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oy 한국사479

[조선] 24. 조광조 (현량과, 위훈 삭제, 향약, 수미법, 도학정치) * 조광조 [趙光祖, 1482 ~ 1519]1. 이상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도학 정치(성인 군주, 현철 군주) 강조 → 성리학 질서2. 현량과 (賢良科) 실시 - 사림등용, 어진 자 추천 (천거제 시행) → 경기 출신 젊은 사림을 대거 등용3. 위훈 삭제 사건 (僞勳削除事件) - 훈구 비리 척결 (가짜 공 삭제) → 기묘사화의 원인4. 불교•도교 과련 행사 폐지 - 승과, 소격서 폐지5. 소학 교육 장려 - 유교적 가치관 (cf. 소학 - 사화 이후 일시적으로 금서처럼 여기기도 하였다.)6. 경연 강화 - 언론 활성화로 왕도 정치 강조 → 자신들 의견을 공론이라 표방 (급진개혁 요구)7. 방납의 폐단 시정 - 농민 부담의 해소를 위한 수미법 건의8. 향약의 전국적 시행 노력 - 향촌 자치 실현 (유향소,.. 2014. 2. 16.
[조선] 23. 사림, 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연산군, 중종, 명종, 임꺽정의 난) 연산군1) 민생 피폐 2) 신언폐 시행 - 말조심 위한 것 3) 신문고, 언문청 폐지 4) 중종반정중종1) 중종 반정 - 연산군 1506년 2) 반정 공신 비리 발생 3) 삼포왜란, 임신약조 4) 비변사 설치 5) 기묘사림(1515) → 기묘사화(1519)Ⅱ. 사림의 정치1. 사림의 정계 진출 - 성종 때 김종직 등이 진출 2. 훈구 세력과 대립 – 훈구 세력의 대토지 소유를 제한하기 위해 한전법을 주장 3. 활동 - 과거로 진출 ➝ 전랑, 3사의 언관직 차지 4. 결과 - 사림과 훈구의 균형 (1) 성종 - 김종직 진출 - 이조 전랑, 3사 차지 - 훈구의 비리 비판(훈구 세력 견제), 여론 중시(cf. 성종 대 정계 진출자의 대부분은 길재의 학풍을 받음)“김종직은 경상도 사람이다. 학문이 뛰어나고 문.. 2014. 2. 15.
[조선] 22. 훈구파, 사림파 (관학파, 사학파, 이언적) [사림]* 정몽주 - 길재 - 김숙자 - 김종직 → 정여창, 김굉필, 김일손 → 이언적, 서경덕, 조광조, 김안국→ 영남 : 조식(북인 → 정인홍), 이황(남인 → 류성룡), 기호 : 이이(노론 → 송시열), 성혼(소론)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Ⅰ. 훈구, 사림 훈구파 (관학파)사림파 (사학파)연 원급진개혁파 (정도전, 조준, 권근)(정인지, 한명회, 신숙주)온건 개혁파 (정몽주, 길재, 이색 → 조광조)집권기15세기16세기 이후정치적 입장적극적인 역성혁명,유교 국가 운영에 학문적 이론 제공소극적이며 고려 왕조에 충성 표시의리와 명분출 신성균관, 집현전사학, 사원학 문사장(詞章)적 성향 (문물정비)경학(經學)적 성향, 예에 대한 학문적 탐구, 修己治人사상 정책타 사상도 수용 - 불교, 도교성리학 중시정치.. 2014. 2. 14.
[조선] 21. 북벌론, 나선정벌 (변급, 신유) Ⅷ. 북벌론과 나선 정벌1. 북벌론 대두(1) 청과의 관계 - 청에 사대 하며 북벌 준비(2) 북벌 준비1) 북벌론a. 국가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혼란을 수습하는 수단으로 작용b. 패전 책임을 호도하려는 방편으로 이용, 위신회복c. 청에 대한 적개심과 문화적 우월감에서 비롯 “우리나라가 중국 조정을 섬겨 온 지 200여 년이다. 의리는 군신이며 은혜는 부자와 같다. 임진년에 입은은혜는 만세토록 잊을 수 없다. 광해군은 배은망덕하여 천명을 두려워하지 않고 속으로 다른 뜻을 품어오랑캐에게 성의를 베풀었다. ~ 예의의 나라인 삼한을 오랑캐와 더불어 금수가 됨을 면치 못하게 하였다.어찌 그 통분함을 이루 다 말할 수 있겠는가.” - 인조실록 “화의로 백성과 나라를 망치기가 ~ 오늘날과 같이 심한 적이 없습니다. .. 2014. 2. 13.
