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사470

[고려] 2. 후삼국, 한국의 중세 (후고구려, 후백제, 고려 건국, 궁예, 견훤, 광평성, ) 한국의 중세사회 Ⅰ. 지방 세력의 대두 1. 신라 말기의 모순 1) 골품제의 보수성 2) 왕위 쟁탈전 3) 수취체제의 모순 2. 호족 세력의 대두 1) 호족 : 토착적, 중앙 귀족과 6두품들이 호족화 2) 반독립적 세력 형성 3) 중앙 정부에 반발 : 스스로를 성주, 장군이라 칭, 군사 행정 경제 장악 4) 양길(원주), 기훤(죽산), (전주) 견훤 3. 말기 6두품 - 최치원, 최승우 (견훤), 최언위 (왕건), 최은암, 최승로 Ⅱ. 후삼국의 성립 1. 후삼국 시대의 전개 : 견훤, 궁예 성장, 신라 축소 [고려성립] * 후백제 : 견훤(완산주, 900) ➝ 후고구려 : 궁예(송악, 901) ➝ 고려 : 왕건(송악(918) ➝ 발해 멸망 : 거란(926) ➝ 경애왕 살해 (927) ➝ 고창전투 (930.. 2012. 5. 5.
[고려] 1. 고려시대 연표 (중세시대 연표) 900 - 견훤, 후백제 건국 901 - 궁예, 후고구려 건국 918 - 왕건, 고려건국 926 - 발해 멸망 935 - 신라 멸망 936 - 고려, 후삼국 통일 956 - 노비안검법 958 - 과거 제도 976 - 전시과 983 - 전국에 12목 설치 992 - 국자감 996 - 철전 주조 (건원중보) 1009 - 강조의 정변 1019 - 귀주 대첩 1076 - 전시과 개정, 관제 개혁 1086 - 의천, 교정도감, 속장경 조판 1097 - 주전도감 1102 - 해동통보 1107 - 윤관, 여진 정벌 1126 - 이자겸의 난 1135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145 - 김부식, 삼국사기 1170 - 무신 정변 1179 - 경대승, 도방 정치 1196 - 최충헌 1198 - 민적의 봉기 1219 - .. 2012. 5. 5.
[남북국] 10. 남북국의 예술 (통일신라의 예술, 발해의 예술 - 불국사, 석굴암, 다보탑, 석가탑, 안압지, 14면체 주사위, 오대산 상원사종, 에밀레종, 김생, 보상화무늬 벽돌, 이불병좌상, 발해석.. * 통일 신라 1. 특징 :조화미, 정제미 2. 건축 1) 불국사 : 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다보탑(세련된 균형미) 2) 석굴암 : 인공 석굴 (전실 - 땅을 상징, 후실 - 하늘을 상징) 3) 안압지 : 조경설 cf) 14면체 주사위 : 삼잔일거, 음진대소, 금성작무, 곡비즉진, 중인타비 등 글귀, 정사각 6개 육각 6개 3. 범종 (1) 오대산 상원사 종 : 가장 오래된 범종 (725) (2) 성덕 대왕 신종 (복덕사종, 에밀레종) : 청동, 비천상 4. 조각 (1) 무열왕릉비 받침돌 (2) 성덕 대왕릉 둘레돌의 조각 : 사실적인 미 (3) 불국사의 석등·법주사의 쌍사자 석등 : 균형 5. 석탑 (1) 신라 중대 1) 감은사지 3층 석탑 : 장중 2) 석가탑 (불국사 3층 석탑) : 가장 오래된 .. 2012. 5. 5.
[남북국] 9. 남북국 시대의 경제 (통일신라의 경제, 발해의 경제, 민정문서, 연수유답, 장보고, 신라장적) 남북국 시대의 경제 변화 1. 통일 신라의 경제 정책 (1) 경제 정책 변화시킴 (2) 수취 체제 변화 1) 조세 : 1/10 2) 공물 : 촌단위, 9등급호 3) 역 : 16~60세 남자, 3년 의무복무, 동원하지 않으면 매년 일정기간 노역 징발 (3) 농민의 생활 : 10호 가량 자연 촌락인 촌에 편입 (4) 민정문서 (촌락문서, 신라장적) 1) 발견 : 일본 나라현 동대사(도다이사) 정창원 (1933) cf) 정창원(쇼소인) 창고의 화엄경에서 발견, 화엄경질을 배접하는 종이로 쓰여 졌다. 2) 작성시기 : 경덕왕 (755) 무렵 3) 문서 작성 : 촌주가 매년 조사3년 마다 작성 (X-매년) / 농민에게 조세, 요역 등을 부과하기 위한 자료 4) 조사 지역 : 서원경(청주) 중심 4개 자연 촌락 (.. 2012. 5. 4.
