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12. 백제의 통치체제 (백제 중앙관제, 백제 지방조직, 6좌평, 22담로)
백제 1. 중앙 관제 (1) 초기 - 한성시대 1) 5부 (고이왕) - 동·서·남·북·중부 2) 좌장 설치 - 군사 일원화 3) 좌평, 귀족제 (정사암회의) a. 좌보, 우보, 좌평 설치 b. 5좌평 체계 - 사비천도 전까지 4) 솔계, 덕계 관등 - 신지·읍차에게 (2) 관등제 정비 : 수상[상좌평], 6좌평 이하 16관등 1) 6좌평 : 천관, 지관, 춘관, 하관, 추관, 동관에서 비롯 ➝ 「주례」의 6관 ☞ 내신(왕명출납), 내법(의례), 조정(형벌), 내두(재정), 병관(국방), 위사(숙위, 경비) 2) 특징 : 고구려, 신라 보다 정비됨 *16관등 (삼국사기, 주서) (cf. 솔덕 - 중국식) 관등 관복 허리띠 장식 1 좌평 자주색 은화관식 (모자장식) 2 달솔 3 은솔 4 덕솔 5 한솔 6 나..
2012. 4. 29.
[삼국] 9. 신라의 삼국통일과 부흥운동 (백제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 부흥운동, 고구려 부흥운동, 검모잠, 흑지상지, 복신, 도침, 고연무, 기벌포전투, 매소성전투)
삼국통일 Ⅰ.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1. 삼국의 세력 관계 변화 (1) 신라의 삼국 간의 항쟁 주도 : 신흥 귀족인 김춘추가 김유신과 제휴 권력 장악 cf) 삼국사기 - 김춘추가 연개소문을 만남 “연개소문이 죽령은 본디 우리 땅이다. ~~~ ” (2) 나당 연합군 결성 (648) 2. 백제의 멸망 (1) 내부 문란, 지배층의 향락 (2) 신라의 공격 - 황산벌에서 패함 : 김유신 vs 계백 (5천 결사대) (3) 당의 공격 : 소정방 ➝ 금강의 입구 백장을 통해 진격 (4) 멸망 (660) (5) 당 - 5도독부 설치 3. 고구려의 멸망 (1)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 내분 - 연개소문 사망 → 연남생 - 태막리지 → 연남건, 연남산이 남생을 축출 → 남생은 당에 투항 (2) 신라의 김인문, 당의 이세적이..
2012. 4. 28.
[삼국] 7. 삼국 비교 표 (고구려, 백제, 신라 비교 표)
삼국 비교 표 (고구려, 백제, 신라 비교 표) 성립기 완성기 율령 반포 한강 유역 불교 수용 부자세습 최대 영토 역사 편찬 고구려 태조왕(2세기) 소수림왕(4세기) 장수왕(5세기) 소수림왕 고국천왕(2세기) 문자왕(5세기) 영양왕(7세기) 백 제 고이왕(3세기) 근초고왕(4세기) 고이왕 침류왕(4세기) 근초고왕 신 라 내물왕(4세기) 법흥왕(6세기) 진흥왕(6세기) 눌지왕(5세기) 진흥왕 시기, 중국 고구려 백 제 신 라 1~2세기 (후한) 1) 태조왕 : 옥저 정복, 계루부 세습 요동진출 2) 고국천왕 : 부자상습, 진대법 5부 행정 구역 3세기 (3국) * 동천왕 : 서안평 공격, 오와 통교 관구검의 침입 * 고이왕 : 한강, 6좌평, 16관등제, 율령반포, 서진과 통교 4세기 (5호16국) 1) ..
2012. 4. 27.
