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사470

[삼국, 남북국] 20. 삼국의 도교, 풍수지리설 (백제 금동 대향로, 백제 산수무늬벽돌, 현무도) * 도교의 발달 1. 성격 (1) 재래의 민간 신앙과 산천 숭배, 하늘 숭배 (민족의식 고양에 기여), 신선술 바탕 + 도가의 음양 오행 이론, 노장사상, 수련 도교적 성격이 강함 (2) 불로장생, 현세 이익의 추구 목적 2. 고구려 (1) 주몽의 조천 (2) 오두미교 수용 (7c초) - 남조로부터 들어옴 (3) 사신도 : 강서 대묘 (현무도 : 사신도의 하나로 북쪽 방위) (4) 연개소문의 장려 1) 명산대천에 도교식 제천을 행 - 애국심 진작 2) 불교 억압 a. 보덕은 백제로가 열반종 개창(불로장생에 반발) b. 도현은 일본 대안사의 주지가 되 반 고구려의 일본세기 저술 (5) 을지문덕의 오언시(여수장우문중시 - ‘지족’이란 표현) : 도덕경 반영 “신묘한 계책은 천문을 꿰뚫고, 기묘한 계책은 ~”.. 2012. 5. 1.
[삼국, 남북국] 19. 삼국의 불교 (발해의 불교, 선종, 원효, 의상, 원측, 혜초, 혜자, 계율종, 열반종, 9산, 진표, 김교각, 이차돈 순교비) 사상의 발달 Ⅰ. 원시 종교 1. 삼국의 민간 신앙 : 천신, 일월신, 산신, 해신, 샤머니즘, 점술 2. 삼국 지배층의 시조 신앙 : 시조신 (1) 고구려 : 고등신(주몽), 부여신(주몽의 어머니) (2) 백제 : 동명신, 온조신, 구이신(고이왕) (3) 신라 : 박혁거세신, 나을 신궁 건립 (김씨 시조 모심 - 지증왕 때부터 제사) Ⅱ. 삼국의 불교 1. 전래 시기 : 4세기 2. 수용 배경 (1) 초부족적인 사상 통일 (2) 지배 질서 강화 : 왕즉불사상, 윤회설 3. 전래 과정 (1) 고구려 : 소수림왕 (372) : 전진의 순도 (아불란사, 성문사) (2) 백제 : 침류왕 (384) : 동진의 마라난타 (3) 신라 : 전래 눌지왕(457), 고구려 묵호자 (귀족세력의 공인 반대) ➝ 공인 법흥왕.. 2012. 4. 30.
[삼국, 남북국] 18. 삼국`남북국시대 문화의 성격 (고대 문화의 성격) 고대 문화의 성격 Ⅰ. 삼국 문화의 성격 1. 성격 (1) 서민 문화 : 소박 (2) 귀족 문화 1) 남북조의 영향 : 세련 2) 불교의 영향 : 화려 2. 특징 (1) 고구려 : 패기, 정열, 개성 (2) 백제 : 우아, 세련 → 귀족 문화가 일찍부터 발달 (한계 - 지방 토착문화를 충분히 육성하지 못하였다.) (3) 신라 : 초기 소박 (토기, 토우) ⟷ 후기 조화미(금동미륵보살 반가상) 3. 의의 : 공통적인 성격 - 이두 사용, 미륵보살반가사유상 등 Ⅱ. 통일 신라 문화의 성격 1. 민족 문화의 토대 확립 2. 국제 문화 조류에 참여 3. 조형 미술의 발달 (중대) - 교종 (하대에는 쇠퇴 - 선종) 4. 불교·귀족 중심의 문화 5. 민간 문화의 수준 향상 6. 지방문화 발달 (∵ 선종, 5소경).. 2012. 4. 30.
[삼국] 17. 삼국의 경제, 삼국의 수취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경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수취제도, 삼국의 농업, 수공업, 상업, 경무법, 두락제, 결부법) Ⅰ. 삼국의 경제 정책 1. 농업 중심의 경제생활 - 왕토 사상 : 모든 국토는 왕토(토지국유제론) → 관료에게는 수조권만, 백성은 경작권만 cf) 백성 토지가 없는 것은 아님 : 자영토지(민전), (토지사유제론) (→ 전 시대에 존재) (1) 토지 소유 - 호민 계층의 대토지 소유 : 하호가 공급 * 하호 - 신분상 양인이나 호민에 예속된 존재 (2) 토지 종류 1) 녹읍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2) 식읍(식봉) - 수조권 + 노동력 징발권 → 고려 O → 조선 X 2. 정복 전쟁과 수탈 3. 지배 정책의 변화 4. 수취 제도 (1) 종류 1) 조세 - 재산의 정도 → 호 → 곡물, 포 2) 공부 - 지역 특산 3) 역 - 노동력, 징발 a. 신역 - 특정 인신을 정기적으로 역부과 b. 요역 - .. 2012. 4. 30.
