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법률 ※/Soy 헌법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by 소이나는 2010. 9. 1.
반응형


 


   1. 단결권

      (1) 의의

      (2) 주체 - 일시적 단체도 포함

      (3) 내용


           1) 소극적 단결권과 단결강제

                 ① 학설

                      A. 단결권규정에서 찾는 견해 (적극적 단결권과 동일한 보호정도)

                      B. 결사의 자유 및 일반적 행동의 자유에서 찾는 견해 (적극적 단결권과 동일한 정도 보장 X)

                 ② 헌재판례

                      "근로자가 노동조합을 결성하지 아니할 자유나 노동조합에 가입을 강제당하지 아니할 자유,

                       그리고 가입한 노동조합을 탈퇴할 자유는 근로자에게 보장된 단결권의 내용에 포섭되는

                       권리로서가 아니라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서 파생되는 일반적 행동의 자유 또는

                       제21조 제1하의 결사의 자유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③ 단결강제의 유형

                      A. 클로즈드 샵

                      B. 유니온 샵

                      C. 오픈 샵


           2) Union Shop의 문제

                 ① 노동조합법 제81조 제2호 단서 "노동조합이 당해 사업자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2/3이상을

                     대표하고 있을 때 근로자가 그 노동조합의 조합원이 될 것을 고용조건으로 하는 단체협약체결은

                     부당노동행위가 아니다."

                 ② 헌판 - 유니온 샵 (합헌)

                      A. 이익형량

                          근로자의 단결하지 아니할 자유와 노동조합의 적극적 단결권의 충돌

                           → 적극적 단결권이 우선

                      B. 규범조화

                          근로자의 단결선택권과 노동조합의 집단적 단결권의 충돌

                           → 근로자의 단결선택권을 필요최소한으로 제한

                 ③ 대판 - 유니온 샵 협정에 따라 사용자는 노동조합에서 탈퇴한 근로자를 해고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해고하지 않는다고 해서 부당노동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채무불이행일 뿐)


        

   2. 단체교섭권


      (1) 의의


      (2) 주체


      (3) 단체교섭의 대상

           1) 원칙 - 근로조건의 유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2) 경영권과 인사권

                원칙적으로 사용자의 권한이지만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이나 지위에 직접 관련되거나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단체교섭의 대상에 포함된다. 하지만

           3) [대판]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합병 등은 긴박한 경영상 필요나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교섭의 대상에 포합되지 않는다.


      (4) 단체협약체결권

           1) 단체협약체결권은 단체교섭권에 포함된다.

           2) [헌판] 단체교섭의 권한이 있는 자 (노동조합 대표자)에게 단체협약체결권을 부여하는 것은 위헌 X

           3) [대판] 노조규약에서 조합원 총회에 단체협약체결권을 부여한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이유로 단체교섭을

                     회피하더라도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5) 헌재판례

           1)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의 인사에 관해 단체교섭을 체결하고도 별도로 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도록 하는 것

              → 단체교섭권 침해 X

              ∵ 공법인으로 인사 등의 방만한 운영을 방지하고자

           2) 기획예산처장관의 예산편성지침이 단체교섭의 자율성을 침해하여 단체교섭권을 침해?

              → 침해 X

              ∵ 정부의 투자기관에 대한 내부적 감독작용에 불과하다.

           3) 사납금제를 금지하기 위해 운송수입금 전액 수납의무와 운수 종사자의 운송수입금 전액 납부 의무 규정

              (기각)

           4) 한국철도공사직원의 퇴직금 제한 (기각) - 이중수령예방


       cf)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등의 활동은 노동쟁의조정법의 규율을 받고, 노사협의회관련법률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3. 단체행동권


      (1) 의의

           1) 단체행동 = 근로자의 쟁의행위+ 그 밖의 단체행동

           2) 근로자의 쟁의행위 - 업무의 정상적인 운행을 저해하는 단체행동

           3) 그 밖의 단체행동 - ex. 리본달기


      (2) 유형

           1) 근로자의 쟁의행위 - 파업, 태업, 보이코트, 생산관리, 피켓팅

           2) 사용자의 쟁의해위 - 직장폐쇄 → 근로자가 쟁의행위를 개시한 이후에만 할 수 있다.(수동적, 방어적)

                                           → 선제적, 공격적으로는 할 수 없다.


          cf) 고정승무발령, 배차시간, 순서 - 근로조건과 밀접하다.

          cf) 사용자 인사처분에 대한 노동조합의 사전 동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 절차를 거치지 않은 인사처분은 무효


      (3) 단체행동권의 한계

           1) 목적상의 한계 - 순수한 정치적 파업 不可, 하지만 산업적 정치파업은 허용

           2) 절차상의 한계 - 단체교섭 결렬 + 조합원 과반수의 찬성결의

           3) 수단상의 한계

                 ① 생산관리는 허용되지 않는다.

                 ② 피켓팅 - 폭행, 협박 등의 물리적 강제는 허용되지 않는다. (언어적 설득 범위 내 정당성인정)

                 ③ 직장점거

                      A. 전면적, 배타적 직장점거는 허용되지 않는다.

                      B. 부분적, 병존적 직장점거는 허용된다.


      (4) 대법판례

            "쟁의행위에서 추구되는 목적이 여러 가지이고 그 중 일부가 정당하지 못한 경우에는 주된 목적 내지

             진정한 목적의 당부에 의하여 그 쟁의목적의 당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 노동조합이 회사로서는

             수용할 수 없는 요구를 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단체교섭의 단계에서 조정할 문제이지

             노동조합측으로부터 과다한 요구가 있었다고 하여 막바로 그 쟁의행위의 목적이 부당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는 없다."

        

* 근로3권 - 보기 클릭
반응형

'※ Soy 법률 ※ > Soy 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법] 국민의 의무  (0) 2010.09.04
[헌법 제36조] 모성의 보호와 보건권  (0) 2010.09.03
[헌법 제20조]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장  (0) 2010.09.03
환경권  (0) 2010.09.02
근로3권  (0) 2010.09.02
근로3권의 제한  (0) 2010.09.01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 (2007)  (0) 2010.09.01
근로의 권리  (0) 2010.09.01
근로의 권리의 내용  (0) 2010.08.31
[헌법 제31조] 교육을 받을 권리  (0) 2010.08.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