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세계 유산
한국의 세계 유산 1. 세계문화유산 (1) 고인돌(고창, 화순, 강화) (2) 고구려 고분군 (북한) (3) 경주 역사 유적 지구 1) 남산 - 미륵곡 석불좌사, 배리 석불 입상, 나정, 포석정 2) 월성 - 신라 왕국, 김알지가 태어난 계림, 첨성대 3) 대릉원 지구 - 황남리 고분군, 노동리 고부군, 노서리 고분군, 무덤 = 금관, 천마도, 유리잔, 토기 등 출토 4) 황룡사 지구 - 황룡사지와 분황사 5) 산성지구 - 명활 산성 (4) 석굴암, 불국사 (5) 해인사 장경판전 (세조의 어명으로 중창) (6) 수원 화성 (7) 종묘 (8) 창덕궁, 비원 (태종 5년 전각완성, 태종 12년 돈화문) (9) 조선왕릉 (10) 안동 하회 마을 (11) 월성 양동 마을 2. 기록 유산 1)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2009. 11. 1.
[조선시대] 실학
실학 Ⅰ. 실학의 등장 1. 실학 - 17~·8세기 2. 등장 배경 (1) 통치 질서의 와해 (2) 경제 변화의 발전 (3) 신분 변동 - 몰락한 양반층의 생계, 서민층의 생존 문제에 주목 (4) 성리학의 사회적 기능 상실 (5) 현실 문제를 탐구하려는 움직임 (6) 서학의 영향 (7) 청의 고증학의 영향 - 실사구시 3. 제기 (17세기 전반기) (1) 이수광 1) 지봉유설 - 백과사전적 실학 저술 cf) 비슷 - 잡동산이(안정복), 오주연문장전산고(이규경), 성호사설(이익) 2) 천주실의 / 「교우론」전래 / 천문, 지리, 관제 (2) 한백겸 1) 동국지리지 / 대동법의 확대 실시 / 북인계열 2)「구암유고」, 「조선변」, 「잡목설」, 「기전도」, 「기전유제설」, (3) 김육 - 시헌력 채용 / 수차..
2009. 10. 31.
[실학] 국학연구 (조선 후기)
국학 연구의 확대 1. 17세기 이후의 역사 지리 (1) 이수광 (광해군, 1614) = 지봉유설 - 중국과 대등 (중국, 일본, 유럽 내용) (2) 홍여하 1) 휘찬려사 (인조, 1639) = [기자 → 마한 → 신라]가 정통국가 : 삼한 정통론 / 편년체 2) 동국통감제강 (현종 1672) - 편년체, 왕권 강화를 강조, 붕당 정치의 폐지를 역설, 남인 사이에 가장 추앙 (3) 유계 (현종, 1667) = 여사제강 - 서인의 북벌론을 합리화, 고려가 북방 민족에게 항전한 사실 강조 / 강목체 (4) 허목 (현종, 1667) = 동사 - 남인 입장, 자연환경, 풍속, 인성의 독자성을 강조, [단군 ~ 삼한] 2. 18·19세기의 역사학 연구 - 실증주의 중시, 민족주의적 사관 (1) 홍만종 = 동국역대..
2009. 10. 31.
[조선 후기] 성리학의 변화 (양명학의 수용)
성리학의 변화 Ⅰ. 성리학의 교조화 경향 1. 성리학의 교조화 (1) 서인 주도 - 인조반정 이후 = 주자 중심 성리학 절대화 (2) 김장생 「가례집람」 (3) 우암 송시열 - 「주자대전차의」, 「주자어류소분」 2. 성리학의 비판 (1) 17세기 후반부터 (2) 6경, 제자백가등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경향 * 6경 - 서경, 시경, 역경, 예기 춘추, 악기 (3) 윤휴 - 서경덕의 영향, 유교 경전에 대해 독자적 해석, 주자 비판 (4) 박세당 - 사변록 / 노자의 도덕경을 적극적으로 해석, 포용성과 개방성을 강조 (5) 이들은 사문난적으로 몰려 제거 (6) 정약용 - 성리학과 다른 독자적 철학을 수립 (7) 이익, 정제두, 최한기, 안정복 Ⅱ. 양명학의 수용 사 림 동인 (이황) 남인(이황) 영남 -..
2009. 10. 29.
