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51. 17세기 그림, 조선 음악 (악학궤범, 박연, 남종화, 조속, 노수서작도, 달마도, 김명국, 설중귀려도)
시, 시간 단위를 표시하는 유량 악보3) 성현 – 악학궤범 [樂學軌範] : 궁중음악 집대성, 왕명으로 제작된 악전(樂典)4) 장학원(세조, 1457) – 궁중음악(2) 16세기 - 당악, 향악을 속악으로 발달시킴2. 무용, 연극(1) 일무 - 유교적 1) 종묘제례 (보태평지무 保太平之舞, 정대업지무 定大業之舞) 2) 문묘제례 (팔일무 八佾舞)(2) 나례 - 궁중(3) 잡희 - 행사(4) 범무 - 불교무용(5) 민속 - 강강술래, 놋다리 밟기, 농악무(6) 무속 - 오수굿, 재수굿, 별신굿 * 예술의 시대별 특징고구려개성, 패기, 정열백제우아, 세련 (지방 토착문화 충분히 육성 못함)신라소박, 전통 (조화미)통일신라이상적, 조화미, 정제미발해웅장, 건실고려귀족, 불교조선실용, 자연미, 값싼 재료 (후기 -..
2014. 5. 19.
[조선] 50. 조선 전기 그림 (몽유도원도, 안견, 고사관수도, 강희안, 이상좌, 송하보월도, 조충도, 모견도, 묵죽도, 황집중, 포도)
Ⅳ. 그림, 글씨1. 15세기 그림(1) 특징 - 독자적 화풍, 인물(초상화), 산수화(2) 화원 (도화서 출신)1) 안견 - 몽유도원도 (夢遊桃源圖)a. 역대 화가들의 기법을 체득하여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 b. 안평대군의 꿈을 그림 c. 일본 소장 중2) 최경 (崔涇) : 인물, 산수화 [몽유도원도] (3) 문인 화가1) 강희안 a. 고사관수도 (高士觀水圖)(무념무상 표현) : 선비가 수면을 보며 생각 b. 시적 정서가 흐르는 낭만적인 그림을 많이 그림2) 신숙주 - ‘화기’ (안평대군 소장품)(4) 일본 무로마치 시대 미술에 영향 - 이수문, 문청2. 16세기 그림(1) 사군자 표현(2) 이암 - 강아지, 고양이, ‘모견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
2014. 5. 18.
[조선] 49. 조선 전기 공예 (분청사기, 청화백자, 향완, 조화박지모란문장군, 박지연화문편병, 철화어문병, 삼강모란무호)
어문병] [분청사기 박지연화문편병] [분청사기 삼강모란무호] [순백자 병]3. 기타(1) 목공예•돗자리 공예- 실용성, 예술성, 자연미(2) 화각 공예 - 그릇 등에 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쇠뿔을 얇게 쪼개 붙이는 공예 (조선시대 등장)(3) 자개 공예(4) 향완 (香垸) - 부처님 앞에 공양하는 도구 : 청국사 향완, 백장사 향완[개심사명 청동은입사 향완]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Ⅲ. 공예1. 특색 - 사대부의 생활용품, 값싼 재료 이용 (x - 금, 은, 구슬) 2. 도자기 공예(1)..
2014. 5. 17.
[조선] 48. 조선 전기 건축 (경복궁, 창덕궁, 평양 보통문, 무위사 극락전, 원각사지 10층석탑)
Ⅱ. 건축1. 조선 건축의 특징 - 법적 규제, 환경과 조화, 검소, 위엄2. 15세기(1) 궁궐, 관아, 성문, 학교 등이 중심, 도성건설,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2) 경복궁1) 1394년 12월에 착공하여 다음 해 9월에 완성2) 근정전을 중심으로 북에는 사정전(업무), 강녕전이 있다.3) 경복궁 4대문의 이름 - 정도전이 지음 [평양 보통문]4) 정종, 세종, 단종, 세조도 이곳에서 즉위“태조는 정도전에게 궁과 건물에 이름을 짓게 하였다. 정도전은 궁을 ‘경복궁’이라 하고 건물들의 이름도지었다. 연침(燕寢)은 7간(間”)이다. ~ 보평청은 5간으로 일을 보는 곳인데, 연침의 남쪽에 있다.정전(正殿) 5간은 조회를 하는 곳인데, 보평청의 남쪽에 있다.”(3) 창덕궁1) 조선 후기의 정궁2) 경내의..
2014. 5. 16.