[조선] 20. 정묘호란, 병자호란, 광해군, 중립 외교, 인조 반정 (가도 사건, 이괄의 난, 최명길, 김상헌) Ⅵ. 광해군의 중립 외교1. 광해군의 내치- 북인 정권이 성립, 부국책, 강병책, 문화시책 (동의보감, 허준), 대동법 시행 (선혜청)2. 광해군의 대외 정책(1) 후금 건국 - 누르하치 (1616)(2) 명의 원군 요청(3) 중립 외교 “화친을 맺어 국가를 보존하는 것보다 차라리 의를 지켜 망하는 것이 옳다고 하였으나, 이것은 신하가 절개를 지키는 데 쓰이는 말입니다. ~ 자기의 힘을 헤아리지 아니하고 큰소리를 쳐서 오랑캐들의 노여움을도발하여, 마침내는 백성이 도탄에 빠지고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내지 못하게 된다면 그 허물이 이보다 클 수 있겠습니까?” – 지천집 “지금 우리가 계책으로 삼는 것은 군신 상하가 모든 일에 힘써 정벌할 준비에 온 생각을 쏟아서 군사를 기르고, 장수를 뽑으며, 인재를 거두.. 2014. 2. 12.
[조선] 19. 임진왜란 (이순신 장군, 왜군, 왜란 의병, 정유재란, 관우 숭배, 비격진천뢰, 공명첩) 양란Ⅰ. 왜군의 침략1. 왜란 전의 정세(1) 조선1) 국방력 약화 - 16세기 이후 a. 5위제 붕괴- 갑사들의 녹봉 중단 등으로 군인의 질적 저하b. 방군수포제 (放軍收布制) 시행 - 정군의 수 감소2) 16세기 이후 침략 격화a. 삼포 왜란 (1510)b. 을묘왜변 (1555)3) 대응 - 비변사 설치, 이이(만언봉사)의 10만 양병설은 채택되지 못함(2) 일본1) 통일 - 도요토미 히데요시 (풍신수길) 2) 통일 직후 제후들을 견제, 분산하기 위해 침략3) 정명가도 (征明假道) - 명을 치러 가는데 길을 열어 달라2. 왜란의 발발(1) 침략 - 1592년 4월 : 부산진, 동래성 - 정발과 송상현이 분전 끝에 함락 [왜란의 발발](2) 북상 1) 신립의 패전 - 충주에서 배수의 진2) 선조의 피난.. 2014. 2. 11.
[조선] 18. 조선 초기 대외관계 (대명관계, 대 여진, 대 일본, 조선 수출, 조선 수입, 야연사준도, 사대교린, 유숙소, 무역소, 3포개항)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Ⅰ. 명 1. 외교 정책의 원칙 - 사대교린 정책2. 국초의 대명 관계(1) 태조 1) 요동 정벌 추진 - 정도전이 중심 진도를 작성, 성보를 수리 - 불편하기도 함2) 고명•금인 - 명이 왕위를 승인하는 고명과 금인을 보내지 않아 ‘권지고려국사’라는 칭호 사용T) 조선 초기 지식인들은 만주를 우리 국토의 일부로 생각했다.(2) 태종 - 사이가 좋아짐3. 사절의 파견(1) 목적1) 정치적 - 왕권의 안정, 국제적 지위 확보2) 경제적 - 문화 외교, 공무역(2) 무역1) 수출 - 마필, 인삼, 화문석2) 수입 - 견직물, 서적, 약재, 문방구, 도자기3) 폐단 - 명의 과다한 금은 요구를 피하기 위해 금•은광을 거의 폐쇄4. 대명 관계의 변화 - 지나친 친명정책정기 사찰부정기 사찰하정.. 2014. 2. 10.
[조선] 17. 조선 교통, 조선 통신, 고려와 조선의 기관 비교표 (역원제, 파발제, 봉수제) 3. 교통, 통신 조직(1) 역원제 (驛院制) - 공문서의 전달, 관물의 운송 - 역 설치 (병조에서 관장)(2) 파발제 (擺撥制)1) 임진왜란 때 공문 전달을 위한 통신망 2) 봉수제가 유명무실해지며 등장한 통신수단으로 왜란 이후 간헐적으로 시행3) 한양 중심 서∙북∙남발 3개의 간선망과 그 사이에 보조노선이 있었다.4) 기발 – 25리 마다 1참5) 보발 - 3리 마다 1참(3) 봉수제 (烽燧制) (통신)1)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2) 평상시 - 월말마다 감사에게 보고3) 유사시 - 즉시보고4) 평시 1개, 적 2개, 국경접근 3개, 국경 넘으면 4개, 접전 5개(4) 조운제 (漕運制) (수로)고 려조 선합의 기구도병마사, 도평의사사의정부, 비변사왕명 출납중추원승정원서 경어사대, 중서문하성의 낭사.. 2014. 2. 7.
