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582

고려의 대외관계 (몽골의 침입, 거란의 침입, 윤관, 강감찬(귀주대첩), 강조의 정변) 대외 관계의 변화 * 962 : 송과 통교 ➝ 993 : 강동6주(거란) ➝ 1019 : 귀주 대첩(강감찬, 거란) ➝ 1107 윤관 여진정벌 (별무반) ➝ 1125 : 이자겸, 금의 사대요구 수용 ➝ 1232 : 강화도 천도 ➝ 1251 : 팔만대장경 ➝1270 개경 환도 ➝ 1368 : 원의 멸망 (공민왕 개혁) ➝ 1389 : 박위 쓰시마 섬 정벌 ~ 홍건적(정세운, 안우, 이승경, 이방식 이성계), 왜구 (최무선, 이성계, 최영, 정지, 연호군) ➝ 1392 : 고려멸망 * 거란 916 → 고려 918 → 정안국 927 → 송 960 Ⅰ. 고려의 외교 정책 1. 북진 정책과 친송 정책 2. 정안국(927)의 등장 : 발해 부흥 운동 Ⅱ. 거란의 침입과 격퇴 * 태조 : 만부교사건 → 정종 : 광군.. 2009. 10. 14.
[고려] 무신 정권 시대 무신 정권 시대 Ⅰ. 무신정변(1170) 1. 무신정변의 배경 (1) 문벌 귀족 지배 체제의 모순 심화 (2) 숭문 천무 정책 1) 무신 차별 a. 과거제도에 무과가 없음, 강예재(무학재)의 폐지 b. 2품이상의 재상이 될 수 없었다. (∵ 정3품 상장군까지만 마련) 2) 의종의 실정 3) 무신의 경제권 침해 : 전시과 차별, 지휘권 독점, 의종의 향락생활, 군인전 폐지 ➝ 무신정변 2. 경과 - 정중부, 이의방 등 정변 ➝ 왕을 폐하 ➝ 명종을 세움 (1170, 경인난) 3. 무신 정권의 변천 (1) 제1기 1) 정중부 (1170 ~ 1179) : 중방 중심 2) 경대승 (1179 ~ 1183) : 정중부 제거 ➝ 도방 (신변경호) 설치 3) 이의민 (1183 ~ 1196) : 김보당의 난 때 의종을 .. 2009. 10. 13.
[고려] 문벌귀족사회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Ⅰ.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 1. 성립 : 성종 이후 2. 유형 : 신라 6두품 계열 Ⅱ.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 1. 정치 : 과거, 음서 2. 경제 : 공음전, 사전 혜택 3. 사회 : 왕실과 혼인, 점차 폐쇄적·보수적 4.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과 갈등 1) 비판 : 예종 때 한안인 2) 사건 :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Ⅲ. 이자겸의 난 (1126) - 1125 : 금의 사대요구 수락 ➝ 1126 : 이자겸의 난 ➝ 1135 :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 1170 ~ : 무신정변 1. 배경 (1) 문벌 귀족 사회의 모순 “ 이자겸도 예종과 인종의 외척 (2) 경원 이씨의 족벌 정치 : 외척이 되어 80여 년간 정권 (3) 이자겸 세력 : 금과 타협, 왕의 측근.. 2009. 10. 13.
[고려] 정치 구조의 정비 (태조, 혜종, 정종, 광종, 경종, 성종, 중앙, 지방, 군사조직) 중세의 정치적 변천 정치 구조의 정비 Ⅰ. 태조의 정책 1. 후삼국 통일 이후 과제 : 호족 세력 포섭, 지배층 편제, 수취 체제 개편 2. 민생 안정책 (1) 수취 체제 개편 : 취민유도 (세율 1/10으로 낮춤) * 취민유도 : 백성들에게 조세를 수취할 때에 일정한 법도가 있어야 한다. (2) 흑창 : 빈민 구제 위해 봄에 곡식 나눠 주고 추수 후에 갚게 했던 기구 cf) 춘대 추납 : 고구려 때 진대법 (3) 노비 해방 3. 민족 융합 정책 : 능력본위, 개방적 사회 4. 북진 정책 (1) 고구려 계승 의식 : 국호 고려 (연호 : 천수) (2) 서경 중시 (3) 거란에 대한 강경책 : 만부교 사건 (낙타 50필 죽게 함, 942) (4) 발해 유민 포섭 (5) 영토확장 : 청천강 ~ 영흥 5. 호.. 2009. 10. 12.