[삼국] 15. 삼국시대 신분제도 (하호) 신분제 사회의 성립 Ⅰ. 삼국 시대 이전의 신분제도 1. 신분제도의 성립 (1) 청동기와 함께 (2) 우계 서열 마련 : 여러 부족 통합 2. 부여·초기 고구려·삼한의 읍락사회 (1) 가·대가 : 권력자 (추장) (2) 호민 : 부유, 평민 (3) 하호 1) 평민, 농업 2) 읍락의 호미에게 예속되어 노복과 같은 지배를 받았다. 3) 전쟁이 일어나면 제가에 의해 징발되어 출전, 귀족에게 식량을 공급 4) 농업에 종사하면서 국가에 조세와 부역을 담당 5) 좌식하는 계층을 위해 식량과 어염을 공급하는 일 6) 부호 밑에 있는 생산 계층 7) 중국에서 우리나라 피지배 계층을 부른 명칭 8) 노비와 구별 (X- 노비계층을 말한다.) (X - 일반 농민과 구별되는 특수한 일에 종사하는 하층민이었다.) (4) 노비.. 2012. 4. 29.
[삼국] 14. 삼국의 군사제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군사제도, 5부 5방) 삼국의 군사 제도 (1) 특징 : 일원적 조직, 주민통치 (2) 고구려 1) 중앙 : 대모달(= 막하라수지, 대당주), 말객 (= 말약, 군두 - 1천 지휘) 등 군관이 지휘 2) 지방 : 욕살, 처려근지, 말객 (3) 백제 1) 중앙 - 5부(각 500) - 달솔이 지휘 2) 지방 - 방 = 방령이 지휘 / 군 = 군장 (ex. 풍달군장, 흑지상지) / 군병은 일반민으로 충원 (4) 신라 1) 왕도군사조직 - 군주가 주 단위로 정을 거느림, 서당이란 군대도 있다. a. 법흥왕 → 경여갑 → 사설당 - 노당(쇠뇌), 운제당(성 공격), 충당(성 공격), 석투당(투석) b. 진흥왕 - 6귀정 (대당, 귀당, 남당, 삼천당 등) c. 진평왕 - 서당, 보기당, 사천당, 급당 2) 지방 a. 법흥왕 - 소경여.. 2012. 4. 29.
[삼국] 13. 신라의 통치체제 (신라 중앙 관제, 신라 지방 조직) 신라 1. 중앙 관제 (1) 6부 - 사량부, 본피부, 한기부, 습비부, 정량부 1) 내물 이후 2) 양부 - 국왕배출 (2) 법흥왕 : 17관등제, 병부 (3) 진흥왕 - 사정부(관리규찰), 품주 (국가재정) (4) 진평왕 : 위화부·조부·예부 (5) 진덕 여왕 : 집사부, 창부(재정) (6) 관청 1) 4단계 체계 - 장관 (令) / 차관 (卿) / 실무 (대사) / 잡무 (史) 2) 1관직 복수관등군 3) 국왕 근시기구 - 사인 (법흥왕) / 이내객 (진흥왕) 4) 왕실 업무 a. 초기 - 대궁, 양궁, 사량궁 별로 운영 b. 진평왕 - ‘내성’설치 (장관 : 사신) cf) 신라의 관등 명칭에는 간, 마루 등 족장적 의미를 지닌 것이 많았다. 2. 지방 조직 (1) 수도 : 6부 / 지방 : 5주 .. 2012. 4. 29.
