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남북국] 26.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삼국 문화의 일본전파, 일본 호류사 금당벽화, 일본 목조 미륵반가사유상, 다카마쓰 고분 벽화, 수산리 고분벽화)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Ⅰ. 삼국의 전파 1. 삼국 문화의 영향 2. 백제 문화의 일본 전파 (1) 아직기 : 한자 (근초고왕) → 오진 태자에게 한자를 가르침 (2) 왕인 : 천자문, 논어 (근초고왕) (3) 노리사치계 : 불경 (성왕) (4) 관륵 : 천문, 역법, 지리 (무왕) (5) 불상 : 고류사 미륵 반가 사유상, 호류사 백제관음상 (6) 공예, 가람 - 5경 박사 → 마정안, 문휴마나, 동성자언, 동성자막고, 유귀 (7) 단양이 : 5경박사 (무령왕) (8) 고안무 : 5경박사 (무령왕), 유학 (9) 혜총 - 계율종 (10) 개로왕 때 - 인사리아(화가), 정안나금(비단기술), (11) 아좌태자 → 쇼토쿠 태자상을 그림 3. 고구려 문화의 일본 전파 (1) 혜자 : 쇼토쿠 태자의 스승 (영양..
2012. 5. 2.
[삼국, 남북국] 25. 삼국시대 문학, 음악 (제망매가, 모죽지랑가, 다듬이 소리)
* 향가, 한문학 1. 한시 (1) 황조가 : 고구려 유리왕의 이별가 “훨훨 나는 꾀꼬리는 ~ ” (2) 오언시 : 을지문덕 “그대의 신기한 책략은 ~ ” 2. 민중의 노래 (1) 구지가 (2) 회소곡 : 신라 유리왕 때, 두 여자의 길쌈 대회 (노동요) (3) 정읍사 : 백제민중들의 어려운 생활 3. 향가 - 승려, 화랑 (1) 통일 전 : 혜성가(융천사) - 왜군과 혜성의 출현, 서동요, 풍요 등 (2) 통일 후 1) 제망매가(월명사 - 죽은 누이), 모죽지랑가(득오), 찬기파랑가, 안민가(유교적 - 각자의 본분), 도천수관음가, 우적가, 처용가, 원왕생가, 헌화가(노인이 수로부인을 위해 꽃을 꺽어다 줌) 2) 향가집 a. 부전 : 위흥의 ‘삼대목’ 이라는 향가집 (9세기 후반, 진성여왕 때) b. ..
2012. 5. 2.
[삼국] 24. 삼국의 예술, 삼국의 고분 (고구려 고분, 백제 고분, 신라 고분 - 화엄경 변상도, 천마도, 금관, 돌무지덧널 무덤, 경주 배리 석불입상, 금동미륵보살 반가상, 장군총, 사신도, 현무도, ..
예술의 발달 고분 양식 대표적 고분 벽 화 특 징 고구려 초기 돌무지 무덤 (석총) 장군총 X 후기 굴식 돌방무덤 (토총) 강서 대묘, 쌍영총 O 도교적, 서역 계통 백제 한성 돌무지무덤 석촌동 고분 X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 웅진 굴식 돌방무덤 송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큼, 고졸 벽돌무덤 무령왕릉 X 남조의 영향, 지석 출토, 오수전 송산리 6호분 O 사신도, 일월도 사비 굴식 돌방무덤 능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작음, 세련 신라 일반적 돌무지덧널무덤 천마총, 호우총 X 부장품 보존, 도굴 어려움 통일 직전 굴식 돌방무덤 어숙묘 O 고구려, 백제의 영향 통일 신라 굴식 돌방무덤 김유신묘, 괘릉 성덕 대왕릉 X 12지 신상, 둘레돌 화장법 문무왕릉 X 호국적 발 해 굴식 돌방무덤 정혜공..
2012. 5. 2.
[삼국] 23. 삼국의 과학, 기술 (무주정광대다라니경, 첨성대)
과학, 기술학 1. 천문학과 수학 (1) 과학·기술학의 발달 : 청동검, 청동제 잔무늬 거울 (2) 천문학 1) 고구려 : 천문도, 장천1호분, 덕화리 1·2호분, 각저총, 고분 벽화 2) 신라 : 7세기 선덕 여왕 = 첨성대 3) 통일 신라 : 김암 4) 기록 : ‘삼국사기’ 5) 천문학 관측 목적 (3) 수학 1) 삼국 시대 : 백제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 2) 통일 신라 : 석굴암의 석굴 구조,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다보탑 [첨성대] 2.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에서 발견 - 8세기 초엽,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술 (2)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닥나무 2) 구례 화엄사의 석탑 :..
