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 Soy 한국사 ※634

[조선] 31. 조선 향촌 사회 (유향소, 향안, 향회, 향규, 촌락, 사족, 동계, 석전, 동린계)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Ⅰ. 향촌 사회 1. 향촌의 편제(1) 향 (鄕) - 중앙에서 지방관 파견 (군현)(2) 촌 (村) - 군•현 밑, 면•리 - 중앙에서 파견하진 않음2. 향촌 생활(1) 유향소 1) 수령을 보좌, 향리를 감찰2) 변화 - 경재소가 혁파 (1603)되며, 향소 향청으로 명칭이 변경(2) 사족의 활동 - 지주로 향안을 작성1) 향안 (鄕案) - 지방 사족의 명단으로 임진왜란 전후의 시기에 각 군현마다 보편적으로 작성2) 향회 (鄕會, 향촌자치기구) - 종래 양반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구였으나 후기 수령이 세금을 부과할 때 의견을 묻는 자문기구(x- 향회에 평민들도 참여시켜 지방 자치를 도모하였다.)3) 향규 (鄕規) - 운영규칙4) 향사례, 향음주례 중시(3) 향약의 보급 - 조광조 때.. 2014. 3. 24.
[조선] 30. 조선 전기 사회 (의창, 상평창, 혜민국, 제생원, 대명률, 의금부, 포도청, 장례원) 사회 정책과 법률 제도Ⅰ. 사회 정책1. 실시 배경(1) 농민 생활 안정 - 민본주의, 농본주의(2) 양반 지배 체제 강화 - 성리학적 명분론, 봉건적 지배 체제 강화2. 농민 이탈 방지책(1) 토지 겸병 금지(2) 재해 시 조세의 경감3. 사회제도(1) 환곡 제도 (還穀制度) - 국가에서 운영1) 의창 - 빈민들에게 양식, 곡식 빌려 주고 원곡만 회수 (15세기)2) 상평창 - 16세기부터 곡식 대여 - 원곡의 감소분으로 1/10을 거두어 들여 고리대화 되었다.(2) 사창제 (社倉制) 운영1) 주민 자치적2) 성격 - 향촌 사회 안정, 농민 생활 안정3) 실시 : 문종 1451 ➝ 부실해져 폐지 (성종, 1470)4. 사회 시설(1) 의료 시설 1) 혜민국(惠民局), 동서 대비원 (東西大悲院, 태조) .. 2014. 3. 23.
[조선] 29. 조선 사회, 경제 (양천제도, 반상제도, 중인, 조선 천민, 조선 상민, 호적, 호패) 700만 → 19c말 1,000만2) 서울 : 세종대 10만 이상 → 양란 후 줄어듬 → 18c 20만 정도4. 조선시대 특정 지역 특정 성씨의 혼인 관계에 필요한 자료를 고르는 문제O - 보첩, 호구단자, 호적대장X - 향규, 규지, 산송 문서2. 중인(1) 넓은 의미로는 중간 신분 계층이지만 좁게 보면 기술관만 의미 – 역관, 서리, 향리 등(2) 서리와 향리, 기술관은 직역 세습(3) 서얼(중서, 中庶) - 서얼 금고법 (庶孼禁錮法 , 양반의 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법)에 따라문과 (생원∙진사시)에 응시하는 것 금지 (무과, 잡과에는 응시 가능)(4) 멸시 하대(5) 전문 기술이나 행정 실무를 담당함 - 역관, 향리 “수령으로는 많은 백성을 통솔하여 다스릴 수가 없으므로 아전을 두어 배치~ 엎드려.. 2014. 3. 22.
[조선] 28. 붕당 관련 문제 표현 1. 다음의 내용과 관련된 붕당의 위축을 가져온 것은?(1) 이황의 학통 계승(2) 수취체제 완화와 자영농의 육성주장 (정약용)(3) 왕권 강화와 정책 비판 기능에 큰 비중☞ 남인의 위축 = 갑술환국, 신유박해, 경신환국 (X- 갑인예송)2. 사림의 저서 - 기자실기, 동사찬요, 표제음주동국사략 - 단군보다 기자를 숭상, 이기론 중심, 성리학 외 배척3. 남인은 기해예송에서 기년설을 주장하는 등 대신 중심의 정치를 추구하였다? (X) ☞ 서인4. 과거를 통하여 중앙에 진출한 사림 세력은 주로 이것을 차지하고 훈구 세력의 비리를 비판함으로써 그들의 독주를 견제하였다. 이것은? ☞ 이조 전랑, 3사5. 사림들이 훈구 세력과 대립할 때 사화가 발생하였다? (O)6. 훈구 세력이 무너진 직후 사림은 자체 분열하.. 2014. 3. 21.