[삼국] 12. 백제의 통치체제 (백제 중앙관제, 백제 지방조직, 6좌평, 22담로) 백제 1. 중앙 관제 (1) 초기 - 한성시대 1) 5부 (고이왕) - 동·서·남·북·중부 2) 좌장 설치 - 군사 일원화 3) 좌평, 귀족제 (정사암회의) a. 좌보, 우보, 좌평 설치 b. 5좌평 체계 - 사비천도 전까지 4) 솔계, 덕계 관등 - 신지·읍차에게 (2) 관등제 정비 : 수상[상좌평], 6좌평 이하 16관등 1) 6좌평 : 천관, 지관, 춘관, 하관, 추관, 동관에서 비롯 ➝ 「주례」의 6관 ☞ 내신(왕명출납), 내법(의례), 조정(형벌), 내두(재정), 병관(국방), 위사(숙위, 경비) 2) 특징 : 고구려, 신라 보다 정비됨 *16관등 (삼국사기, 주서) (cf. 솔덕 - 중국식) 관등 관복 허리띠 장식 1 좌평 자주색 은화관식 (모자장식) 2 달솔 3 은솔 4 덕솔 5 한솔 6 나.. 2012. 4. 29.
[삼국] 10. 삼국의 통치 체제 (고구려, 백제, 신라의 통치체제, 삼국의 통치체제 비교 표) 삼국의 통치 체제 1. 성격 (1) 초기 : 부족적 1) 지배 집단의 성장 : 고구려, 백제의 5부 / 신라의 6부가 중앙의 지배 집단 2) 왕권의 미약 (2) 후기 : 행정적 1) 관등제의 정비 2) 왕권의 강화 2. 귀족 합의 기구 (1) 기능 : 왕권 견제 (2)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신라의 화백회의 * 제가회의 “감옥이 없고 제가들이 논의하여 사형 ~ 처자는 몰수해 노비로 한다.” 3. 관직 체계의 운영 (1) 신분제에 의하여 제약 (2) 신라 : 골품 제도와 결합 4. 지방 통치 (1) 초기 : 성·촌 단위 개편 ➝ 한계 : 자치가 유지 (2) 후기 1) 부·방·주 단위로 개편 - 광역 행정구역 2) 말단 행정에는 촌주 (중앙에서 파견한 것 아님) (3) 군사적 성격 - 행정과.. 2012. 4. 28.
[삼국] 7. 삼국 비교 표 (고구려, 백제, 신라 비교 표) 삼국 비교 표 (고구려, 백제, 신라 비교 표) 성립기 완성기 율령 반포 한강 유역 불교 수용 부자세습 최대 영토 역사 편찬 고구려 태조왕(2세기) 소수림왕(4세기) 장수왕(5세기) 소수림왕 고국천왕(2세기) 문자왕(5세기) 영양왕(7세기) 백 제 고이왕(3세기) 근초고왕(4세기) 고이왕 침류왕(4세기) 근초고왕 신 라 내물왕(4세기) 법흥왕(6세기) 진흥왕(6세기) 눌지왕(5세기) 진흥왕 시기, 중국 고구려 백 제 신 라 1~2세기 (후한) 1) 태조왕 : 옥저 정복, 계루부 세습 요동진출 2) 고국천왕 : 부자상습, 진대법 5부 행정 구역 3세기 (3국) * 동천왕 : 서안평 공격, 오와 통교 관구검의 침입 * 고이왕 : 한강, 6좌평, 16관등제, 율령반포, 서진과 통교 4세기 (5호16국) 1) .. 2012. 4. 27.
[삼국] 5. 백제 (초고왕, 고이왕, 근초고왕, 침류왕, 비유왕, 개로왕, 문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의자왕, 칠지도) 백제의 발전 1. 초기의 백제 (1) 백제의 건국 : 마한 지역 위례성(기원전 18년) “위례와 미주홀(인천)에 가서 살게 되었다.” - 삼국사기 (2) 부여, 고구려계 이주민 1) 백제 왕적의 성이 부여씨 2) 비류와 온조가 주몽의 아들 - 고씨 3) 초기 백제 무덤은 고구려식 (3) 초고왕 - 하남 위례성 이동 (4) 고이왕 (3세기 중반) 1) 국가 체제 정비 - 중앙집권국가 토대 a. 6좌평, 16관등제(자·비·청색), 관복 정비 b. 율령반포(가장 먼저) c. 남당(정사를 보는 관청), 좌당(군사일원화) d. 5부체계 (간접통치) e. 왕위세습 (형제세습) 2) 한강 유역 장악 3) 목지국 정벌 2. 백제의 성쇠 (1) 비류왕 (2) 근초고왕 (4세기 후반) 1) 영토확장 : 전라도 장악 (마한.. 2012. 4. 27.