[삼국] 5. 백제 (초고왕, 고이왕, 근초고왕, 침류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의자왕, 칠지도)
백제의 발전 1. 초기의 백제 (1) 백제의 건국 : 마한 지역 위례성(기원전 18년) “위례와 미주홀(인천)에 가서 살게 되었다.” - 삼국사기 (2) 부여, 고구려계 이주민 1) 백제 왕적의 성이 부여씨 2) 비류와 온조가 주몽의 아들 - 고씨 3) 초기 백제 무덤은 고구려식 (3) 초고왕 - 하남 위례성 이동 (4) 고이왕 (3세기 중반) 1) 국가 체제 정비 - 중앙집권국가 토대 a. 6좌평, 16관등제(자·비·청색), 관복 정비 b. 율령반포(가장 먼저) c. 남당(정사를 보는 관청), 좌당(군사일원화) d. 5부체계 (간접통치) e. 왕위세습 (형제세습) 2) 한강 유역 장악 3) 목지국 정벌 2. 백제의 성쇠 (1) 비류왕 (2) 근초고왕 (4세기 후반) 1) 영토확장 : 전라도 장악 (마한..
2012. 4. 27.
[삼국] 4. 고구려 (태조왕, 유리왕, 신대왕, 고국천왕, 미천왕, 동천왕,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 대왕, 장수왕, 안원왕, 양원왕, 보장왕, 중원고구려비,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의 발전 1. 초기의 고구려 (1) 건국 초기의 성격 : 유이민, 토착민 결합 (2) 고구려 건국 : 졸본성 ➝ 후 국내성 (3) 태조왕 (1세기 후반 ~ 2세기 초) 1) 국가 체제 정비 : 왕위가 연노부(소노부)에서 계루부로 옮겨지며 확립 ➝ 중앙 집권 국가 기틀 2) 옥저 복속, 낭랑 공, 요동진출 3) 책구루 설치 - 중국 군현과의 교섭권을 중앙에 귀속 4) 왕위세습 5) 5부체제로 발전 (4) 유리왕 - 국내성 천도 2. 체제의 정비 - 2세기 3. 고구려의 발전 (1) 신대왕 (165 ~ 179) - 국상제도 처음 설치 (2) 고국천왕 (2세기 후반) 1) 5부의 성격 변화 ➝ 5부제로 개편 2) 왕위 계승 : 형제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3) 왕권 강화 4) 춘대 추납 제도 실시 : 진대..
2012. 4. 27.
[초기국가] 7. 삼한 (수릿날, 소도, 읍차)
삼한 1. 성립 : 진(辰)의 성장 ➝ 연맹체 등장 2. 마한 (1) 무덤 : 전남 나주 용호리 (2) 토실 : 충남 공주 장선리 (3) 대전, 익산(경기, 충청, 전라) 54개국 (목지국) ➝ 백제 * 목지국 - 진왕으로 추대 3.진한 : 대구, 경주, 12개국 (사로국) ➝ 신라 4. 변한 : 김해, 마산, 12개국 (구야국) ➝ 가야 4. 정치 (1) 영도세력 : 마한이 가장 큼, 목지국, 마한왕, 진왕 (2) 지배 세력 : 신지·견지(저수지관리권), 읍차·부례 (3) 소도와 제정의 분리 1) 배경 : 농경 발달 2) 천군의 역할 : 종교, 농경, 의례 주관 3) 소도의 특징 : 별읍, 신성 지역(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않는다. - 죄인 도망) 4) 소도의 역할 : 제정 분리, 신·구 문화의 완충지 ..
2012. 4. 26.
[초기국가] 6. 옥저, 동예 (민며느리제, 책화, 족외혼, 무천)
옥저, 동예 1. 위치와 정치제도 (1) 함경도, 강원도 : 문화수용이 늦음 - 연맹 X, 부족단계 (2) 정치제도 : 읍군, 삼로, 후 라는 군장 2. 옥저 (함흥평야) (1) 어물, 소금 (2) 민며느리제 ☞ “장래에 혼인할 것을 약속하면 여자가 어렸을 때 남자 집에가서 성장한 후에 남자가 예물을 치르고 혼인을 하였다.” (3) 가족 공동 무덤 (골장제 : 뼈만 추려 곽 속에 안치, 세골장, 두벌묻기) (∵ 영혼 불멸사상) ☞ “그들은 장사를 지낼 적에는 큰 나무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장이나 되며 ~ 질솥에 쌀을 담아서 곽의 문 곁에다 엮어 매단다.” (4) 오곡이 잘 익고, 고구려에 공납 (5) 목곽 입구에는 죽은 자의 양식으로 쌀을 담은 항아릴 매달아 놓기도 함 (6) 밭농사 (7) 맥포 생..