[조선] 47. 조선 전기 문학 (동문선, 설화문학, 동짓달 기나긴, 오우가, 삭풍은 나무 끝에, 남이, 관동별곡)
1) 문학 저조 - 사림이 경학에 치중2) 시조, 가사, 패설, 소설 - 형식은 다양3) 산천의 아름다움3. 설화 문학(1) 15세기 - 격식 없이 그냥 들은 것 1) 금오신화 (金鰲新話) (김시습) - 최초의 한문 소설2) 필원잡기 (筆苑雜記) (서거정) - 일화 수록3) 용재총화 (慵齋叢話) (성 현) - 수필체의 성격(2) 16세기1) 패관잡기 (稗官雜記 ) (어숙권 - 서얼출신) → 문벌제도와 적서 차별의 폐단을 지적2) 임재 - 사회의 모순, 유학자의 존화의식 비판, 풍자적, 우의적4. 시조 문학(1) 15세기 - 김종서, 남이, 길재, 원천석(2) 16세기 - 인간 본연의 감정 - 황진이(애정, 이별), 윤선도 - ‘오우가’, ‘어부사시사’“”5. 악장과 가사 문학(1) 15세기 - 자주 의식..
2014. 5. 15.
[조선] 46. 조선 전기 농서, 조선 병서 (화차, 금양잡록 사시찬요, 향약채취월령, 농사직설, 동국병감, 병장도설)
Ⅲ. 농서와 병서의 편찬1. 농서의 편찬(1) 향약채취월령 (세종, 유효통) : 약재“우리나라 사람들이 경험했던 처방을 취하여 분류해서 편찬한 다음 인쇄하여 발행 ~ 약재를 구하기 쉽고 질병을 치료하기 쉽게 되어 사람들이 모두 편하게 여겼다.” – 동문선(2) 농사직설 (세종, 정초) - 농민 경험,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 (우리 기후 풍토에 적합하도록 체계화)(3) 금양잡록 (성종, 강희맹) - 소농 경제 안정에 중점, 직접 경험한 농법기록 (4) 사시찬요 (세조, 강희맹) “지금 우리 전하께서도 밝은 가르침을 계승하시고 다스리는 도리를 도모하시어 더욱 백성들의 일에 뜻을 두었다. 여러 지방에 따라서 농법이 차이가 있기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2014. 5. 14.
[조선] 42. 성리학 학파 (주자 성리학, 영남학파, 기호학파, 호락논쟁, 호론, 낙론, 사단칠정, 인물성동론, 문묘)
* 주자 성리학(1) 이 - 우주 만물의 본질은 순수하고 착한 형이상의 이, 만물은 착하고 평등(2) 기 - ‘이’가 발현되는 형이하의 모습, ‘기’의 세계는 천차만별(3) 심(心) 1) 성(性) - 심이 아직 발동되지 않은 상태2) 정(情) - 심이 이미 발동한 상태 → 4단, 7정3) 4단 - 측은지심 / 수오지심 / 사양지심 / 시비지심 → 인의예지의 실마리4) 7정 - 희•로•애•락•애•오•욕 (7가지 감정)* 주기설 - 사물의 법칙성을 객관적으로 파악* 주리설 - 인간의 내적 경험을 중요시* 이 - 보편성 설명* 기 - 차별성 설명* 사단 칠정 논쟁 1) 정지운의 ‘천명도설’을 이황이 수정, 개작한 것에 비롯, 2) 정지운 - “사단은 이에 발현하고 칠정은 기에서 발현한다.”이 황 - “사단은 ..
2014. 5. 10.
[조선] 41. 이기론,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서경덕, 조식, 이언적, 주리론, 주기론, 이기이원론)
이황1) 이황 → 유성룡, 김성일, 정구 → 기정진 이진상 2) 영남, 동인 3) 이기이원론, 이기호발설4) 현실보다 원칙 중요시, 철저한 도덕적 자기완성과 삼강오륜, 강조5) 풍기군수 역임“4단과 7정이 다 같이 하나의 정감이지만 사단은 인의예지라는 본성에서 발동해 나오고, 7정은 기질에서 발동해 나온다. 4단은 이치가 발동하여 기운이 따라오는 것이고 (이발이기수지), 7정은 기운이 발하여 이치가 타고 올라오는 것이다. (이기발이이승지)”“선과 악이 함께 섞여 있는 기는 이의 순선으로 수렴할 수 있다. 그 실천을 우한 실천 덕목이 경이다. 경이란 엄숙하고 차분한 자세로 항상 옳은 일에 몰두한다는 뜻.”이이1) 이이 → 조헌, 김장생 → 한원진, 임성주, 최한기2) 기호, 서인 3) 일원론적 이기이원론,..
2014.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