중세의 세계로의 전환 (후삼국시대, 고려의 성립) 중세 사회로의 전환 중세의 세계 Ⅰ. 동양의 중세 1. 5대 10국 시대 (907~960) 2. 송 (1) 중앙 집권적 문치주의, 국방력 약화와 북방 민족의 침입, 경제 발전 (2) 북송 멸망 (1127) : 여진족의 침입 (3) 남송 멸망 (1279) : 몽골 (원) 3. 몽골 Ⅱ. 서양의 중세 1. 서유럽 (1) 프랑크 왕국 (486~870) - 카룰루스 대제 전성기 ➝ 분열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2) 봉건제도 (3) 크리스트교 세계 형성 (4) 십자군 운동 이후 변화 : 봉건 제후 몰락 2. 비잔틴 (1) 그리스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의 전통이 강함 (2) 슬라브 족에게 그리스 정교 전파, 러시아가 비잔틴 문화 수용 3. 이슬람 한국의 중세사회 Ⅰ. 지방 세력의 대두 1. 신라 말기의 모순 .. 2009. 10. 12.
고려시대 연표 900 - 견훤, 후백제 건국 901 - 궁예, 후고구려 건국 918 - 왕건, 고려건국 926 - 발해 멸망 935 - 신라 멸망 936 - 고려, 후삼국 통일 956 - 노비안검법 958 - 과거 제도 976 - 전시과 983 - 전국에 12목 설치 992 - 국자감 996 - 철전 주조 (건원중보) 1009 - 강조의 정변 1019 - 귀주 대첩 1076 - 전시과 개정, 관제 개혁 1086 - 의천, 교정도감, 속장경 조판 1097 - 주전도감 1102 - 해동통보 1107 윤관, 여진 정벌 1126 이자겸의 난 1135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145 - 김부식, 삼국사기 1170 - 무신 정변 1179 - 경대승, 도방 정치 1196 - 최충헌 1198 - 민적의 봉기 1219 - 몽골과 .. 2009. 10. 11.
고대 문화의 일본 전파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Ⅰ. 삼국의 전파 1. 삼국 문화의 영향 2. 백제 문화의 일본 전파 (1) 아직기 : 한자 (근초고왕) → 오진 태자에게 한자를 가르침 (2) 왕인 : 천자문, 논어 (근구수왕) (3) 노리사치계 : 불경 (성왕) (4) 관륵 : 천문, 역법, 지리 (무왕) (5) 불상 : 고류사 미륵 반가 사유상, 호류사 백제관음상 (6) 공예, 가람 - 5경 박사 → 마정안, 문휴마나, 동성자언, 동성자막고, 유귀 (7) 단양이 : 5경박사 (무령왕) (8) 고안무 : 5경박사 (무령왕) (9) 혜총 - 계율종 (10) 개로왕 때 - 인사리아(화가), 정안나금(비단기술), (11) 아좌태자 → 쇼토쿠 태자상을 그림 3. 고구려 문화의 일본 전파 (1) 혜자 : 쇼토쿠 태자의 스승 (영양왕) (.. 2009. 10. 11.
삼국의 예술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의 예술) 예술의 발달 고분 양식 대표적 고분 벽 화 특 징 고구려 초기 돌무지 무덤 (석총) 장군총 X 후기 굴식 돌방무덤 )토총) 강서 대묘, 쌍영총 O 도교적, 서역 계통 백제 한성 돌무지무덤 석촌동 고분 X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 웅진 굴식 돌방무덤 송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큼, 고졸 벽돌무덤 무령왕릉 X 남조의 영향, 지석 출토, 오수전 송산리 6호분 O 사신도, 일월도 사비 굴식 돌방무덤 능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작음, 세련 신라 일반적 돌무지덧널무덤 천마총, 호우총 X 부장품 보존, 도굴 어려움 통일 직전 굴식 돌방무덤 어숙묘 O 고구려, 백제의 영향 통일 신라 굴식 돌방무덤 김유신묘, 괘릉 성덕 대왕릉 X 12지 신상, 둘레돌 화장법 문무왕릉 X 호국적 발 해 굴식 돌방무덤 정혜공.. 2009. 10. 11.
