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582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명, 여진, 일본)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Ⅰ. 명 1. 외교 정책의 원칙 - 사대교린 정책 2. 국초의 대명 관계 (1) 태조 1) 요동 정벌 추진 - 정도전이 중심 진도를 작성, 성보를 수리 - 불편하기도 함 2) 고명·금인 - 명이 왕위를 승인하는 고명과 금인을 보내지 않아 권지고려국사라는 칭호 사용 (2) 태종 - 사이가 좋아짐 3. 사절의 파견 (1) 목적 1) 정치적 - 왕권의 안정, 국제적 지위 확보 2) 경제적 - 문화 외교, 공무역 (2) 무역 1) 수출 - 마필, 인삼, 화문석 2) 수입 - 견직물, 서적, 약재, 문방구, 도자기 3) 폐단 - 명의 과다한 금은 요구를 피하기 위해 금·은광을 거의 폐쇄 4. 대명 관계의 변화 - 지나친 친명정책 정기 사찰 부정기 사찰 하정사 정월 초 인사 주청사 특별한 요청.. 2009. 10. 21.
조선 전기의 정치조직 (중앙 조직, 지방행정조직) 중앙의 정치 조직 1. 정치 체제 확립 (1) 정치 체제의 법제화 - 경국대전 (2) 관리의 구분 - 30등급(18품 30계) 1) 직책에 따라 가. 산관 - 자체가 관직은 아님 a. 영직 (무급) - 세종 ~ b. 노인직 (무급) - 성종, 80세 이상 c. 봉조하(유급) - 당상관에 실직자까지 녹봉지급 나. 직관 - 실제 직책 a. 정직 (유급) b. 체아직(유급) - 직업군인, 하급기술관, 임시시험실시, 적은 수의 서용위해 실시 c. 무록관(무급) - 포폄성적이 나쁜 자, 차별 2) 관계에 따라 가. 당상관 a. 정3품 상계 (문반 - 통정대부 / 무반 - 절충장군) 이상 통칭 b. 왕과 논의, 주요관서 책임자 c. 순자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국왕에 의해 직접 승진여부가 결정 나. 당하관 a. 실무.. 2009. 10. 21.
조선 전기 국왕 중심의 통치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성종)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 1. 태조 (1392~1398) (1) 3대 정책 - 숭유 억불, 중농억상, 사대교린 (2) 국호 제정 : 조선 (3) 한양 천도 1) 한강의 수로 교통, 백제의 수도가 건설 되었던 곳이고 삼국 문화가 골고루 스며들어 있음 2) 한강 정비 - 경복궁, 종묘, 관아 등 설치 (4) 정도전 1) 왕도 정치를 바탕으로 재상 중심 정치 주장 “임금으로 하여금 올바른 경지에 들게 하여야 한다.” 2) 통치 규범 마련 : 조선경국전(조선 최초 법전, 경국대전의 모체), 경제문감 등 민본적 통치 규범 마련 3) 통치 이념 확립 : 불씨잡변으로 불교 비판,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심기리편’ - 성리학 우월성), 척불론 4) 대명 정책 : ‘진도’(진법서)를 편찬 (요동 정벌 추진) .. 2009. 10. 21.
조선초기 군역제도와 군사조직 군역 제도와 군사조직 1. 군역 제도 (1) 종류 1) 신역 - 직역, 군역 2) 잡역 - 요역 (2) 원칙 1) 양인 개병제 실시 - 군역은 태종 이후 사병을 모두 폐지, 모든 양인 남자는 군역(16세 이상 ~ 60세 미만) ☞ 천인 X, 공신의 자제는 포함 2) 정군(현역 군인), 보인(비용만 부담) 3) 정군은 품계를 받는 등 대우를 해줌 (3) 군역 면제 1) 현직 관료와 학생, 향리 2) 고급 관료의 자제는 고급 특수군에 편입 (면제 받은 것이 아니다.) (4) 노비 - 군역의 의무가 없다. 특수군(잡색군)으로 편제되기도 한다. (5) 봉족제 1) 배경 가. 조선 전기 직업군인 無 - 모든 경비는 군인이 자체 조달 나. 봉족 a. 군역 복무에 따른 반대급부로 토지를 지급 받지 못한 가난한 군정에.. 2009. 10. 20.