[삼국] 4. 고구려 (태조왕, 유리왕, 신대왕, 고국천왕, 미천왕, 동천왕,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 대왕, 장수왕, 안원왕, 양원왕, 보장왕, 중원고구려비, 광개토대왕릉비) 고구려의 발전 1. 초기의 고구려 (1) 건국 초기의 성격 : 유이민, 토착민 결합 (2) 고구려 건국 : 졸본성 ➝ 후 국내성 (3) 태조왕 (1세기 후반 ~ 2세기 초) 1) 국가 체제 정비 : 왕위가 연노부(소노부)에서 계루부로 옮겨지며 확립 ➝ 중앙 집권 국가 기틀 2) 옥저 복속, 낭랑 공, 요동진출 3) 책구루 설치 - 중국 군현과의 교섭권을 중앙에 귀속 4) 왕위세습 5) 5부체제로 발전 (4) 유리왕 - 국내성 천도 2. 체제의 정비 - 2세기 3. 고구려의 발전 (1) 신대왕 (165 ~ 179) - 국상제도 처음 설치 (2) 고국천왕 (2세기 후반) 1) 5부의 성격 변화 ➝ 5부제로 개편 2) 왕위 계승 : 형제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3) 왕권 강화 4) 춘대 추납 제도 실시 : 진대.. 2012. 4. 27.
[고대] 3. 가야 연맹 (금관가야, 대가야, 수레토기, 기마토기, 가야 금관, 임나본부설) 가야 연맹 1. 성립 : 변한 * 기록 : 「가락국기」: 김유신 일족, 「삼국유사」 * “금빛상자, ~~6알~~” 2. 건국 초기의 성격 : 토착세력이 강함 T) 가야의 주요 세력들은 주로 낙동강 서안에 분포하였다. 3. 금관가야 (본가야, 전기 가야 연맹) (1) 건국 : 김수로(42) (2) 발전 : 3세기경 - 김해 (해안지대) (3) 대성동 고분군 (4) 쇠퇴 : 4세기 초 (5) 해체 : 4세기 말 ~ 5세기 초 (고구려 군의 공격 - 낙동강유역 진출) cf) 광개토대왕비 : 기해년 백제가 왜와 손을 잡았다. 신라 사신이 왜가 몰려왔다고 도움 청함. (영락 9년) ∵ 신라를 도와주게 하였다. ➝ 백제도 공격, 금관가야까지 공격(전기 가야 연맹이 해체) 4. 대가야 (후기 가야 연맹) (1) 대가.. 2012. 4. 26.
[고대] 2. 고대 국가의 성립 (고구려, 백제, 신라, 태조왕, 고이왕, 내물왕, 삼국의 성립) 고대 사회 194 : 고구려 - 진대법 260 : 백제 - 16관등과 공복 제정 313 : 고구려 - 낙랑군 멸망시킴 (미천왕) 372 : 고구려 - 불교전래, 태학설치 백제 - 동진에 사절 384 : 백제 - 불교전래 405 : 백제 - 일본에 한학 전함 427 : 고구려 - 평양천도 433 : 나제동맹 502 : 신라 - 우경 설치 503 : 신라 - 국호, 왕호 정함 509 : 신라 - 동시전 설치 520 : 신라 - 율령반포, 백관의 공복 제정 527 : 신라 - 불교 공인 536 : 신라 - 연호사용 538 : 백제 - 사비성 천도 545 : 신라 - 국사 편찬 552 : 백제 - 일본에 불교 전함 612 : 고구려 - 살수대첩 624 : 고구려 - 당에서 도교 전래 645 : 고구려 - 안시성.. 2012. 4. 26.
[초기국가] 7. 삼한 (수릿날, 소도, 읍차) 삼한 1. 성립 : 진(辰)의 성장 ➝ 연맹체 등장 2. 마한 (1) 무덤 : 전남 나주 용호리 (2) 토실 : 충남 공주 장선리 (3) 대전, 익산(경기, 충청, 전라) 54개국 (목지국) ➝ 백제 * 목지국 - 진왕으로 추대 3.진한 : 대구, 경주, 12개국 (사로국) ➝ 신라 4. 변한 : 김해, 마산, 12개국 (구야국) ➝ 가야 4. 정치 (1) 영도세력 : 마한이 가장 큼, 목지국, 마한왕, 진왕 (2) 지배 세력 : 신지·견지(저수지관리권), 읍차·부례 (3) 소도와 제정의 분리 1) 배경 : 농경 발달 2) 천군의 역할 : 종교, 농경, 의례 주관 3) 소도의 특징 : 별읍, 신성 지역(군장의 세력이 미치지 않는다. - 죄인 도망) 4) 소도의 역할 : 제정 분리, 신·구 문화의 완충지 .. 2012. 4.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