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oy 형사소송법223

[주체] 4-3. 무죄추정의 원리 1. 무죄추정의 원칙 (1) 형사절차에서 유죄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무죄로 추정 (X- 선고 받을 때) (2) 소극적 실체진실주의 (in dubio pro reo), 인간의 존엄성 존중 (3) 헌법 § 27 ④ - 헌법에 규정 有 판) 1.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2. 국가의 수사권, 공소권, 재판권, 행형권 등의 행사에서 유죄확정까지 무죄로 추정 2. 적용범위 (1) 인적 범위 - 피고인만 규정 (∵ 규정은 없지만 피의자도 당연히 추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T) 현행 형소법은 피의자,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의 추정을 규정하고 있다? (X) T) 수형자는 무죄추정 x (2) 시간적 범위 - 유죄판결의 확정 전까지 1) 유죄판결의 확정 O - 1) 형선고의 판결 / 2) 집행유예, 선고유예 / 3) 형 면.. 2012. 6. 29.
[주체] 4-2. 피의자의 형사소송법상 지위 피의자의 형사소송법상 지위 1. 소송구조와 피고인의 지위 (1) 규문주의에서 피고인 - 조사의 객체, 고문의 대상 (2) 탄핵주의에서 피고인 1) 당사자주의에서 피고인 - 검사와 대등 2) 직권주의에서 피고인 - 소송의 주체일 뿐, 대등 X 2. 피고인의 소송법상 지위 - 당사자, 증거방법, 절차의 대상으로서의 지위 (X- 증인으로서의 지위) (1) 당사자로서의 지위 1) 수동적 당사자로서의 지위 (방어) ⟷ (공격 : 검사) 2) 피고인의 방어권 1. 방어준비를 위한 권리 (頭 - 열열변기 특유송) 1) 공판조서열람등사권 / 2) 관계서류와 증거물에 대한 열람등사권 / 3) 공소장변경절차 4) 공판기일변경신청권 / 5) 공소사실의 내용 특정 / 6) 제1회 공판기일의 유예기간 7) 공소장부본을 송달받을.. 2012. 6. 28.
[주체] 4-1. 형사소송법. 피의자의 특정 (위장출석, 성명모용) 피의자의 특정 (위장출석, 성명모용) 1. 피고인특정 (1) 공소장의 필요적 기재사항 - 성명 기타 피고인을 특정할 수 있는 사항 → 특정되지 않은 경우 : 공소기각판결 cf) 특정사항 - 소환장, 구속영장, 압수수색영장, 재판서, 공판조서 등에도 기재해야 한다. (2) 성명모용, 위장출석의 경우 문제 (3) 위장자수 - 위장자수인만 피고인이 될 뿐이고, 피고인 특정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2. 피고인특정의 기준 (1) 학설 - 의사설, 행위설, 절충설, 표시설, 실질적 표시설 (2) 실질적 표시설 (통) - 표시설을 중심으로 행위설·의사설을 고려 (3) 판례 - 실질적 표시설 - 타인의 성명과 생년원일을 사칭하여 기소된 경우 ~ 명의를 사칭한 자에 대해서만 공소의 효력이 미치고 그 명의를 모용당한 .. 2012. 6. 28.
[주체] 3. 형사소송법. 검사 (검사동일체의 원칙, 검사의 직무 권한) 검사 Ⅰ. 서설 1. 검사 (1) 검찰권을 행사하는 국가기관으로 범죄수사로부터 재판의 집행에 이는 형사절차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자 (2) 검사의 직급은 검찰총장과 검사로 한다. 2. 검사의 성격 (1) 준사법기관 헌재) 행정기관이면서도 동시에 사법기관인 이중의 성격을 가진다. (2) 단독제 관청 (X- 합의제) (3) 수사의 주재자, 공소권의 주체, 재판의 집행기관 3. 취지 - 규문절차의 폐지수단, 수사단계에서 피의자의 인권보장, 사법경찰에 대한 법치국가적 통제 Ⅱ. 검사동일체 원칙 1. 의의 - 피라미드형의 계층적 조직 - 검찰총장이 정점 → 일체불가분의 유기적 통일체로 활동하는 것 2. 내용 (1) 지휘·감독관계 1) 소속 상급자의 지휘·감독에 따른다. (종전 상명하복관계를 전제) 2) 적법한 처.. 2012. 6. 28.