[조선] 16. 조선 전기 지방군, 조선 전기 방위 (영진군, 진관 체제, 제승방략, 잡색군, 기선군, 시위패, 수성군, 수호군, 익군, 속오군) (2) 조선 전기 지방군1) 육수군 - 일반 농민 구성의 주력 지방군, 자연호를 단위로가. 영•진군 (영진유방군, 營鎭留防軍)a. 태조 설치: 진군 - 첨절제사를 지휘관으로 함, 영군 - 병마도절제사를 지휘관으로 함b. 마병중심, 4번(番) 교대로 담당c. 상층 양인 중심으로 편성d. 3결 이하의 토지를 소유한 자에게는 1호의 봉족이 따로 지급나. 수성군 - 농민 보병, 4번 교대로 복무, 봉족 지급 X다. 시위패 - 태종의 사병 혁파 후 영진군에 편입라. 수호군 - 특수지대 방어마. 잡색군 (예비군)a. 태종설치b. 정규군을 제외한, 광범위한 동원 태세의 필요성이 인식되면서 정규 군역 부과자 이외의 각계 각층의 인정을 망라 - 서리, 잡학인, 신량역천인, 노비, 전직 관료, 교생 (농민은 제외)c. 향.. 2014. 2. 6.
[조선] 15. 조선 군역 제도, 군사 조직 (보법, 의흥삼군부, 5위, 내삼청, 내금위, 겸사복, 우림위, 갑사) Ⅳ. 군역 제도와 군사조직1. 군역 제도(1) 종류1) 신역 - 직역, 군역2) 잡역 - 요역(2) 원칙1) 양인 개병제 실시 a. 군역은 태종 이후 사병을 모두 폐지b. 모든 양인 남자는 군역(16세 이상 ~ 60세 미만), 공신의 자제 포함 (x – 모든 남자)c. 천인은 Xd. 일반 평민은 정병과 수군, 유방군에 편입되었다.2) 정군(현역 군인), 보인(비용만 부담)3) 정군은 품계를 받는 등 대우를 해줌(3) 군역 면제 1) 현직 관료와 학생, 향리2) 고급 관료의 자제는 고급 특수군에 편입 (면제 받은 것이 아니다.)3) 왕족, 공신, 고급 관료의 자네는 복무연한에 따라 품계(品階)와 녹봉을 받았다.(4) 노비 1) 군역의 의무가 없다.2) 특수군(잡색군)으로 편제되기도 한다. - 하지만 실제로.. 2014. 2. 5.
[조선] 14. 양반 중심의 향촌 사회 (유향소, 향안, 향규, 경재소, 경저리 제도) 2. 양반 중심의 향촌 사회(1) 유향소(留鄕所 , 향청) (∵ 지방의회)1) 향촌의 덕망 있는 인사 들이 좌수와 별감을 선출2)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규찰, 풍속 교정, 백성 교화 (X - 유향소에 향리를 두어 수령을 보좌하도록 하였다.)3) 임원 - 향안에 올라 있는 양반4) 지방 양반들로 구성된 자치기구5) 토성 사족의 형성a. 고려 때 ‘인리성’, ‘백성성’인 성씨 → 조선에 사족으로 인정된 부류b. 역성혁명을 주도한 사족층이 중앙관료군 가운데 일부를 도태시켜 지방의 품관과 향리로 돌려보내졌다.이 가운데 ‘전함품관’들이 지방사회를 지배하게 되었는데 이들을 토성 양반, 토성사족이라 함cf. 인리성 - 향리 최상층 백성성 - 촌장6) 토성 사족은 지방민 지배를 위해 유향소를 설치7) 기능 - 향리 .. 2014. 1. 31.
