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6. 조선 수취체제 표, 전세의 전액화 (영정법, 양척동일법)
수취 체제초 기중 기후 기흥선 대원군전세(조세)[과전법] → (여말, 선초) 1결당 30두 [연분9등법] →(세종)1결당 20~4두풍, 흉 기준→1결당 6~4두(최저율 적용)→ [영정법](인조)1결당 4두 징수(풍•흉 무관)[손실답험법] → 넓이와 수확 기준[수등이척법]→자(尺)다름→→ [양척동일법]양전하는 자 동일공납[공납] →상공, 별공, 진상호기준수취, 수송의 폐단→[방납]→경저리, 서리 등 대납농민 부담증가→[수미법]→이이유성룡→[대동법]공납→미포전戶→토지(12두, 結, 숙종)군역[보법] →(세조)양인 개벽제, 병논 일치→[방군수포•대립제]→1년2필불법적→[군적 수포제]→(중종)양민과 상민 구분제도적, 국방력 약화→[양역변통론]→농병일치론(유형원)호포론(영조)- 논쟁만함[균역법]→영조1년1필균역청..
2014. 6. 6.
[조선] 15. 조선 후기 농민 봉기, 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Ⅵ. 농민의 항거 1. 농촌 사회의 피폐 - 세도 정치의 폐해, 삼정 문란, 지주 대상인의 횡포 2. 민심 동요 원인1) 채단 발생 2) 비기의 유행 3) 탈춤의 보급 4) 농민의 간도 이주3. 삼정의 문란을 바로 잡기 위한 정부의 노력 - 암행어사파견, 삼정 이정청 설치 (박규수의 건의) 4. 농민의 대응(1) 소극적 대응 1) 계 - 군포계, 제언계, 농구계 - 어려움 타개 2) 두레(2) 적극적 대응 - 소청, 벽서운동, 민란Ⅶ. 농민의 봉기 - 세도정치 시기1. 홍경래의 난 (순조, 1811)(1) 원인1) 세도정치의 폐해, 서북인에 대한 차별2) 지주제의 모순에 따른 갈등과 대립3) 경제 - 영세 농민, 밀무역•잠채 광업 규제책 시행 (1808)4)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억누르는 중앙의 간섭, ..
2014. 6. 5.
[조선] 13. 조선 후기 천주교, 예언 사상, 불교 (정감록, 천주교 박해, 신해박해, 신유박해, 병인박해, 기해박해, 병오박해, 황사영 백서사건)
사회 변혁의 움직임Ⅰ. 사회 불안의 심화 1. 사회의 동요 - 신분제 동요, 농민 경제 파탄, 적극적인 항거 운동 발생 2. 사회의 동요 심화 - 정치 기강 문란, 재난, 질병 3. 사회의 불안 고조 1) 민심 불안, 이양선의 출몰, 도적의 창궐 (화적, 수적)2) 채단, 폐사군단, 유단과 같은 조직에 의한 집단적인 약탈 행위가 횡행하였다.Ⅱ. 예언 사상의 대두 1. 예언 사상 유행(1) 예언사상 1) 비기, 도참, 변혁적 성격 2) 내용 - 말세, 변란(2) ‘정감록’ - 유행한 비기(3) 민중 봉기에 혁명적 기운을 불어넣은 역할2. 무격신앙과 미륵 신앙(1) 무격신앙 1) 굿, 구복적 성격 2) 내용 - 재앙, 잡귀 [선운사 도솔암마애불](2)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 고려시대 여래상으로 감실에 비결..
2014. 6. 3.
[조선] 12. 조선 후기 농민층 (김홍도 - 자리짜기)
농민층Ⅰ. 농민층의 분화 1. 조선 후기 농민 구성 -중소지주층, 자영농, 소작농2. 농민의 사회적 현실 - 의무 부고, 호패법으로 이동억제3. 농민의 불만 고조 4. 농민층의 자구책 - 상공업, 광산5. 농민의식 성장1) 두레나 초군 같은 노동조직이 활성화2) 천주교 전파, 미륵신앙 발달3) 노동요, 가면극, 판소리 등이 발달Ⅱ. 지주와 임노동자 1. 대지주 (1) 부의 축척(2) 부농층의 양반화 -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움(3) 양반 취득 방법 1) 족보 매입, 위조 2) 전공•납속책 - 신분 상승의 기회를 합법화함(4) 서민 지주도 증가, 양반전호 나타남3. 임노동자의 출현 - 국가나 관청에 고용, 양반 지주층이나 부농들에게 고용“일월동풍 가래질하기, 삼사월에 부침질하기, 일등전답 무논 갈기, ..
2014. 6. 2.
[조선] 10. 조선 후기 가족 제도 (친영제도, 혼인 풍습, 호적,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 호적 1) 3년마다 작성2) 4조(증조, 조, 부, 외조), 성명, 본관, 노비, 머슴 기록3) 호구 단자 작성4) 3부를 만듦 - 중앙, 관아, 가정5) 호적대장의 보관 - 중앙의 호조, 한성부, 지방의 군현, 감영6) 호적 누락자는 과거에 불합격처리7) 1인 호구의 호적 등재도 허용Ⅳ. 가족 제도1. 가족 제도의 변화 - 부계 위주2. 가족 제도의 변화 과정(1) 조선 중기 (율곡선생 남매 분재기 - 상속의 내용을 작성한 문서)(2) 조선 후기 (17세기 이후) - 양자 입양 일반화 (3) 변화 원인 - 16c 말 이후 성리학적 명분론을 중시하는 사림이 성장, 성리학적 가족 윤리가 보급고려~조선 전기조선 후기가족범위부계, 모계부계 위주혼인왕실 - 친족간 혼인남귀여가혼 - 여자 집에가 생활친영제도 ..