2012. 5. 1.
[삼국, 남북국] 22. 삼국의 역사 편찬, 유학보급 (삼국의 역사서, 최치원)
역사편찬, 유학보급 1. 역사서의 편찬 (1) 삼국 시대 1) 중앙 집권 체제 정비 ➝ 와실의 권위 2) 내용 - 삼국시대 역사서는 유교적 사관은 아님 역사서 편찬자 편찬 시기 비 고 고구려 유기, 100권 미상 전하지 않음 신집, 5권 이문진 (태학박사) 영양왕 백 제 서기 고 홍 (박사) 근초고왕 신 라 국사 거칠부 (아찬) 진흥왕 (2) 통일 신라 1) 김대문(진골) :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계림잡전 2) 신라의 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 자주적 2. 유학의 보급 * 유학 - 통일신라 초기의 왕권신장과 관련된 대표 사상 (1) 신라 중대 1) 6두품 출신 많음, 도덕적 합리주의 2) 강수 : 외교 문서 문장가, ‘답설인귀서’, ‘청방인문서’, 유교도덕을 출세보다 중시, 일부다처제·골품..
2012. 5. 1.
[삼국, 남북국] 21. 삼국시대 한자의 보급과 교육 (이두, 국학, 독서삼품과, 사택지적비)
한자의 보급과 교육 1. 한자의 전래 (1) 철기시대부터 (2) 유교, 불교, 도교 서적 cf) 구결, 토 - 중국식 한자를 읽을 때, 문법적 특징을 알려주는 글자 2. 삼국시대 (1) 한문의 토착화 1) 한자를 그대로 사용 ➝ 이두와 향찰 사용 cf. 이두 ☞ 고구려에서 처음 사용 ☞ 을 소리로 표기하여 이다. 뜻을 따으로 표기 2) 한문의 토착화, 한문학 보급 (2) 고구려의 학문 1) 교육 기관 a. 소수림왕 = 수도에 태학 (관학, 귀족, 한학, 문·무 유교, 무예) b. 장수왕 = 지방에 경당 (사학, 평민, 무술, 한학 - 평양 천도 후) 2) 한학 발달 : 광개토 대왕비, 중원고구려비, 모두루묘지, 동수묘지, 관구검기공비 (일찍부터 한자 사용) (3) 백제의 학문 1) 요육기관 : 5경박사,..
2012. 5. 1.
[삼국, 남북국] 19. 삼국의 불교 (발해의 불교, 선종, 원효, 의상, 원측, 혜초, 혜자, 계율종, 열반종, 9산, 진표, 김교각, 이차돈 순교비)
사상의 발달 Ⅰ. 원시 종교 1. 삼국의 민간 신앙 : 천신, 일월신, 산신, 해신, 샤머니즘, 점술 2. 삼국 지배층의 시조 신앙 : 시조신 (1) 고구려 : 고등신(주몽), 부여신(주몽의 어머니) (2) 백제 : 동명신, 온조신, 구이신(고이왕) (3) 신라 : 박혁거세신, 나을 신궁 건립 (김씨 시조 모심 - 지증왕 때부터 제사) Ⅱ. 삼국의 불교 1. 전래 시기 : 4세기 2. 수용 배경 (1) 초부족적인 사상 통일 (2) 지배 질서 강화 : 왕즉불사상, 윤회설 3. 전래 과정 (1) 고구려 : 소수림왕 (372) : 전진의 순도 (아불란사, 성문사) (2) 백제 : 침류왕 (384) : 동진의 마라난타 (3) 신라 : 전래 눌지왕(457), 고구려 묵호자 (귀족세력의 공인 반대) ➝ 공인 법흥왕..
2012. 4. 30.