[조선] 13. 향리, 촌락의 편제 * 향리1. 향리 억압책(1) 권현제의 정비 - 견아상입지나 월경처 등의 임내지부터 혁파, 수령파견* 견아사입지 - 경계 변경 등 복속관계 확보 등* 월경처 - 경계가 바르지 못한 곳(2) 향리의 이속 - 타 지역으로 이동(3) 향리 복식 제한(4) 유향소(5) 부민고소법2. 향리의 역(1) 향역 - 행정실무(2) 기인역 - 잡역, 시탄(땔감) 공급의무(3) 관군역 - 군역을 수행하지는 않았으나 잡생군에 편재된 부수적인 의무(4) 녹복을 받지 못하였으며, 세종 27년에 외역전 마저 폐지 (→ 역수행에 대가 X)3. 향리의 면역종사 - 사족으로 상승가능(1) 정과의 급제 - 문무과, 생원진사과 급제(2) 3정 2자 면제 - 3子 중 한 명이 잡과에 합격 / 서리 가운데 거관(근무기감 마침)한 경우(3) 군.. 2014. 1. 30.
[조선] 12. 조선 전기 지방 행정 조직 (관찰사, 8도, 수령, 향리, 유수관, 감영) Ⅲ. 지방의 행정 조직1. 지방 조직 정비(1) 특징1) 조선은 중앙집권과 향촌 자치의 조화를 추구2) 태조 - 5도 양계 유지3) 태종 : 군현 정비 - 8도, 그 아래 부목군현4) 속현 폐지 - 국가가 직접 지배 - 모든 군현에 수령 파견5) 특수 행정 구역 폐지 - 향소부곡도 일반 군현으로 승격6) 임기제, 상피제, 시행 - 지방관의 임기제 (관찰사 360일 - 종2품 이상, 천거 받아 임명 / 수령 5년), 출신지에 임명되지 않는 상피제7) 고을의 규모에 따라 지방관의 등급이 달랐다. [조선 8도](2) 관찰사 – 수령지휘감독1) 종2품 - 감사, 방백2) 부목군현, 8도에 임명 - 관내 감찰권(수령 고과 후 등급을 정해 수령을 파직) / 행정권 / 사법권 / 군사권(병사•수사 겸임) /재판권(3.. 2014. 1. 29.
[조선] 11. 조선 전기 조직과 기관 (정3품, 종3품, 내수사, 전함사, 전연사, 장원서, 사포서, 경관직, 장계, 서계, 윤대, 권당, 구언) 1. 정3품 아문장례원노비문서, 송사사옹원왕실 음식물관상감천문, 풍수예빈시사신, 정승 음식상서원옥새, 군사지위내의원납부 약 조제사역원번역사섬시화폐, 외거노비 신역통례원의식상의원의복, 금은 관리사복시수레, 말제용감조공 진헌봉상시제사군자감군수, 저축군기시무기장학원음악종부시왕실족보사재감소금, 생선, 횃불사도시왕궁 창고전의감왕실 내 의약2. 종3품 아문* 세자시강원 (세자계도)3. 정4품 아문종학종실교육전설사장막공급광흥창관원의 녹봉수성금화사궁성도성 수축, 화재진압풍저창미두 등 물품4. 종4품 아문1) 전함사 - 전함 건조 / 2) 전연사 - 궁청소5. 정5품 아문* 내수사 - 왕실 재정T) 왕실 경비는 정부에서 지출하게 하는 궁부일체의 제정 구조를 만들었다.6. 종5품 아문소격서초제평지서시장감독, 도량형 단속,.. 2014. 1. 28.
[조선] 10. 조선 전기 기관 (승정원, 의금부, 삼사, 한성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경연, 4관, 예문관 교서관, 승문원, 춘추관) (3) 승정원 (왕권강화)1) 비서기관, 왕명 출납2) 6방 설치a. 도승지 (정3품, 아문) - 비서실장격 b. 6승지 (정3품)3) 후임자의 자천권이 있었다.(4) 의금부 (義禁府, 왕권강화) 1) 죄인 심문, 법률 집행 - 판사 (종1품, 아문) / 지사 (정2품)2) 지위고하 신문막론 처벌3) 왕 직속 최고 법사(5) 한성부 (漢城府 , 왕권강화) 1) 서울의 행정 치안, 호구대장, 사장, 순찰, 부채 등 담당 - 판윤 (정2품) / 좌•우윤 (종2품)2) 사법권, 소송, 도적 징계(6) 삼사1) 비리 감찰, 정사 비판 언론 기능a. 사헌부 - 시정을 논, 관원을 규찰, 억울한 일, 감찰 (종2품 아문)b. 사간원 - 정자의 잘못을 논박, 상소, 간쟁, 논박 (정3품 아문) (cf. 고려 - 중서.. 2014.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