[주체] 3-1. 검사의 소송법상 지위 검사의 소송법상 지위 1. 수사의 주재자로서의 지위 (1) 수사개시권 1) 특정 범죄혐의를 인지한 경우 수사 개시 2) 권리이며 의무 - 임의수사, 강제수사 등 모든 수사 가능 (2) 수사지휘권 1) 사법경찰관리에 대한 지휘·감독권 - 상명하복관계는 삭제 2) 수사지휘관계의 구체적 내용 1. 수사중지명령권 / 2. 교체임명요구권 / 3. 체포·구속장소 감찰권 / 4. 영장신청의 검사경유 5. 긴급체포시 사후승인 / 6. 압수물의 처분에 대한 검사의 지휘권 (3) 수사종결권 - 검사에게만 인정 (X-사법경찰관리) * 검사에게만 인정되는 것 (X - 사법경찰관) 1) 수사종결권 / 2) 증거보전청구권 / 3) 증인신문청구권 4) 변사자검시권한 / 5) 감정유치청구권 / 6) 영장청구권 cf) 사법경찰관도 수.. 2012. 6. 28.
[주체] 2. 형사소송법의 주체. 법원 법원 Ⅰ. 의의 1. 법원 (1) 국법상 의미의 법원 1) 사법행정상의 법원, 법원조직법상의 법원, 관청으로서의 법원 2) 청사 자체 의미 → 대법원장, 법원장의 지휘·감독을 받게 된다. (2) 소송법상 의미의 법원 = 합의부와 단독판사 1) 개개의 구체적 사건에 대하여 재판권을 행사하는 주체, 재판기관으로서의 법원 2) 보통 소송법상 의미의 법원 3) 지휘·감독 X cf) 군사법원 - 헌법이 인정한 특별법원이지만 상고심은 대법원이기에 대법원의 하급법원 2. 사법권의 독립 1) 신분과 직무의 독립성이 보장된 법관에 의해 구성되어야 한다. 2) 법치국가원리의 핵심요소 Ⅱ. 법원의 구성 [주체] 2-1. 형사소송 법원의 구성 ☜ 보기 클릭 Ⅲ. 제척·기피·회피 [주체] 2-2. 형사소송법의 제척·기피·회피 .. 2012. 6. 27.
[주체] 2-3. 형사소송법. 법원의 관할 [법원의 관할] Ⅰ. 관할 1. 재판권 / 관할권 / 사무분배 (1) 재판권 - 전체 법원의 일반적·추상적 심판권 (국법상개념) → 없을 때 = 공소기각판결 (2) 관할권 - 재판권의 분배 (재판할 수 있는 권한) → 없을 때 = 관할위반 판결 (3) 사무분배 - 특정법원 내 할당 → 사법행정사무에 불과하여 소송법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참고) 1. 군사법원 - 재판권의 문제 (X-관할문제) 2. 소송행위는 관할위반인 경우에도 그 효력에 영향이 없다. 3. 관할권이 있음에도 관할위반선고 - 항소이유 o 직무관할 재심·비상상고·재정신청사건에 관한 관할 사건관할 재정관할 관할의 지정·이전 법정관할 관련사건의 관할 고유관할 토지관할, 사물관할, 심급관할 2. 종류 (1) 직무관할 - 특별절차의 심판 (2).. 2012. 6. 27.