[조선] 27. 붕당 정치 (정여립 모반 사건 건저의 사건, 회퇴변척, 예송 논쟁, 기해예송, 갑인예송) 1) 5대 사고제 정비2) 경덕궁(경희궁) 새로 건립3) 동의보감 (허준)4) 편찬 -‘홍길동전’, ‘국조보감’, ‘선조실록’5) 양안과 호적 작성Ⅳ. 붕당 정치의 전개 1. 목적 - 정당정치 2. 배경 - 관직은 제한, 양반 수는 증가 3. 본질 - 비판 세력이 공존 4. 전개(1) 선조1) 동인 vs 서인 - 이조 전랑(吏曹銓郞)을 두고 심의겸(서인) vs 김효원(동인)으로 비롯 (을해당론, 乙亥黨論, 1575)➝ 동인이 심의겸을 배척 ➝ 붕당시작2) 정여립 모반 사건 (서 vs 동) - 전주 출신 정여립이 진안 죽도에서 모반 준비 중 자살 ➝ 서인(정철)에 의해 동인 처벌 (기축옥사, 己丑獄事, 1589) 3) 건저의 (建儲議事件) 사건 (남 vs 북) - 정철이 건의한 건저의 (세자 책봉) 문제로.. 2014. 2. 19.
[조선] 26. 조선시대 정치 세력 변동 도식 (사대부, 관학파, 사학파, 훈구파, 사림파, 사화, 예송논쟁, 환국, 붕당, 노론, 소론, 북인, 남인, 서인, 동인, 영남학파, 기호학파)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 soy 블로그(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2014. 2. 18.
[조선] 25. 붕당 (이조 전랑, 서인, 동인, 기성사림, 신진 사림, 남인) * 이조 전랑 1. 정5품인 정랑, 정6품인 좌랑 - 문관을 천거하고 전형을 하는 큰 권한2. 삼사의 당하관 인선을 좌우, 삼사의 의견 대변3. 퇴임시 스스로 후임을 천거4. 반드시 홍문관의 젊은 유신 중에서 명망과 덕이 있는 인물을 엄선➝ 홍문관을 거치지 않고는 전랑에 임명될 수 없다. “권력은 곧 三公과 같기 때문에 대소의 관직이 서로 유지되었고, 상하 관직이 서로 견제하여 삼백 년 동안 큰권세를 가진 간사스러운 신하가 없었고, 신하가 세력에 커서 임금이 자유롭지 못한 폐단이 없었다. 이것은조종조에서 고려 왕조의 왕이 약하고 신하가 강했던 폐단을 거울삼아 말없이 예방하는 속셈을 은연중에 내포시킨 것이다.” - 이중환 : 이조전랑“무릇 내외의 관원을 선발하는 것은 3공에게 있지 않고 이조에 속하였다. .. 2014. 2. 17.
[조선] 24. 조광조 (현량과, 위훈 삭제, 향약, 수미법, 도학정치) * 조광조 [趙光祖, 1482 ~ 1519]1. 이상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도학 정치(성인 군주, 현철 군주) 강조 → 성리학 질서2. 현량과 (賢良科) 실시 - 사림등용, 어진 자 추천 (천거제 시행) → 경기 출신 젊은 사림을 대거 등용3. 위훈 삭제 사건 (僞勳削除事件) - 훈구 비리 척결 (가짜 공 삭제) → 기묘사화의 원인4. 불교•도교 과련 행사 폐지 - 승과, 소격서 폐지5. 소학 교육 장려 - 유교적 가치관 (cf. 소학 - 사화 이후 일시적으로 금서처럼 여기기도 하였다.)6. 경연 강화 - 언론 활성화로 왕도 정치 강조 → 자신들 의견을 공론이라 표방 (급진개혁 요구)7. 방납의 폐단 시정 - 농민 부담의 해소를 위한 수미법 건의8. 향약의 전국적 시행 노력 - 향촌 자치 실현 (유향소,.. 2014. 2. 16.