삼국의 학문과 기술의 발달 학문과 기술의 발달 Ⅰ. 한자의 보급과 교육 1. 한자의 전래 (1) 철기시대부터 (2) 유교, 불교, 도교 서적 cf) 구결, 토 - 중국식 한자를 읽을 때, 문법적 특징을 알려주는 글자 2. 삼국시대 (1) 한문의 토착화 1) 한자를 그대로 사용 ➝ 이두와 향찰 사용 cf. 이두 ☞ 고구려에서 처음 사용 ☞ 을 소리로 표기하여 이다. 뜻을 따으로 표기 2) 한문의 토착화, 한문학 보급 (2) 고구려의 학문 1) 교육 기관 a. 소수림왕 = 수도에 태학 (관학, 귀족, 한학, 문·무 유교, 무예) b. 장수왕 = 지방에 경당 (사학, 평민, 무술, 한학 - 평양 천도 후) 2) 한학 발달 : 광개토 대왕비, 중원고구려비, 모두루묘지, 동수묘지, 관구검기공비 (3) 백제의 학문 1) 요육기관 : 5경박사.. 2009. 10. 10.
외세의 경제침략, 국민 경제의 모색 (개항 경제) 외세의 경제 침략과 국민 경제의 모색 Ⅰ. 개항과 불평등 조약 1. 통상 교역 - 개항 (1876) : 강화도 조약 2. 불평등 무역 구조 (1) 무관세, 저관세, 치외법권, 외국화폐유통 허용 (2) 결과 - 피해, 황폐 Ⅱ. 외국 상인의 침투, 무역의 확대 1. 개항 초기 일본의 무역 형태 (1) 일본 상인 특징 - 몰락한 상인, 무사층 (2) 개항 초기 1) 거류지 무역 - 수호조규부록 (10리 제한) 2) 약탈적 무역 3) 중개무역 - 곡물 귀금속 * 면제품 [상하이, 홍콩, 영국 상인] → 일본 무역상인 → [서울 육의전], [개항장 객주 → 보부상, 소매상], [내지 객주 → 보부상] → 조선인 소비자 2. 임오군란(1882) 이후 청·일 상인의 치열한 경쟁 (1) 배경 1) 청의 확대 - 상민.. 2009. 10. 10.
고대문화의 성격 (삼국문화의 성격, 삼국의 사상, 삼국의 불교, 도교, 풍수지리설 -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통일신라) 고대 문화의 성격 Ⅰ. 삼국 문화의 성격 1. 성격 (1) 서민 문화 : 소박 (2) 귀족 문화 1) 남북조의 영향 : 세련 / 2) 불교의 영향 : 화려 2. 특징 (1) 고구려 : 패기, 정열, 개성 (2) 백제 : 우아, 세련 → 귀족 문화가 일찍부터 발달 (한계 - 지방 토착문화를 충분히 육성하지 못하였다.) (3) 신라 : 초기 소박 (토기, 토우) ⟷ 후기 조화미(금동미륵보살 반가상) 3. 의의 : 공통적인 성격 - 이두 사용, 미륵보살반가사유상 등 Ⅱ. 통일 신라 문화의 성격 1. 민족 문화의 토대 확립 2. 국제 문화 조류에 참여 3. 조형 미술의 발달(중대) - 교종 (하대에는 쇠퇴) 4. 불교·귀족 중심의 문화 5. 민간 문화의 수준 향상 6. 지방문화 발달 (∵ 선종, 5소경) Ⅲ. .. 2009. 10. 9.