근세 사회로의 전환 (조선) 근세 사회의 성립, 전개 Ⅰ. 신진 사대부의 성장 1. 특징 (1) 진취적 (2) 성리학 (3) 과거로 진출 2. 신흥 무인 세력과 제휴 - 이성계 중심 권문세족 신진 사대부 중앙 고관 지방 향리 음서 과거 대농장 재향 중소 지주 비유학 성리학 불교 배불론자 친원 친명파 최영, 이인임 정도전, 조준 Ⅱ. 고려의 멸망 1. 고려 사회의 모순 (1) 권문세족의 발호 - 중앙 집권 약화, 왕권 쇠퇴 (2) 공민왕의 개혁 정치 실패 - 원의 압력, 군문세족의 반발 (3) 사대부의 분열 1) 사원 경제의 폐단과 토지 소유 등 개혁의 방향을 놓고 의견이 다름 2) 온건 개혁파 - 이색, 정몽주 - 고려 왕조의 틀 안 점진적 개혁 3) 급진 개혁파 - 이성계, 정도전 - 역성혁명 급진 개혁파 (혁명파) 온건 개혁파 .. 2009. 10. 20.
조선시대 연표 1388 - 위화도 회군 1389 - 박위 - 쓰시마 섬 토벌 1391 - 과전법 제정 1392 - 고려 멸망, 조선 건국 1394 - 한양 천도 1402 - 호패법 실시 1403 - 주자소 설치 1411 - 한양에 5부 학당 설치 1412 - 시전 1413 - 지방 행정 조직 (8도), 태조 실록 편찬 1416 - 4군 설치 1420 - 집현전 확장 1434 - 6진 설치 1441 - 측우기 1443 - 훈민정음 창제 1446 - 훈민정음 반포 1466 - 직전법 1485 - 경국대전 1510 - 삼포 왜란 1543 - 백운동 서원 세움 1555 - 을묘왜변 1592 - 임진왜란 (~1598) 1593 - 행주 대첩 1608 - 대동법 (경기) 1609 - 기유약조 (일본) 1610 - 동의보감 162.. 2009. 10. 20.
[고려] 문화 예술 귀족 문화의 발달 Ⅰ. 문학의 성장 1. 고려 전기의 문학 (1) 향가 1) 초기 : 광종 때 균여가 지은 보현십원가 11수가 「균여전」에 전해짐 2) 보현십원가 - 불경을 향가로 풀이 3) 중기 - 예종 때 현화사의 낙성식에서 향가를 짓게 함, 하지만 향가는 한시에 밀리기 시작 (2) 한문학 1) 성종이후 성행 ➝ 박인량, 정지상, 김황원, 정습영 2) 독자적 모습 2. 중기의 문학 - 당·송의 한문학 숭상 경향 = 사대성, 보수성 3. 무신 집권기 (1) 초기 수필 형식 저술 1) 낭만적, 현실 도피적 경향 2) 이인로 - 파한집 (한가로움을 깨뜨리는 뜻) 3) 임춘 - 국순전 = 술을 의인화 “출렁대고 넘실거림이 만경창파와 같아 맑게 해도 맑지 않고, ~” (2) 최씨 무신 집권기 1) 현실을 제대.. 2009. 10. 20.
[고려] 과학기술 과학 기술 Ⅰ. 천문학의 의학 1. 과학 기술의 발달 배경 (1) 국자감에서 잡학 교육 - 율학, 서학, 산학 (2) 과거에서 잡과 실시 (3) 과학 기술 수용 - 중국, 이슬람 2. 천문학·역법, 의학 (1) 천문, 역법 1) 관청 : 사천대(서운관) - 개성 만월대 서쪽의 첨성대에서 관측 (cf. 조선 : 관상감) 2) 고려 초기 : 당의 선명력 사용 3) 고려 후기 : 원의 수시력 (충선왕) ➝ 명의 대통력 (공민왕) (2) 의학 1) 태의감 (cf 조선 - 전의감) 2) 약국 개설 3) 중기 : 독자적 처방 - 향약방 4) 후기 : 13세기 편찬 「향약구급방」- 최고의 의학 서적 (cf. 조선 - 향약집성방) 5) 기타 의서 - 삼화자향약방, 향약고방, 향악간이방 Ⅱ. 인쇄술의 발달 1. 특징 2.. 2009. 10. 20.