[조선] 23. 사림, 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연산군, 중종, 명종, 임꺽정의 난) 연산군1) 민생 피폐 2) 신언폐 시행 - 말조심 위한 것 3) 신문고, 언문청 폐지 4) 중종반정중종1) 중종 반정 - 연산군 1506년 2) 반정 공신 비리 발생 3) 삼포왜란, 임신약조 4) 비변사 설치 5) 기묘사림(1515) → 기묘사화(1519)Ⅱ. 사림의 정치1. 사림의 정계 진출 - 성종 때 김종직 등이 진출 2. 훈구 세력과 대립 – 훈구 세력의 대토지 소유를 제한하기 위해 한전법을 주장 3. 활동 - 과거로 진출 ➝ 전랑, 3사의 언관직 차지 4. 결과 - 사림과 훈구의 균형 (1) 성종 - 김종직 진출 - 이조 전랑, 3사 차지 - 훈구의 비리 비판(훈구 세력 견제), 여론 중시(cf. 성종 대 정계 진출자의 대부분은 길재의 학풍을 받음)“김종직은 경상도 사람이다. 학문이 뛰어나고 문.. 2014. 2. 15.
[조선] 22. 훈구파, 사림파 (관학파, 사학파, 이언적) [사림]* 정몽주 - 길재 - 김숙자 - 김종직 → 정여창, 김굉필, 김일손 → 이언적, 서경덕, 조광조, 김안국→ 영남 : 조식(북인 → 정인홍), 이황(남인 → 류성룡), 기호 : 이이(노론 → 송시열), 성혼(소론)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Ⅰ. 훈구, 사림 훈구파 (관학파)사림파 (사학파)연 원급진개혁파 (정도전, 조준, 권근)(정인지, 한명회, 신숙주)온건 개혁파 (정몽주, 길재, 이색 → 조광조)집권기15세기16세기 이후정치적 입장적극적인 역성혁명,유교 국가 운영에 학문적 이론 제공소극적이며 고려 왕조에 충성 표시의리와 명분출 신성균관, 집현전사학, 사원학 문사장(詞章)적 성향 (문물정비)경학(經學)적 성향, 예에 대한 학문적 탐구, 修己治人사상 정책타 사상도 수용 - 불교, 도교성리학 중시정치.. 2014. 2. 14.
[조선] 21. 북벌론, 나선정벌 (변급, 신유) Ⅷ. 북벌론과 나선 정벌1. 북벌론 대두(1) 청과의 관계 - 청에 사대 하며 북벌 준비(2) 북벌 준비1) 북벌론a. 국가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혼란을 수습하는 수단으로 작용b. 패전 책임을 호도하려는 방편으로 이용, 위신회복c. 청에 대한 적개심과 문화적 우월감에서 비롯 “우리나라가 중국 조정을 섬겨 온 지 200여 년이다. 의리는 군신이며 은혜는 부자와 같다. 임진년에 입은은혜는 만세토록 잊을 수 없다. 광해군은 배은망덕하여 천명을 두려워하지 않고 속으로 다른 뜻을 품어오랑캐에게 성의를 베풀었다. ~ 예의의 나라인 삼한을 오랑캐와 더불어 금수가 됨을 면치 못하게 하였다.어찌 그 통분함을 이루 다 말할 수 있겠는가.” - 인조실록 “화의로 백성과 나라를 망치기가 ~ 오늘날과 같이 심한 적이 없습니다. .. 2014. 2. 13.