[남북국] 8. 남북국 시대의 사회, 생활 (통일신라의 사회`생활, 발해의 사회) 남북국 시대의 사회 Ⅰ. 통일 신라 사회 1. 단일한 사회와 문화 : 유사한 풍습과 언어 2. 민족 통합 노력 : 관직지급, 9서당 편성 3. 신라 중대 사회의 변화 (1) 왕권의 전제화 : 사회 안정, 국왕 강화, 귀족 일부 숙청(김흠돌의 난), 상대등 약화, 시중 강화 (2) 진골 귀족 : 장관직 독점, 중대사 결정 (3) 6두품 출신 : 국왕 보좌 , 신분적 한계(지방 장관 불가, 중앙 우두머리 불가) (4) ‘향, 부곡’의 성립 1) 피정복민, 반역죄 집단 거주지 또는 현으로 편입되기에 규모가 작은 지역 2) 신분적 양민, 역은 천한 신량역천 계층 Ⅱ. 통일 신라 생활 1. 도시의 발달 (1) 금성(경주) : 중심지, 호화생활 (2) 5소경 : 지방 문화의 중심 2. 귀족의 생활 (1) 호화생활,.. 2012. 5. 4.
[남북국] 7. 남북국의 군사조직 (통일 신라의 군사 조직, 발해의 군사조직, 9서당 10정, 10위) 1. 통일 신라의 군사 조직 (1) 중앙군 : 9서당 - 민족융합 * 9서당 1) 고구려 : 황금서당 2) 백제 : 백금서당, 청금서당 3) 신라 : 녹·자·비금서당 4) 보덕 (고구려유민) : 적금, 벽금, 흑금서당 5) 말갈 : 흑금 (2) 지방군 : 10정 = 9주에 1정, 북쪽 한주에 2정 (3) 총치 체제 정비의 한계 : 지방 진골이 독점 (4) 5주서 1) 청주, 완산주, 한산주, 우수주, 하서주 2) 각 주에 각 2개씩 ‘만보당’ 배치 (5) 특수부대 - 여갑당, 법당, 사설당 2. 발해의 군사 조직 (1) 중앙군 : 10위 / 위 마다 대장군, 장군, 소장, 낭장 (2) 지방군 : 촌락 단위 (3) 특수군 : 국경 중앙관제 지방제도 특수 행정 수상 합의제도 군사제도 감찰 기구 국립 대학 통.. 2012. 5. 4.
[남북국] 6. 발해의 통치체제 (발해 정치조직, 발해 중앙관제, 발해 지방조직, 3성 6부) 1. 발해의 중앙 관제 (1) 초기 - 군정합일 (2) 문왕 - 중국식 관제(3성 6부제, 독자성은 지님) (3) 국왕 중심 1) 성왕(가독부 - 발해말로), 대왕(기하 - 발해말로) 중심 2) 왕위계승 (장자상속) → 동궁제 (문왕 때부터) 3) 불교 장려 - 전륜성왕 (4) 3성 6부 1대 6대 7시 1감 1국 1) 합의 기구 : 정당성 - 그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 통괄 2) 6부 - 이원적 조직 : 좌사정 = 충인의 - 3부 ⟷ 우사정 = 지예신 - 3부 (유교적) 3) 7시 - 전중시 (궁정생활담당) / 태상시 (예의, 제사) / 사빈시 (외국사신 접대) / 종속시 (왕족사무관장) 사장시(재화, 보관, 무역) / 사선시 (주례, 선식) / 대농시 (창고, 영전) *발해 중앙 관제 1. 3성 (중국.. 2012. 5. 4.
[남북국] 5. 통일신라의 통치체제 (통일신라 정치조직, 통일신라 중앙관제, 통일신라 지방조직, 9주 5소경, 상수리제도) 1. 통일 신라의 중앙 정치의 정비 (1) 중앙 관제 1) 국왕중심 a. 장관복수제 b. 병부 강화 - 6관등제 / 대아찬에서 태대각간까지로 높임 → 재상, 사신을 겸직 2) 시중(중시)의 지위를 강화 a. 화백회의 보완 b. 왕의 지배를 받는 행정부적 성격 c. 장관인 중시는 상대등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가 있었다. 3) 총괄 최고 관부 부재 4) 복합적 관직제도 - 6전 조직 / 5등관제 - 영, 경, 대, 사지, 사 5) 골품제와 관질 밀착 운용 6) 왕실 국가 사무 분리 → 3궁 통합 때부터 본격화 7) 사정부 : 감찰기관 (2) 14개 관청 정비 : 집사부 아래 위화부 등 13부를 두고 행정 업무 분담 (횡적 편제 - 병렬적, 독립) (3) 민족 융합 정책 1)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 고구려 .. 2012. 5. 3.