[고려] 불교, 도교, 풍수지리설 불교 사상과 신앙 Ⅰ. 불교 정책 1. 불교의 성격 (1) 현세 구복적 : 비보사찰, 원탑의 건립 (2) 호국적 : 연등회, 팔관회, 대장경 조판 2. 당대의 신앙관 (1) 귀족 (2) 일반인 : 기복 신앙, 향도(토속, 불교, 풍수지리설 융합) 3. 태조의 숭불 정책 (1) 사원 건립 : 불교 적극 지원 (2) 불교에 대한 국가의 지침 제시 : 훈요십조, 팔관회 (3) 법왕사, 왕륜사, 개태사 4. 광종의 정책 (1) 승과 제도 : 교승 - 수좌, 승통까지 / 선승 - 선사, 대선사 까지 (2) 국사(혜거)·왕사(탄문) 제도 (3) 교종 우대 - 화엄종(균여), 귀법사(성상융회사상) (4) 승록사 설치 - 승계 임명 (5) 법안종 도입 (6) 천태학 강조 (의통, 제관) - 교종이면서 대중성 5. 성종.. 2009. 10. 19.
[고려] 유학, 역사서의 편찬, 과거제도, 음서제도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Ⅰ. 유학의 발달 1. 고려 문화의 특징 (1) 유교 : 치국의 도 (2) 불교 : 수신의 도 (3) 유·불 함께 발전 2. 유학의 진흥책 (1) 태조 : 최언위, 최응, 최지몽 (2) 광종 : 과거 제도, 당태종의 「정관정요」 - 통치 지침서 (3) 성종 : 유교 정치사상 (국자감), 원구례·적전례 시작 (유교의 예제) 3. 고려 초기의 유학 (1) 최승로 : 시무 28조 (2) 김심언 : 봉사 2조 (3) 자주적, 주체적 4. 고려 중기의 유학 (1) 최충 : 해동공자 (2) 김부식 : 삼국사기, 보수적, 현실적 성격 (3) 귀족 취향, 보수적 (문벌귀족 - 시문을 중시) (4) 훈고학 :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 (5) 주례 강조 (6) 북송 성리학 수용 (7) 귀족적 .. 2009. 10. 19.
[고려] 경제 활동 (귀족, 상업, 농업, 무역) 경제 활동 Ⅰ. 귀족의 경제생활 1. 귀족의 경제 기반 : 과전, 녹봉 2. 과전과 사전의 수입 (1) 과전 : 사망시 반납(공음, 공신전)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토지의 일부분이라도 물려받을 수 있었다. - 조 1/10 (2) 사전 - 조 1/2 3. 녹봉 (문종때) - 현직 실직주의 / 지급목록 - 미·속·맥 4. 토지확대 5. 귀족의 사치 생활 (1) 누각·별장 소유 (2) 말·차 이용 (3) 비단·고운 모시 Ⅱ. 농민의 경제생활 1. 경제 기반 (1) 민전 경장, 소작 (2) 품팔이 등 2. 생활 개선 노력 (1) 소득 향상 노력 (2) 개간 사업 (3) 강화도 간척 (4) 수리 시설 개선 : 김제의 벽골제, 밀양 수산제 개축 (5) 진전이나 황무지를 개간하면 일정 기간 소작료나 조세를 감면 3. .. 2009. 10. 19.