[삼국] 17. 삼국의 경제, 삼국의 수취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경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수취제도, 삼국의 농업, 수공업, 상업, 경무법, 두락제, 결부법)
Ⅰ. 삼국의 경제 정책 1. 농업 중심의 경제생활 - 왕토 사상 : 모든 국토는 왕토(토지국유제론) → 관료에게는 수조권만, 백성은 경작권만 cf) 백성 토지가 없는 것은 아님 : 자영토지(민전), (토지사유제론) (→ 전 시대에 존재) (1) 토지 소유 - 호민 계층의 대토지 소유 : 하호가 공급 * 하호 - 신분상 양인이나 호민에 예속된 존재 (2) 토지 종류 1) 녹읍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2) 식읍(식봉)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 고려 O → 조선 X 2. 정복 전쟁과 수탈 3. 지배 정책의 변화 4. 수취 제도 (1) 종류 1) 조세 - 재산의 정도 → 호 → 곡물, 포 2) 공부 - 지역 특산 3) 역 - 노동력, 징발 a. 신역 - 특정 인신을 정기적으로 역부과 b. 요역 - ..
2012. 4. 30.
[삼국] 16. 삼국시대 사회의 모습, 생활 (화랑도, 골품제도, 화백제도, 양직공도, 세속오계, 6두품, 백제 사신도)
삼국 사회의 모습 Ⅰ. 고구려 1. 씩씩한 기풍 “절할 때도 한 쪽은 펴 일으키기 쉬운 자세를 취하였고, 걸음을 걸을 때도 뛰는 듯 행동을 빨리 하였다.” 2. 법률 : 엄격 → [절도 : 12배 속형] 화형, 사형, 연좌제 3. 사회 (1) 지배층 : 왕족인 고씨, 5부 출신의 귀족 ☞ 계루부(고), 절노부(연), 관노부(진), 순노부(사), 소노부(해) (2) 일반 백성 (3) 천민, 노비 : 피정복민, 몰락한 평민 (4) 혼인 풍습 : 지배층에서 형사취수제, 서옥제 (5) 진대법 Ⅱ. 백제 1. 특징 : 언어·풍속·의복이 고구려와 비슷, 말타기 활쏘기를 좋아함(상무적 기풍), 세련된 모습, 가부장적 사회 2. 법률 : 엄격 (절도 - 귀양과 2배 / 뇌물·횡령 = 3배, 금고 / 사형 = 살인, 반..
2012. 4. 30.
[삼국] 14. 삼국의 군사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군사제도, 5부 5방)
삼국의 군사 제도 (1) 특징 : 일원적 조직, 주민통치 (2) 고구려 1) 중앙 : 대모달(= 막하라수지, 대당주), 말객 (= 말약, 군두 - 1천 지휘) 등 군관이 지휘 2) 지방 : 욕살, 처려근지, 말객 (3) 백제 1) 중앙 - 5부(각 500) - 달솔이 지휘 2) 지방 - 방 = 방령이 지휘 / 군 = 군장 (ex. 풍달군장, 흑지상지) / 군병은 일반민으로 충원 (4) 신라 1) 왕도군사조직 - 군주가 주 단위로 정을 거느림, 서당이란 군대도 있다. a. 법흥왕 → 경여갑 → 사설당 - 노당(쇠뇌), 운제당(성 공격), 충당(성 공격), 석투당(투석) b. 진흥왕 - 6귀정 (대당, 귀당, 남당, 삼천당 등) c. 진평왕 - 서당, 보기당, 사천당, 급당 2) 지방 a. 법흥왕 - 소경여..
2012. 4. 29.
[삼국] 13. 신라의 통치체제 (신라 중앙 관제, 신라 지방 조직)
신라 1. 중앙 관제 (1) 6부 - 사량부, 본피부, 한기부, 습비부, 정량부 1) 내물 이후 2) 양부 - 국왕배출 (2) 법흥왕 : 17관등제, 병부 (3) 진흥왕 - 사정부(관리규찰), 품주 (국가재정) (4) 진평왕 : 위화부·조부·예부 (5) 진덕 여왕 : 집사부, 창부(재정) (6) 관청 1) 4단계 체계 - 장관 (令) / 차관 (卿) / 실무 (대사) / 잡무 (史) 2) 1관직 복수관등군 3) 국왕 근시기구 - 사인 (법흥왕) / 이내객 (진흥왕) 4) 왕실 업무 a. 초기 - 대궁, 양궁, 사량궁 별로 운영 b. 진평왕 - ‘내성’설치 (장관 : 사신) cf) 신라의 관등 명칭에는 간, 마루 등 족장적 의미를 지닌 것이 많았다. 2. 지방 조직 (1) 수도 : 6부 / 지방 : 5주 ..
2012.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