2014. 5. 31.
[조선] 9. 조선 후기 사회 (중간 계층, 상소운동, 노비종모법, 이진홍, 연조귀감, 이진택, 규사, 조희룡, 호산외기)
유득공, 이덕무, 박제가 (정유서얼 허통절목)(2) 신분상승 노력 (중인, 중서)1) 철종 때 대규모의 소청운동이 벌어짐 - 성공은 X2) 전문직으로 역할 부각3) 역관들은 새로운 사회 수립 추구4. 사회적 공헌1) 외래문화 수용에 선구적 역할, 조선 후기의 큰 변화, 중인들의 역사를 독자적으로 편찬2) 이진택 - 규사 (서얼 관련)3) 이진홍 - 연조귀감 (향리의 역사서)4) 조희룡 - 호산외기5) 유재건 – 이향견문록“수령으로는 많은 백성들을 통솔하여 다스릴 수가 없으므로 아전들을 두어 6방에 나누어 배치하기를 조정의 6조처럼 하였습니다. ~ 조정에서도 인장을 만들어 주어 수령에게 일이 생기면 호장이 그 인장을사용하고 관청 사무를 대행하도록 합시다. ~ 엎드려 바라옵건대 다른 벼슬처럼 똑같이 월급을 ..
2014. 5. 30.
[조선] 6. 조선 정조 (이산, 준론탕평, 규장각, 장용영, 초계문신제, 문체반정, 금등사건, 진산사건, 오회연고, 현릉원, 화성 건설, 신해통공, 대유둔전, 만천명월주인옹, 홍국영, 대전통편, 무예..
Ⅳ. 정조1. 적극적인 탕평책 (1) 준론 탕평 시행1) 당파의 옳고 그름을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2) “‘탕탕평평실’ 평액을 달았다. ~ 백성에게 직접 의견을 ~”3) 영조의 탕평책을 계승하였지만 비판하기도 함 (2) 척신(김귀주, 홍인한, 정후겸)•환관 제거 (3) 노론 청명당, 청남, 소론 준론 등용 (공용파의 집권) - 주로 남인 계열(청류)의 시파가 중용 * 채제공 - 남인 학자 보호, 서학 묵인(4) 능력 중시(5) 홍국영(세도정치)을 내치고(1779) 소론 서명선, 노론 홍낙순 등 연합정권 출범 → 시파•벽파의 대립 발생 (1783) → 3붕당 보합체제 성립(1788) : 노론 김치인, 소론 이성원, 남인 채제공→ 시파의 정권 장악 (1789)cf) 영•정조 탕평의 공통점 - 왕이 스승..
2014. 5. 27.
[조선] 5. 조선 영조 (영조 업적, 치적, 사건, 이인좌의 난, 정미환국, 을사처분, 기유처분, 완론탕평, 임오화변, 사도세자 사건, 노비종모법, 청요직 개방, 동색금혼패, 신문고 부활, 청계천 준설..
Ⅲ. 영조1. 초기 탕평책과 한계(1) 영조 초기 - 탕평의 교서를 발표“요즈음에 이르러서는 사람을 임용하는 것이 모두 당목(黨目) 가운데 사람이었으니, 이와 같이 하고도 천리의 공(公)에 합하고 온 세상의 마음을 복종시킬 수 있겠는가? ~ 피차가 서로를 공격하여 공언(公言)이 막히고 역당(逆黨)으로 지목하면 옥석(玉石)이 구분되지 않을 것이니, 저가 나를 공격하는 데에서 그 장차 가려서하겠는가, 가리지 않고 하겠는가?” – 탕평 교서 (영조)(2) 을사처분 (乙巳處分) (1724) - 영조 즉위, 신임사화 진상규명하며 소론 타격 (3) 정미환국 (丁未換局) (1727) - 신임옥사로 노론 파면, 유배된 소론 정권 참여(4) 이인좌의 난 (1728) 1) 경종의 사인에 대한 의혹도 원인 중 하나2) 소론..
2014. 5. 26.
[조선] 4. 붕당 정치, 탕평론, 탕평책, 조선 숙종 업적, 숙종 사건, 경종 (환국,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 정유독대)
* 숙종의 업적과 당시 사건1. 대보단 (大報壇) 설치 – 명나라 신종 위패 안치2. 상평통보 (常平通寶) 전국 유통3. 양역이정청 (良役釐整廳) 설치 1) 군포2필로 균일화 2) 양역(良役)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하여 둔 임시기구4. 대흥산성 축조5. 북벌론 재논의6. 서원 남설7. 백두산 정계비8. 대동법 전국시행9. 안용복10. 폐사군 (廢四郡) 복설 : 여연(閭延)•우예(虞芮)•무창(茂昌)•자성(慈城)11. 양전 시행12. 장길산의 난 (1697)14. 중인, 서얼 수령에 임명15. 편찬 – 대전속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전자초방, 선언계보, 대명집례, 열조수교, 북관지 정쟁의 격화와 탕평정치Ⅰ. 붕당 정치의 변질1. 붕당 정치 변질의 의미 - 균형이 깨짐2. 원인(1) 상업적 이익에 대한 독점 경..
2014.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