고려의 경제 정책 경제 정책 Ⅰ. 농업 중심의 산업 발전 1. 중농 정책 (1) 잡역 금지, 농민 안정책 강화, 개간 사업, 취민유도 (2) 권농 정책 1) 광종 : 황무지 개간의 규정 마련 ← 토지 개간을 장려 2) 성종 a. 농기구 보급 b. 재면법 c. 자모상모법 d. 의창 3) 개간, 간척, 시비법 발달 2. 상업과 수공업의 정책 (1) 상업 : 개경에 시전, 국영 점포 (2) 수공업 1) 관청 수공업 : 민간 기술자나 일반 농민을 동원하여 생산을 보조 2) 소의 수공업 : 먹, 종이, 금, 은 등 공물 3) 농업기본이라서 조금 부진 Ⅱ. 전시과 제도, 토지 소유 1. 고려 토지 제도의 근간 : 전시과(전지·시지), 민전 2. 전시과 제도의 특징 (1) 원칙 1) 소유권 : 국유 원칙, 사유지도 인정 2) 수조권 .. 2009. 10. 15.
고려시대 백성들의 생활 모습 백성들의 생활 모습 Ⅰ. 농민의 공동 조직과 사회 시책 1. 향도 (1) 불교의 신앙 조직인 공동체 조직 (2) 매향 : 미륵을 만나 구원 받고자 하는 염원에서 향나무를 땅에 묻는 활동 (3) 향도 : 매향 활동 하는 무리 (4) 사천 매향비 : 내세의 행운과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세력 (5) 초기 : 불상·석탑의 제작도 (6) 후기 : 농민 조직으로 발달 (7) 후에 촌민이 한데 모여 음주·가무를 즐기고 상장을 서로 도왔다. 2. 농민 보호책과 권농 정책 (1) 보호책 1) 잡역 금지 2) 면재법 : 자연재해시 조세, 부역 감면 (성종) 3) 자모정식법 : 법으로 이자율을 정합 4) 겸병 금지 (2) 권병 정책 1) 적전의 경작 - 왕이 농사 모범 2) 개간의 장려 - 공사전조법 (광종) Ⅱ. 사회 제도.. 2009. 10. 15.
고려의 사회 [신분제도, 문벌귀족,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중세의 사회 Ⅰ. 고려의 신분제도 1. 고려 사회의 특징 (1) 문벌 귀족 사회 (음서, 공음전) (2) 개방적 사회 :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되어 전 시대보다 개방적 (3) 계층 간의 이동 가능 (4) 대가족 중심의 사회 : 귀족에서 양민까지 (X-천민) (5) 본관과 평민도 성을 사용 2. 사회 신분 (1) 분류 1) 양천제 - 법제적 - 양민 & 천민 2) 사회 관념상 - 귀족, 중류층, 양민, 천민 (2) 귀족 : 왕족(족내혼), 문무 고위 관료 5품 이상 ➝ 음서·공음전의 혜택 (3) 중류층 (중간 계층) → 고려에 처음 등장 (하급관리) 1) 통치 체제의 하부 구조 2) 세습적으로 직역, 토지도 받음 3) 호족 출신 향리 : 과거 응시 가능 (호장, 호부장) 4) 하층 향리 : 세습, 토.. 2009. 10. 15.
고려 후기의 상황 (원의 내정간섭, 홍건적의 침입, 공민왕)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Ⅰ. 원의 내정 간섭 1. 일본 원정 : 정동행성 (원정 준비기관) ➝ 태풍으로 실패 2. 영토의 상실 (1) 쌍성총관부 설치 (1258~1356) : 원 고종 말년 화주(양흥)에 설치 : 철북 이북의 땅을 직속령으로 편입 (2) 동녕부 설치 (1270~1290) : 자비령 이북의 땅 차지, 서경에 동녕부 설치 (3) 탐라총관부 설치 (1273~1301) : 목마장 경영 3. 영토의 수복 1) 충렬왕 : 동녕부, 탐라총관부 2) 공민왕 : 쌍성총관부 4. 관제의 개편 (1) 부마국 : 원의 공주와 결혼, 원 황제의 부마가 되었다. cf. 원의 공주가 데려온 시중 ‘겁령구’의 횡포가 심함 (2) 관제의 격하 1) 2성인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로 2) 6부를 4사로 통합 →.. 2009. 10.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