[조선] 20. 정묘호란, 병자호란, 광해군, 중립 외교, 인조 반정 (가도 사건, 이괄의 난, 최명길, 김상헌) Ⅵ. 광해군의 중립 외교1. 광해군의 내치- 북인 정권이 성립, 부국책, 강병책, 문화시책 (동의보감, 허준), 대동법 시행 (선혜청)2. 광해군의 대외 정책(1) 후금 건국 - 누르하치 (1616)(2) 명의 원군 요청(3) 중립 외교 “화친을 맺어 국가를 보존하는 것보다 차라리 의를 지켜 망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으나, 이것은 신하가 절개를 지키는 데 쓰이는 말입니다. ~ 자기의 힘을 헤아리지 아니하고 큰소리를 쳐서 오랑캐들의 노여움을도발하여, 마침내는 백성이 도탄에 빠지고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내지 못하게 된다면 그 허물이 이보다 클 수 있겠습니까?” – 지천집 “지금 우리가 계책으로 삼는 것은 군신 상하가 모든 일에 힘써 정벌할 준비에 온 생각을 쏟아서 군사를 기르고, 장수를 뽑으며, 인재를 거두.. 2014. 2. 12.
[조선] 19. 임진왜란 (이순신 장군, 왜군, 왜란 의병, 정유재란, 관우 숭배, 비격진천뢰, 공명첩) 양란Ⅰ. 왜군의 침략1. 왜란 전의 정세(1) 조선1) 국방력 약화 - 16세기 이후 a. 5위제 붕괴- 갑사들의 녹봉 중단 등으로 군인의 질적 저하b. 방군수포제 (放軍收布制) 시행 - 정군의 수 감소2) 16세기 이후 침략 격화a. 삼포 왜란 (1510)b. 을묘왜변 (1555)3) 대응 - 비변사 설치, 이이(만언봉사)의 10만 양병설은 채택되지 못함(2) 일본1) 통일 -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신수길) 2) 통일 직후 제후들을 견제, 분산하기 위해 침략3) 정명가도 (征明假道) - 명을 치러 가는데 길을 열어 달라2. 왜란의 발발(1) 침략 - 1592년 4월 : 부산진, 동래성 - 정발과 송상현이 분전 끝에 함락 [왜란의 발발](2) 북상 1) 신립의 패전 - 충주에서 배수의 진2) 선조의 피난.. 2014. 2. 11.
[조선] 18. 조선 초기 대외관계 (대명관계, 대 여진, 대 일본, 조선 수출, 조선 수입, 야연사준도, 사대교린, 유숙소, 무역소, 3포개항)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Ⅰ. 명 1. 외교 정책의 원칙 - 사대교린 정책2. 국초의 대명 관계(1) 태조 1) 요동 정벌 추진 - 정도전이 중심 진도를 작성, 성보를 수리 - 불편하기도 함2) 고명•금인 - 명이 왕위를 승인하는 고명과 금인을 보내지 않아 ‘권지고려국사’라는 칭호 사용T) 조선 초기 지식인들은 만주를 우리 국토의 일부로 생각했다.(2) 태종 - 사이가 좋아짐3. 사절의 파견(1) 목적1) 정치적 - 왕권의 안정, 국제적 지위 확보2) 경제적 - 문화 외교, 공무역(2) 무역1) 수출 - 마필, 인삼, 화문석2) 수입 - 견직물, 서적, 약재, 문방구, 도자기3) 폐단 - 명의 과다한 금은 요구를 피하기 위해 금•은광을 거의 폐쇄4. 대명 관계의 변화 - 지나친 친명정책정기 사찰부정기 사찰하정.. 2014. 2. 10.
[조선] 17. 조선 교통, 조선 통신, 고려와 조선의 기관 비교표 (역원제, 파발제, 봉수제) 3. 교통, 통신 조직(1) 역원제 (驛院制) - 공문서의 전달, 관물의 운송 - 역 설치 (병조에서 관장)(2) 파발제 (擺撥制)1) 임진왜란 때 공문 전달을 위한 통신망 2) 봉수제가 유명무실해지며 등장한 통신수단으로 왜란 이후 간헐적으로 시행3) 한양 중심 서∙북∙남발 3개의 간선망과 그 사이에 보조노선이 있었다.4) 기발 – 25리 마다 1참5) 보발 - 3리 마다 1참(3) 봉수제 (烽燧制) (통신)1)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2) 평상시 - 월말마다 감사에게 보고3) 유사시 - 즉시보고4) 평시 1개, 적 2개, 국경접근 3개, 국경 넘으면 4개, 접전 5개(4) 조운제 (漕運制) (수로)고 려조 선합의 기구도병마사, 도평의사사의정부, 비변사왕명 출납중추원승정원서 경어사대, 중서문하성의 낭사.. 2014.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