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13. 갑오개혁 (갑오경장, 교정청, 홍범14조, 김홍집 내각, 군국기무처, 과거 폐지, 은본위, 금납제, 탁지아문, 과부 개가 허용,)
교정청 혁폐조건 1. 이포 (吏逋)가 많은 자는 일절 너그러이 용서하지 말고 일률로 시행할 것2. 공사채를 물론하고 족장을 절대 금할 것3. 각읍 이속 (吏屬)은 신중하게 뽑아 안에 올리고, 이를 임명하는데 만일 뇌물을 내어 법을 위반하는 자는 공금 횡령으로 다스릴 것4. 원결 외 가배, 호포 외 가렴은 아울러 임금한다. 만일 드러나면 곧 바로 다스릴 것5. 민고는 혁파할 것1차 개혁1) 정부황실 분리 2) 개국연호 3) 8아문 4) 경무청 5) 과거폐지1) 재정일원 - 탁지아문 2) 은 본위제 3) 도량형 통일 4) 조세 금납제1) 연좌제 폐지 2) 노비폐지 3) 재가 허용 4) 조혼금지2차 개혁1) 내각제 2) 23부, 7부1) 재판소 2) 사법, 행정 분리1) 한성사범학교 2) 외국어 학교 관제 공..
2014. 7. 19.
[개화기] 12. 동학, 개화, 위정척사, 갑신정변, 갑오개혁 비교
다음과 관련된 것은? 1) 청과의 의례적 사대관계 폐지, 문벌폐지, 지조법 개혁, 혜상공국 혁파? ☞ 갑신정변2) ‘건양’연호사용, 단발령, 태양력, 종두법 ☞ 을미개혁3) 탐관오리 엄징, 노비문서 소각, 과부의 재가 허용, 토지의 평균분작? ☞ 동학동학개화위정척사 잔반, 농민진보양반, 중인보수 유생반외세적외세 의존반외세적지주제 부정지주제 긍정반봉건적봉건적주기론주기론, 사회 진화론주리론, 화이론최시형, 전봉준김홍집, 김윤식, 김옥균박영효, 홍영식이항로, 기정진최익현, 이만손청일전쟁, 갑오개혁개화정책, 갑신정변,애국계몽운동항일 의병운동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개화기,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
2014. 7. 18.
[개화기] 11. 동학 농민 운동 (교조 신원 운동, 삼례 집회, 보은 집회, 서울 복합상소, 고부 민란, 전봉준, 폐정 개혁안 12조, 시모노세키조약, 황토현 전투, 황룡촌 전투, 사발통문, 1차봉기, 남접,)
* 사발통문1) 군기고와 화약고 점령2) 고부성을 점령하고 조병갑을 죽일 것3) 전주 감령을 함락하고 서울로 나아갈 것 4) 탐관오리 엄하게 징벌할 것 시모노세키조약 [下關條約(하관조약) (1895.4. 17) ① 청국은 조선국이 완전한 자주독립국임을 인정한다.② 청국은 랴오둥반도[遼東半島]와 타이완[臺灣] 및 펑후섬[澎湖島] 등을 일본에 할양한다.③ 청국은일본에 배상금 2억 냥을 지불한다.④ 청국의 사스[沙市] •충칭[重慶] •쑤저우[蘇州] •항저우[杭州]의 개항과 일본 선박의 양쯔강[揚子江] 및 그 부속 하천의 자유통항 용인, 그리고 일본인의 거주 •영업 •무역의 자유를 승인할 것* 폐정 개혁안 12조(1) 서정 합의 - 왕조자체를 타파하려 하진 않았다.(2) 봉건타파(지배층) - 탐관오리, 유림•양..
2014. 7. 17.
[개화기] 8. 개화당 (온건개화파, 급진개화파)
개화당의 개혁운동Ⅰ. 개화당1. 형성(1) 정치 - 박규수, 유홍기 →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2) 온건 개화파1) 양무운동 [洋務運動] 에 영향 받음 (중세처용)2)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3) 동도 서기론 - 윤선학, 곽기락 “바꾸려는 것은 기이지 도가 아닙니다.”4) 청, 사대당, 수구당5) 민씨에 참여6) 기술만 수용“외국의 ‘교’는 즉 ‘사’로 멀리 ‘기’는 ‘이’로 이용후생의 바탕”“저들의 종교는 사악, 음탕한 소리, 여자 멀리 ~ 기술은 이롭다” – 김윤식(3) 급진 개화파1)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에 영향 받음 (문명개화론)2) 김옥균, 박영호, 홍영식, 서광범, 서재필3) 개화당, 독립당4) 갑신정변5) 사상, 제도까지 수용cf) 홍영식 – 보빙사, 우정총관, 병조참판“우리는 돈 없이..
2014. 7. 14.
[개화기] 6. 위정척사 운동 (이만손, 홍재학, 송병선, 홍재학 상소문)
Ⅱ. 위정척사 운동 [衛正斥邪]1. 취지, 내용(1) 전통적 유고질서와 의식을 존중하여 옛날 성현의 정치를 본받기를 주장(2) 내수외양 주장 (3) 인륜기준 (4) 경제에도 관심(5) 조선, 중국이 理, 왜와 양은 氣 - 서양만이 아닌 일본도 배척2. 이항로, 기정진 → 유인석, 최익현= 보수적 유생층, 성리학의 주리론에 기초, 반외세 자주운동, 봉건질서 유지, 기득권3. 전개 과정(1) 1기 = 1860년 1) 병인양요 → 통상반대운동2) 척화 주전론(斥和主戰論, 이항로, 기정진)“사학의 무리를 잡아 베고, 바다 건너 온 적을 정벌 ~~”(2) 2기 = 1870년대1)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2) 개항반대운동 - 왜양일체론 (倭洋一體論, 최익현 : 5불가론, 유인석)(3) 3기 = 1880년대 - 개..
