좁은 소견으로 얻은 것을 대강 기술하여그 이름을 사변록이라 하였다.” ➝ 이후 박세당은 사문난적으로 몰림 <사변록>2) 노자의 도덕경을 적극적으로 해석, 포용성과 개방성을 강조“박세당은 윤증의 당이다. 자기보다 나은 사람을 시기하고 괴벽한 행동을 하는 자로 항상 남의 뒤에 있는 것을 부끄러워하더니, 청환(淸宦)에서 탈락된 뒤에는 분한 마음을 품고 물러나서 감히 한 권의 책을 지어 사변록이라 하였다. ~ 성현과 선정을 모독한 죄를 다스리자고 청하였다.” – 송자대전“그는 ‘사변록’을 지어 주자의 ‘사서집주’를 공격하고, 심지어 ‘중용’의 문장 단락을 멋대로 고쳤으니 한결같이윤휴의 투식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 송시열이 박세당을 비판 <송자대전>(5) 이들은 사문난적으로 몰려 제거(6) 정약용 - 성리학과 다른 독자적 철학을 수립(7) 이익, 정제두, 최한기, 안정복Ⅱ. 양명학의 수용사 림 동인 (이황) 남인(이황) 영남 - 위정척사 이익 실학 북인(조식) 정인홍, 주자 성리학 비판 서인 (이이) 노론(송시열) 경기(낙론) → 북학(주리)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충청(호론) → 위정척사 (주기) 소론(윤증) 양명학 → 강화학파1. 수용 (16세기) - 왜란 전후(1) 성리학의 교조화와 형식화를 비판, 실천성을 강조(2) 중종 때 전래(3) 재야의 소론 계열 학자(4) 성리학의 한계성을 극복•보완하려는 사상2. 사상 체계(1) 심즉리 [心卽理] - 인간의 마음이 곧 이이다.(2) 치양지설 [致良知說] - 인간의 존비의 차별이 없다. “心은 곧 理”(3) 지행합일설 [知行合一說]  - 알았다 하여도 행하지 아니하였다면 그 앎은 참 앎이 아니다.“지(앎)는 행의 시작이요, 행함은 지(앎)의 완성” – 전습록“인간의 마음이 곧 이(理)이며, 인간은 상하 존비의 차별 없이 본래 타고난 양지를 실현하여 사물을 바로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앎과 행함이 분리되거나 선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앎은 행함을 통하여 성립한다.”“아버지를 보면 자연히 효(孝)를 안다. 형을 보면 자연히 동생을 안다. 어린아이가 우물에 들어가려는 것을 보면 자연히 측은을 안다. 이것이 곧 양지(良志)이다.” – 전습록3. 양명학의 확산 (17세기)(1) 서경덕 학파, 종친들 사이 확산, 소론에 의해 연구(2) 이황이 ‘전습록변’에서 이단으로 비판“이 학문은 인의를 헤치고 천하를 어지럽히는 ~ 심즉리(心卽理)라는 말을 만들어 “천하의 이(理)는 내 마음에있지 밖의 사물에 있는 것이 아니니, 다만 마음을 보존하여 기르는 데 힘쓸 뿐 사물에서 이(理)를 구해서는 안 된다.”라고 한다. 그렇다면 사물에 오륜과 같이 중요한 것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는 것인데, 불고와 무엇이 다른가?” – 퇴계집4. 학파의 형성 (18세기 초 - 본격적으로 연구)(1) 강화학파 형성 - 정제두(2) 계승 - 인천 중심으로 가학의 형태5. 정제두(1) 학문적 체계 확립 - 「존언(存言)」, 만물일체설(萬物一體說)(2) 양반 신분제의 폐지를 주장정제두→ 정후일→ 신작 이광명→ 이충익→ 이면백→ 이지원→ 이상기→ 이건방 이광사→ 이긍익→ 이시원→ 이상학→ 이건창 이건승6. 양명학의 영향(1) 실학자에 영향 (2) 국학자에 계승 - 이건창, 박은식, 정인보cf. 비판서불교 비판 불씨잡변 정도전양명학 비판 전습록변 이황성리학 비판 사변록 박세당 존언 정제두 성호사설 이익 동사강복 안정복천주교 비판 천학고 안정복 서학변 신후담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31. 조선 후기 국학 (이종휘 동사, 유득공, 이긍익 연려실기술, 안정복 동사강목, 허목 동사, 유계 여사제강, 홍여하 휘찬여사, 동국통감제강)  (4) 2014.06.29
[조선] 30. 중상주의 실학 (이용후생, 농암 유수원, 담헌 홍대용, 연암 박지원, 초정 박제가, 북학의, 연암집, 의산문답, 담헌집, 임하경륜)  (0) 2014.06.28
[조선] 29. 다산 정약용 (실학자, 여전론, 정전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탕론, 원목)  (0) 2014.06.27
[조선] 28. 중농주의 실학, 경세치용 (반계 유형원, 성호 이익, 한전론, 성호사설, 폐전론, 반계수록, 균전론, 6가지 나라의 좀)  (0) 2014.06.26
[조선] 27. 실학의 등장 (이수광, 한백겸, 중농학파, 중상학파, 김육, 정여립, 정인홍)  (0) 2014.06.25
[조선] 25. 조선 화폐, 조선 후기 대외 무역 (중강, 개시, 후시, 폐전론, 상평통보, 조선통보, 팔방통보, 삼한통보, 해동통보, 활구, 저화)  (0) 2014.06.23
[조선] 24. 조선 후기 경제 관련 문제  (2) 2014.06.22
[조선] 23. 조선 후기 상업 (사상, 시전상인, 금난전건 철폐, 경강상인, 장시, 포구 상인, 공인, 여각, 보부상)  (2) 2014.06.21
[조선] 22. 조선 광업 (단천연은법, 잠채, 설점수세제, 수령수세제, 덕대, 경제야언)  (0) 2014.06.20
[조선] 21. 조선 후기 민영 수공업 (선대제 수공업, 공장안 폐지)  (0) 2014.06.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