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Ⅰ. 문학의 새경향
1. 문학계의 변화
(1) 신소설
1) 언문일치 주장 (- 1917 ‘무정’이 나오기 전까지)
2) 이인직 ‘혈의누’ / 이해조 ‘자유종’, ‘빈상설’ / 이상협 ‘재봉춘’ / 최찬식 ‘안의성, ’추월색‘
안국선 ‘금수회의록’ - 동물 등장 (여우 - 제국주의 꾸짖음, 게 - 인간 야유 등 /
(2) 신체시 -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3) 번역문학
1) 성격, 이솝이야기, 로빈슨 표류기
2) 천로역정
a. '존 버니언‘(영)의 종교우화소설 - 1896년 선교사 ’게일‘이 번역
b. 근대 첫 번역소설
3) 일본 - ‘설중매’, ‘장한몽’
4) 사서 건국지 (박은식) -빌헬름 텔
5) 철세계 (이해조)
6) 서유기
2. 신문학의 의의
(1) 민족의식 고양
(2) 식민지 문화 터전을 만들어 주기도 함
Ⅱ. 예술계의 변화
1. 음악
(1) 서양음악, 찬송가
(2) 창가
1) 일본 「소학창가집」에서 유래 - 저통가사체 +새찬소가 + 서양 + 일본
2) 한양가, 세계일주가, 경부철도가(최남선)
(3) 독립가, 애국가, 동심가, 신문가
2. 연극
(1) 신극운동
1) 친일적
2) 원각사 - 최초의 서양식 극장 = ‘은세계’, ‘치악산’, 공연 (이인직 건립)
(2) 판소리, 민속 가면극
3. 미술 - 유화, 김정희 계통 문인 화가
Ⅲ. 종교 운동의 새 국면
1. 천주교
(1) 1886 조불 수호 통상 조약 - 선교의 자유 (2) 경향 신문
2. 개신교
1) 국민교육회 2) 한글 보급, 미신타파 3) 서양의술 4) 황성기독교 청년회
3. 천도교
1) 손병희 (동학) 2) 보성사 - 인쇄소 = 만세보 (민족 신문)
4. 대종교
1) 단군 기반 2) 해외항일운동 3) 나철, 오기호 4) 오적 암살단, 중광단, 북로군정서
5. 유교
* 박은식 : 유교구신론 → 주자학 중심 비판 → 양명학 ‘지행합일’ + 사회진화론
6. 불교
(1) 한용운 - 조선불교유신론
(2) 사찰령 (1911)
(3) 주지전횡의 폐단 - 총독비호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일 독립 전쟁 (0) | 2009.11.13 |
---|---|
대한민국 임시정부 (0) | 2009.11.12 |
비밀 결사 운동, 3.1 운동 (2) | 2009.11.11 |
[국사] 국권의 피탈과 민족의 수난 (일제의 통치 변화) (0) | 2009.11.11 |
일제치하 민족 경제의 변화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병참기지화 정책) (0) | 2009.11.11 |
독립운동 (0) | 2009.11.10 |
개항 이후 사회 변화 (1) | 2009.11.09 |
근대 교육, 국학연구 (1) | 2009.11.09 |
근대 문명의 수용 (0) | 2009.11.08 |
구한말 경제 침탈, 경제 구국 운동 (0) | 2009.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