2014. 7. 13.
[개화기] 4. 각국과의 수교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조독, 조영, 조러, 조불 수호통상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 )
Ⅱ. 각국과의 조약 체결1. 미국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 1882 )(1) 황쑨센 ‘조선책략’ [朝鮮策略]1) 지식인 - 미국과 관계를 원함 (단, 위정척사운동을 강화시키기도 함)2) 1880년 2차 수신사 파견 때 들어옴(2) 청 알선 (러시아, 일본 견제) - 조선 ‘신헌’ + 미국 ‘슈펠트’(3) 과정1) 체결과정에서 속방조회 문제대두2) 제물포에서 조인(4) 내용1) 거중 조정 [mediation, 居中調整] - 서로 도와주기2) 불평등 - 치외법권, 최초 최혜국 대우“제4조 조선 백성이 미합중국 국민에게 범행을 하면 조선 당국이 조선 법률에 따라 처벌한다. 미합중국 국민이 조선인민을 때리거나 재산을 훼손하면 미합중국 영사나 그 권한을가진 관리만이 미합중국 법률에 따라 체포하고 처벌한다.”“..
2014. 7. 11.
[개화기] 3. 개항, 강화도 조약 (통상개화론, 운요호사건, 조일 통상 장정, 조일 수호 조규 부록, 최초 근대조약,)
개항과 개화 운동강화도 조약초기 개화 시책임오군란갑신정변거문도 점령 사건18761881188218841885수신사 파견수호 조규 부록조일 통상 장정조사 사찰단, 영선사, 별기군제물포 조약상민 수륙 무역 장정한성조약톈진 조약조러 통상 조약러시아 견제 구실(중립화론 대두- 부들러, 유길준)동학 농민 운동갑오개혁삼국간섭을미사변을미개혁18941894189518951895반봉건, 반외세청일전쟁친러 연립 내각친일 내각태양력, 단발령을미의병아관파천독립협회대한 제국을사조약국권피탈18961896~1899189719051910열강의 이권 침탈친러 내각자주, 자유, 자강이권 수호 운동광무개혁황제권 강화외교권 박탈통감정치경찰권 박탈총독 정치Ⅰ. 강화도조약과 개항 (조일수호조규, 병자수호조약)1. 개항(강화도조약)의 배경 (1..
2014. 7. 10.
[개화기] 2. 흥선대원군 (이하응, 원납전, 당백전, 병인양요, 신미양요, 오페르트 도굴, 척화비, 서원정리,)
Ⅱ. 흥선 대원군 (興宣大院君) (이하응 1863~1873)1. 대내 정책(1) 왕권강화1) 세도정치 타파 “대원군이 집권한 후 어느 공회 석상에서 음성을 높여 여러 대신에게 말하기를 “나는 천리를 끌어다 지척을 삼겠으며 태산을 깎아 내려 평지를 만들고 또한 남대문을 3층으로 높이려 하는데 여러 공들은 어떠하시오?”라고 하였다.”「매천야록」 - 노론을 억압하고 남인을 천거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것. (능력에 따른 인재 등용)2) 비변사 약화 - 의정부, 삼군부 강화3) 법전 - 대전회통(가장 완성된 법전), 육전조례4) 경복궁 중건a. 원납전 [願納錢] (징수), 당백전 [當百錢] (공사비) [흥선대원군]→ 물가 폭등 (X- 폭락) → 원납전과 당백전이 화폐제를 개혁한 것은 아니다.b. 묘지림 벌목, 부..
2014. 7. 9.
[조선] 39. 조선 후기 공예, 음악, 무용, 문화 특징 (청화백자, 고비, 구절판, 해주 소반, 사방탁자, 궤, 죽문각병, 송죽문호송치병, 매죽문호, 철사진사국화문병)
1. 조선 후기에는 도시 상인층의 지원에 의해 산대놀이가 민중 오락으로 정착하였고,우리의 고유한 자연을 그린 진경산수화가 유행하였으며,중인층의 문예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시사가 조직되었고, 설화문학이 유행하여 ‘필원잡기’와 ‘용재총화’가 편찬되었다?(X) ☞ 마지막 문장은 15세기 고려말2. 추월색과 금수회의록은 순한글의 언문일치 문장으로 쓰여 졌다? (O)3. 다음 시기는?(1) 선비들의 정신세계를 사군자료 표현? ☞ 조선 중기(2) 당악과 향악을 속악으로 발전“? ☞ 조선 중기(3) 전통 한의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동의보감 편찬? ☞ 조선 후기4. 시대 순으로 배열하기1) 무위사 극락전 → 옥산 서원 → 금산사 미륵전 → 논산 쌍계사2) 금오신화 → 홍길동전 → 구운몽 → 허생전3) 강희안 → 이상좌 ..
2014. 7. 7.
[조선] 38. 조선 후기 건축 (무위사 극락전, 봉정사 대웅전,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 응진전)
고려 후기 -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 ~~~ 응진전조선 전기 - 무위사 극락전, 봉정사 대웅전, Ⅴ. 건축의 변화1. 배경2. 사원 건축(1) 17세기 건축1) 대표 -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5층 목탑)2) 특징 - 규모가 큰 다층 건물, 내부가 하나, 불교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양반 지주층의 경제적 성장 반영(2) 18세기 건축1) 대표 -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안성 석남사2)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소이 한국사, soy블로그, 임엉봉미, 교육, 사회, 역사, 조선,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기타 - 불국사 대웅전, 평..
2014.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