삼국의 경제생활 (발해, 통일신라, 고구려, 백제, 신라의 경제 생활) 고대의 경제생활 Ⅰ. 삼국의 경제 정책 1. 농업 중심의 경제생활 - 왕토 사상 : 모든 국토는 왕토(토지국유제론) → 관료에게는 수조권만, 백성은 경작권만 cf) 백성 토지가 없는 것은 아님 : 자영토지(민전), (토지사유제론) (→ 전 시대에 존재) (1) 토지 소유 - 호민 계층의 대토지 소유 : 하호가 공급 * 하호 - 신분상 양인이나 호민에 예속된 존재 (2) 토지 종류 1) 녹읍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2) 식읍(식봉)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 고려 O → 조선 X 2. 정복 전쟁과 수탈 3. 지배 정책의 변화 4. 수취 제도 (1) 종류 1) 조세 - 재산의 정도 → 호 → 곡물, 포 2) 공부 - 지역 특산 3) 역 - 노동력, 징발 a. 신역 - 특정 인신을 정기적으로 역부과.. 2009. 10. 9.
삼국의 사회, 삼국의 생활 (고구려, 백제, 발해, 통일신라, 신라의 생활) 삼국 사회의 모습 Ⅰ. 고구려 1. 씩씩한 기풍 “절할 때도 한 쪽은 펴 일으키기 쉬운 자세를 취하였고, 걸음을 걸을 때도 뛰는 듯 행동을 빨리 하였다.” 2. 법률 : 엄격 → [절도 : 12배 속형] 화형, 사형, 연좌제 3. 사회 (1) 지배층 : 왕족인 고씨, 5부 출신의 귀족 ☞ 계루부(고), 절노부(연), 관노부(진), 순노부(사), 소노부(해) (2) 일반 백성 (3) 천민, 노비 : 피정복민, 몰락한 평민 (4) 혼인 풍습 : 지배층에서 형사취수제, 서옥제 (5) 진대법 Ⅱ. 백제 1. 특징 : 언어·풍속·의복이 고구려와 비슷, 말타기 활쏘기를 좋아함(상무적 기풍), 세련된 모습, 가부장적 사회 2. 법률 : 엄격 (절도 - 귀양과 2배 / 뇌물·횡령 = 3배, 금고) 3. 사회 : 지배층.. 2009. 10. 8.
삼국의 통치 체제, 군사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통치 조직의 정비 Ⅰ. 삼국의 통치 체제 1. 성격 (1) 초기 : 부족적 1) 지배 집단의 성장 : 고구려, 백제의 5부 / 신라의 6부가 중앙의 지배 집단 2) 왕권의 미약 (2) 후기 : 행정적 1) 관등제의 정비 2) 왕권의 강화 2. 귀족 합의 기구 (1) 기능 : 왕권 견제 (2)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신라의 화백회의 * 제가회의 “감옥이 없고 제가들이 논의하여 사형 ~ 처자는 몰수해 노비로 한다.” 3. 관직 체계의 운영 (1) 신분제에 의하여 제약 (2) 신라 : 골품 제도와 결합 4. 지방 통치 (1) 초기 : 성·촌 단위 개편 ➝ 한계 : 자치가 유지 (2) 후기 1) 부·방·주 단위로 개편 2) 말단 행정에는 촌주 (중앙에서 파견한 것 아님)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 2009. 10. 8.
발해 * 발해의 건국과 성격 1. 배경 (1) 고구려 유민의 당에 대한 저항 - 고선지, 이정기, 이사도 (2) 당의 민족 분열 정책 1) 소고구려국 건국 : 포로인 보장왕의 아들 고덕무을 요동 도독으로 임명 (친당적 국가) 2) 영향 : 오히려 동족 의식을 더욱 강화시키는 결론 (3) 거란 반란 - 이진충 → 조홰 살해 2. 건국 (1) 대조영 (고왕, 698 ~ 719) 1) 7세기 말, 돈화시 동모산 2) 국호 = 진(震) / 연호 = 천통 ➝ 국호 변경 = 발해 cf) 걸걸중상(대조영 아버지), 걸사비우 + 말갈인 3) 천문령 전투 - 거란 이해고를 물리치고 건국 4) 돌궐, 신라와 통교 5) 당과 통교 - 대문예(둘째 아들) 파견, 발해 군왕 홀한 주도독으로 임명 (2) 남북국 형태 (최초 인식 ➝ .. 2009.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