[조선 후기] 수취체제
수취 체제의 개편 초 기 중 기 후 기 흥선 대원군 전세 (조세) [과전법] → (여말, 선초) 1결당 30두 [연분9등법] → (세종) 1결당 20~4두 풍, 흉 기준 → 1결당 6~4두 (최저율 적용) → [영정법] (인조) 1결당 4두 징수 (풍·흉 무관) [손실답험법] → 넓이와 수확 기준 [수등이척법]→ 자(尺)다름 → → [양척동일법] 양전하는 자 동일 공납 [공납] → 상공, 별공, 진상 호기준 수취, 수송의 폐단 →[방납]→ 경저리, 서리 등 대납 농민 부담증가 →[수미법]→ 이이 유성룡 →[대동법] 공납→미포전 戶→토지(12두, 結, 숙종) 군역 [보법] → (세조) 양인 개벽제, 병논 일치 →[방군수포·대립제]→ 1년2필 불법적 →[군적 수포제]→ (중종) 양민과 상민 구분 제도적, 국..
2009. 10. 27.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동 (신분제, 가족제도, 노비)
사회 구조의 변동 Ⅰ. 신분제의 동요 1. 신분제의 분화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특징 1) 법제적 -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하는 양천제 표방 2) 실제적 - 반상제로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네 계층으로 분화 (2) 조선 후기 신분제 경향 - 양반수 증가, 상민·농민은 감소 (면천, 납속, 족보 위조) 2. 양반층의 동요 (1) 붕당 정치가 변질 (2) 분화 1) 벌열 양반 2) 몰락 양반의 향반·잔반화 Ⅱ. 중간 계층 1. 역할 증대 - 서얼과 중인 등 중간 계층의 역할이 커짐 2. 사회적 제약 - 서얼(문과 응시 금지, 승진제한), 기술직 중인(고급 관료로 진출제한) 3. 신분 상승 노력 (1) 서얼 1) 왜란 이후부터 차별이 완화 : 납속책, 공명첩을 통해 관직 진출 2) 상소운동 : 영·정도 ..
2009. 10. 27.
[조선] 동학, 천주교, 예언사상, 홍경래의 난, 농민봉기
사회 변혁의 움직임 Ⅰ. 사회 불안의 심화 1. 사회의 동요 - 신분제 동요, 농민 경제 파탄, 적극적인 항거 운동 발생 2. 사회의 동요 심화 - 정치 기강 문란, 재난, 질병 3. 사회의 불안 고조 - 민심 불안, 이양선의 출몰, 도적의 창궐 (화적, 수적) Ⅱ. 예언 사상의 대두 1. 예언 사상 유행 (1) 예언사상 - 비기, 도참, 변혁적 성격 / 내용 - 말세, 변란 (2) ‘정감록’ - 유행한 비기 2. 무격신앙과 미륵 신앙 (1) 무격신앙 - 굿, 구복적 성격 / 내용 - 재앙, 잡귀 (2) 선운사 도솔암마애불 - 고려시대 석 여래상으로 감실에 비결이 있어서 그것이 나오면 한양이 망한다는 이야기 퍼짐 Ⅲ. 천주교의 전파 1. 소개 - 17세기 우리나라 사신 들이 베이징 천주당을 방문 후 ‘서..
2009. 10. 26.
[조선] 탕평책, 붕당정치 (영조, 정조)
정쟁의 격화와 탕평정치 Ⅰ. 붕당 정치의 변질 1. 붕당 정치 변질의 의미 - 균형이 깨짐 2. 원인 (1) 상업적 이익에 대한 독점 경향 1) 농업의 생산량 증대 - 이앙법, 이모작 견종법 2)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2) 붕당 정치의 기반 붕괴 1) 서인, 남인의 공존이 깨짐 2) 지주제, 신분제의 동요 (3) 쟁점의 변질 - 군영 장악 3. 변질과정 경신환국 서인 윤휴, 허적, 유악사건 기사환국 남인 장희빈 갑술환국 서인 인현황후 (1) 숙종 - 경신환국 (경신대출척, 1680, 붕당 정치 변질의 직접적 계기) - 서인 정권 1) 남인의 윤휴, 허적이 북벌론 제기 하며 도체찰사를 설치 군인 양성 2) 남인이 역모를 시도하였다 공방 3) 윤휴, 허적 축출 cf) 유악사건 - 허적이 궁중 기름 천막을..
2009.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