[주체] 2-3-3. 형사소송법. 사건의 이송 형사소송법. 사건의 시송 1. 의의 (1) 수소법원이 소송계속 중인 사건을 다른 법원·군사법원에서 심판하도록 소송계속을 이전하는 것 (2) 이송 받은 법원 - 반송, 전송 不可 (3) 즉시항고 X, 보통항고 X (∵ 법원의 관할에 관한 결정) (4) 소년부·가정부로 송치하는 결정 - 보통항고 可 (∵ 판결 전 소송절차에 관한 결정이 아니다.) 2. 관할과 관련된 사건이송 (1) 병합심리에 의한 이송- 결정등본을 송부 받은 날로부터 소송기록·증거물을 병합심리하게 된 법원에 송부 1) 토지관할의 병합심리 - 7일 이내 송부 2) 사물관할의 병합심리 - 5일 이내 송부 (2) 관할의 지정·이전에 의한 이송 - 지체 없이 송부 (3) 사건의 직권이송 1) 피고인이 관할 구역 내 현재하지 아니한 경우, 특별한 사.. 2012. 6. 27.
[주체] 2-3-2. 형사소송법 재정관할 (관할 지정, 관할 이전, 관할 창설) 형사소송법 재정관할 (관할 지정, 관할 이전, 관할 창설) 1. 관할의 지정 (1) 의의 - 관할법원이 명확하지 않거나 관할법원이 없는 경우 검사의 신청으로 그 직근상급법원이 심판할 법원을 지정 (X- 공소제기한 법원) (2) 관할지정 절차 1) 검사(만)가 관계있는 제1심법원에 공통되는 직근 상급법원에 신청, 공소제기 전후 불문 (X - 검사나 피의자가) 2) 관할 지정·이전 신청시 - 사유를 기재한 신청서 제출 3) 검사가 공소를 제기한 후에 신청하는 때 - 즉시 공소를 접수한 법원에 통지해야 한다. 4) 검사·피고인·피의자 - 신청서부본을 송달받은 날로 3일 이내 의견서를 제출할 수 있다. 5) 신청시 공판절차 정지 → 예외 : 급속을 요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 (3) 관할지정의 효과 1) 이.. 2012. 6. 27.
[주체] 2-3-1. 형사소송법 법정관할 (고유관할, 관련사건 관할, 사물관할, 토지관할, 심급관할, 병합심리) 형사소송법 법정관할 (고유관할, 관련사건 관할, 사물관할, 토지관할, 심급관할, 병합심리) 1. 고유관할 (1) 사물관할 1) 의의 - 사건의 경중이나 성질에 의한 제1심법원의 [단독판사 vs 합의부] 사이의 관할분배 * 2심, 3심은 문제되지 않는다. (∵ 합의부에서만 심판) 2) 원칙 = 단독판사 관할 ← 지방법원·지원의 형사사건 3) 지방법원·지원 합의부의 관할사건 1. 합의부가 결정한 사건 2. 다른 법률로 속하게 된 사건 3. 사형·무기·단기 1년 이상의 징역·금고에 해당하는 사건 (X - 3년) 4. 지방법원판사에 대한 제척·기피사건 4) 사형·무기·단기 1년 이상 이어도 언제나 단독판사 관할 - 특가, 폭처, 부수법, 상습·특수절도, 병역법, 부정의료 (頭 - 상병의 특수 폭) 판) 범죄단체.. 2012. 6. 26.
[주체] 2-2. 형사소송법의 제척·기피·회피 제척·기피·회피 1. 의의 (1) 공정한 재판을 실현, 적정절차의 원리 실현 (2) 제척 - 제17조 기제사유 → 법률의 규정으로 당연배제 (3) 기피 - 제척사유 + 기타 불공정한 재판할 염려가 있는 경우 → 당사자 신청 (3) 회피 - 법관 스스로 제척·기피원인 → 법관이 신청 2. 제척 [주체] 2-2-1. 형사소송법 제척 (제척 사유, 제척 판례) ☜ 보기 클릭 3. 기피 [주체] 2-2-2. 형사소송법 기피 (기피 판례, 기피 신청) ☜ 보기 클릭 4. 회피 (1) 법관이 스스로 (2) 서면 (3) 시기 제한 X (4) 기피 규정 준용 (soy 형소법) (5) 결정에 항고 X 5. 법원사무관 등에 대한 제척·기피·회피 (1) 앞 규정 준용 - 법원서기관, 법원사무관, 법원주사, 법원주사보, 통역.. 2012. 6. 26.