2012. 4. 25.
[초기국가] 5. 초기 고구려 (1책12법, 서옥제)
고구려 1. 건국 :「삼국사기」 : 주몽 (기원전 37) * 동명성왕 이야기 - 금와왕과 유화, 하백의 외손 * 유화부인 - 농경신, 지모신의 모습 2. 천도 : 동가강 유역의 졸본(환인) ➝ 국내성(집안) 3. 경제 (1) 정복 전쟁 : 요동지방, 옥저 정복(태조) (2) 약탈 경제 : 부경이라는 창고 (지배층) (3) 특산물 : 맥궁 4. 정치제도 (1) 왕 아래 - 상가, 고추가 (대가) ➝ 사자, 조의 , 선인 등 관리 (2) 5부족 - 계루부, 연로부, 순노부, 관노부, 절노부 (3) 제가회의 [참고] * 상가 명칭이 가를 영도한다는 뜻. 제가 세력을 대표하고 통솔하는 제가 회의의 의장으로 짐작. 고구려본기에 국상과 동일한 존재로 이해하기도 한다. * 고추가 왕실을 배출한 계루부의 대가나 전왕족..
2012. 4. 25.
[초기국가] 4. 부여 (사출도, 우제점법, 영고)
부여 (BC 3c ~ AD 494) 1. 위치 : 길림시(송화강 유역), 농안, 장춘 2. 흥망 : 1세기 초에 왕호 사용, 중국과 외교 ➝ 문자왕(494) 고구려에 편입 T) BC 2~1세기 무렵 국가 형태를 갖추었다. 3. 정치 제도 (1) 사출도 : 행정구역 (2) 5부족 연맹체 - 마·우·저·구가 + 왕 (3) 왕권 미약 : 대표 부족의 세력이 강성 1) 적자가 왕위를 계승하였고, 적자가 없으면 제가들이 왕을 추대 2) 수해, 한해를 입어 오곡이 잘 익지 않으면 책임을 왕에게 물어 왕을 교체 4. 경제 (1) 반농반목 : 하호의 생산 활동에 의존 (2) 말, 주옥, 모피 5. 사회, 문화 (1) 순장, 형사취수, 일부다처제 (cf. 신라 지증왕은 순장을 국령으로 금지) ☞ “왕이 죽으면 여러 사람..
2012. 4. 25.
[초기국가] 3. 초기국가 비교 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비교 표), 읍락사회
초기국가 (읍락 사회) - 초기국가 비교 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비교 표)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위치 송화강(장춘,농안) 압록강(졸본, 국내성) 함흥평야 함경도, 강원 한반도 남부 성격 중국과 우호 부여족의 종주국 중국과 대립 씨족적 성격 고조선 유이민 (준왕) 토착민의 결합 (78개 연맹) 정치 5부족 연맹체 마,우,저,구가 사출도, 대사자, 사자 5부족 연맹체 고추가, 상가 사자, 조의, 선인 삼로, 읍군 (왕없음) 군장국가 진왕(마한왕): 목지국 신지, 견지 - 대족장 읍차, 부례 - 소족장 경제 반농반목 말, 주옥, 모피 부경(창고) 맥궁 해산물 오곡, 어,염 방직(누에) 단궁, 과하마, 반어피 수전농업(저수지) 벼농사, 철(변한) 제천 행사 영고(12월) 동맹(10월) ..
2012.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