[남북국] 3. 신라 말기(통일신라)의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선덕왕, 원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 경문왕, 진성여왕,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독서삼품과, 청해진, 장보고) 신라 말기의 정치 변동과 호족 세력의 성장 1. 신라 말기 사회의 동요 - 내물계 진골, 선종, 최치원, 난, 호족 (1) 선덕왕 - 김양상 (내물계) 1) 귀족연합정권 2) 상대등, 부군직 부여 (2) 원성왕 (785) 1) 무력으로 왕통승계 - 무열계 김주원 추대에 김경신이 즉위 (김주원은 강릉으로 퇴거하여 지방 호족이 됨) 2) 5묘제 쇄인 3) 독서삼품과(독서출신과) - 관료양성 : 성적에 따라 관리를 임명 → 실패 4) 근친 왕족 중심 운영 (3) 애장왕 (800) 1) 불사 창건 금지 2) 12도에 사신 파견 (4) 헌덕왕 (809) 1) 애장왕 살해 - 상대등 김언승 2) 초적봉기 (818) 3) 김헌창의 난 (822) - 백제지역, 국호 장안, 연호 경운 ☞ 신라 하대 왕위 쟁탈전과 관련 .. 2012. 5. 3.
[남북국] 2. 신라 중대의 발전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경덕왕, 혜공왕, 만파식적, 96각간의 난) 신라 중대와 통일 신라의 발전 1. 통일 직후 신라의 상황 : 번영, 생산력 증가 2. 신라 중대의 정치 (왕권강화) (1) 무열왕 (654 ~ 661) 1) 직계의 세습 : 왕권 강화 2) 집사부 시중(중시)의 세력 강화, 집사부 시랑직에 6두품세력 진출. 3) 상대등 세력 역제 4) 김유신의 후원 - 알천과의 경쟁에서 승리 5) 갈문왕 제도 폐지 6) 사정부 정비 7) 중국식 왕호 8) 백제 멸망 (660) 9) 이방부격 60여조 수정 (율령개편) (2) 문무왕 (661 ~ 681) : 왕권의 전제화 1) 귀족파 숙청 - ‘불휼국사’의 명분 2) 좌사록관, 우사록관 설치 - 왕권파에게 녹읍지급 3) 귀족파 반란 - 박도유, 수제, 대토 4) 삼국통일 5) 당문화 수용 6) 무열왕의 아들 7) 서당, .. 2012. 5. 3.
[남북국] 4. 발해 (대조영, 무왕, 문왕, 선왕, 발해 건국, 발해 멸망, 발해 대외관계) 발해의 건국과 성격, 멸망 1. 배경 (1) 고구려 유민의 당에 대한 저항 - 고선지, 이정기, 이사도 (2) 당의 민족 분열 정책 1) 소고구려국 건국 : 포로인 보장왕의 아들 고덕무을 요동 도독으로 임명 (친당적 국가) 2) 영향 : 오히려 동족 의식을 더욱 강화시키는 결론 (3) 거란 반란 - 이진충 → 조홰 살해 [발해 관련 기록] 1) 일본속기 : 문왕이 스스로를 고려국왕 대흠무라 불렀다. 고려사신으로 표현 2) 제왕운기 (이승휴) : 대조영을 고구려의 옛 장수라 표현 3) 발해고 (유득공) : 남북국사로 인식 4) 동사 (이종휘) 5) 아방강역고 (정약용) 6) 해동역사 (한치윤) 7) 조선상고사 (신채호) 8) 백두산 정계비고 (장지연) 9) 대동지지 (김정희) 2. 건국 (1) 대조영 (고.. 2012. 5. 3.