[주체] 2-2-2. 형사소송법 기피 (기피 판례, 기피 신청) 형사소송법의 기피 (1) 의의 - 당사자의 신청(제척과의 차이) → 법원의 결정 → 배제 (2) 기피사유 * 비유형적 - 제척사유 + 법관이 불공정한 재판을 할 염려가 있는 때 (객관적 사정, 보통인 판단) (∵ 제척사유인지 불분명한때) (3) 신청절차 1) 기피 신청권자 1. 검사·피고인 - O (X - 피의자 ☞ 가능하다는 견해 有) 2. 변호인의 독립대리권 - 피고인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 가능 2) 신청 대상 1. 개별 법관 (X- 재판부 자체) 2. 합의부 법관 전원에 별도로 기피신청 가능 3. 전원합의체를 구성하는 대법관 전원에 대한 기피신청 - 不可 3) 신청 방법 1. 서면·구술 (∵ 구술은 기록을 남겨야 한다.) 2. 구술 - 법원사무관 등의 면전에서 해야 한다. → 법원사무.. 2012. 6. 26.
[주체] 2-2-1. 형사소송법 제척 (제척 사유, 제척 판례) 형사소송법 제척 (1) 적용범위 1) 적용되는 경우 (O) 1. 공소제기 후의 절차에만 적용 (頭 - 후공약즉) 2. 피고인에 대한 공판사건을 심판하는 법관 3. 피고인에 대한 약식명령을 행하는 법관 4. 즉결심판을 행하는 법관 2) 적용되지 않는 경우 (x) - 공소제기 전의 증거보전절차, 증인신문절차를 행하는 법관 (2) 제척사유 제17조 제척원인 ☆ 1. 법관이 피해자인 때 2. 친족·친족관계 있었던 자 3. 법정대리인, 후견감독인 4. 증인, 감정, 피해자의 대리인 5. 피고인의 대리인, 변호인, 보조인 6. 검사·사법경찰관의 직무를 행한 때 7. 전심재판, 그 기초되는 조사·심리에 관여한 때 1) 한정 - 법관이 피해자인 때, 밀접한 관련이 있는 때, 이미 당해 사건에 관여하였을 때 2) 법관이.. 2012. 6. 26.
[주체] 2-1. 형사소송 법원의 구성 형사소송 법원의 구성 1. 단독제 / 합의제 (1) 단독제 - 1인 법관, 신속 (2) 합의제 - 수인, 신중과 공정 T) 제1심은 단독제, 합의제를 병용하고, 제2·3심은 합의제에 의한다. 2. 재판장 / 수명법관 / 수탁판사 / 수임판사 (1) 수소법원 1) 검사의 공소제기로 법원에 소송계속이 이루어져 당해 형사피고사건을 심판하게 된 법원 2) 약식명령의 청구 받은 법원, 즉결심판의 청구를 받은 법원 도 포함 (2) 재판장과 합의부원 1) 재판장 - 수소법원이 합의체인 경우 1인 2) 합의부원 - 재판장 이외의 합의체 구성법관 (3) 수명법관 1) 수명법관 - 합의체법원이 그 구성원인 법관에게 특정한 소송행위를 하도록 명하였을 때, 그 법관 2) 특정한 소송행위 a. 합의체의 법원이 결정·명령을 함에.. 2012. 6. 25.
[주체] 1. 형사소송 주체의 기본개념 소송의 주체에 있어서 기본개념 Ⅰ. 소송의 주체 1. 소송법적 3면관계- 법원, 검사, 피고인 2. 법원 - 재판권의 주체 / 검사 - 공소권의 주체 / 피고인 - 방어권의 주체 Ⅱ. 소송관계인 1. 당사자 + 보조자 2. 사법경찰관리 - 검사의 보조자 3. 변호인·보조인·대리인 - 피고인의 보조자 Ⅲ. 소송관여자 - 증인·감정인·고소인·고발인 2012.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