[남북국] 1.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 변화 표 통일신라 시대의 정치 변화 표 박혁거세~지증왕 법흥왕~진덕여왕 무열왕~해공왕 선덕왕~경순왕 삼국유사 상고 중고(불교식 왕명기) 하고 삼국사기 상대 중대 하대 혈 통 성골 진골 계 열 내물계 김씨 무열계 김씨 내물계 김씨 왕 권 약함 강함 약함 수 상 상대등 시중(중시) 상대등 [참고] * 삼국유사 : 왕의 명칭 기준 분류 * 삼국사기 : 골품에 의한 왕실 혈족관계 기준 분류 * 중대 : 녹입 치폐를 두고 국왕과 진골의 갈등, 선종전래 중대 (무열왕 ~ 혜공왕) 하대 (선덕왕 ~ 경순왕) 왕위 세습 진골 (무열계 직계) 진골 (내물계 방계) 정 치 1) 왕권의 전제화 2) 집사부 시중 세력 강화 3) 6두품의 정치적 진출 (국왕의 조언자) 4) 상대등 약화 5) 귀족 숙청 - 김흠돌의 모역 사건 1) 귀족.. 2012. 5. 2.
[삼국, 남북국] 26.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삼국 문화의 일본전파, 일본 호류사 금당벽화, 일본 목조 미륵반가사유상, 다카마쓰 고분 벽화, 수산리 고분벽화) 고대 문화의 일본전파 Ⅰ. 삼국의 전파 1. 삼국 문화의 영향 2. 백제 문화의 일본 전파 (1) 아직기 : 한자 (근초고왕) → 오진 태자에게 한자를 가르침 (2) 왕인 : 천자문, 논어 (근초고왕) (3) 노리사치계 : 불경 (성왕) (4) 관륵 : 천문, 역법, 지리 (무왕) (5) 불상 : 고류사 미륵 반가 사유상, 호류사 백제관음상 (6) 공예, 가람 - 5경 박사 → 마정안, 문휴마나, 동성자언, 동성자막고, 유귀 (7) 단양이 : 5경박사 (무령왕) (8) 고안무 : 5경박사 (무령왕), 유학 (9) 혜총 - 계율종 (10) 개로왕 때 - 인사리아(화가), 정안나금(비단기술), (11) 아좌태자 → 쇼토쿠 태자상을 그림 3. 고구려 문화의 일본 전파 (1) 혜자 : 쇼토쿠 태자의 스승 (영양.. 2012. 5. 2.
[삼국] 24. 삼국의 예술, 삼국의 고분 (고구려 고분, 백제 고분, 신라 고분 - 화엄경 변상도, 천마도, 금관, 돌무지덧널 무덤, 경주 배리 석불입상, 금동미륵보살 반가상, 장군총, 사신도, 현무도, .. 예술의 발달 고분 양식 대표적 고분 벽 화 특 징 고구려 초기 돌무지 무덤 (석총) 장군총 X 후기 굴식 돌방무덤 (토총) 강서 대묘, 쌍영총 O 도교적, 서역 계통 백제 한성 돌무지무덤 석촌동 고분 X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 웅진 굴식 돌방무덤 송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큼, 고졸 벽돌무덤 무령왕릉 X 남조의 영향, 지석 출토, 오수전 송산리 6호분 O 사신도, 일월도 사비 굴식 돌방무덤 능산리 고분 (사신도) O 규모가 작음, 세련 신라 일반적 돌무지덧널무덤 천마총, 호우총 X 부장품 보존, 도굴 어려움 통일 직전 굴식 돌방무덤 어숙묘 O 고구려, 백제의 영향 통일 신라 굴식 돌방무덤 김유신묘, 괘릉 성덕 대왕릉 X 12지 신상, 둘레돌 화장법 문무왕릉 X 호국적 발 해 굴식 돌방무덤 정혜공.. 2012. 5. 2.
[삼국] 23. 삼국의 과학, 기술 (무주정광대다라니경, 첨성대) 과학, 기술학 1. 천문학과 수학 (1) 과학·기술학의 발달 : 청동검, 청동제 잔무늬 거울 (2) 천문학 1) 고구려 : 천문도, 장천1호분, 덕화리 1·2호분, 각저총, 고분 벽화 2) 신라 : 7세기 선덕 여왕 = 첨성대 3) 통일 신라 : 김암 4) 기록 : ‘삼국사기’ 5) 천문학 관측 목적 (3) 수학 1) 삼국 시대 : 백제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 2) 통일 신라 : 석굴암의 석굴 구조,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다보탑 [첨성대] 2. 목판 인쇄술과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에서 발견 - 8세기 초엽,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술 (2) 제지술의 발달 1) 무구 정광 대다라니경 : 닥나무 2) 구례 화엄사의 석탑 :.. 2012.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