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법률 ※/Soy 헌법

사생활의 비밀의 한계

by 소이나는 2010. 8. 8.
반응형


 

사생활의 비밀의 한계
 

      (1) 서설

      (2) 사생활의 비밀, 자유와 언론의 자유의 충돌의 해결방법

 

   1. 학설의 대립

      (1) 권리포기이론 - 예) 자살자

      (2) 공공이익이론

            [헌판] 1) 개인 대 개인 간의 사적관계에서는 언론의 자유보다 명예보호라는 인격권이 우선하나, ~

                      공적인물이 그 공적 활동과 관련된 명예훼손적 표현은 그 제한이 더 완화되어야 한다.

                   2) 김일성 애도편지 사건 (기각)


      (3)
공적인물이론

            1) 자발적 공적인물 (정치인, 연예인)

            2) 비자발적 공적인물 (범죄자)

            3) 헌판 - 국가기관이 일반국민의 알권리와 무관하게 평소의 동향을 감시할 목적으로 개인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그 대상자가 공적 인물이라는 이유만으로 면책될 수 없다.


      (4)
인격영역이론 (頭 - 내비적회공)

           1) 밀영역 - 절대적 보장

                [헌판] 4급 이상 공무원들의 병역면제사유인 질병명을 관보와 인터넷에 공개 (불합치 - 07)

           2) 밀영역 - 동의 없이는 공개할 수 없고 동의한 방식대로 공개

           3) 사 영역 - 동의 없이 공개할 수 있되 공개로 인한 이익과 불이익을 형량

           4) 사적 영역 - 사적영역보다는 자유롭게 공개

           5) 개적 영역 - 공개허용


      (5)
공적기록이론

           [헌판] 신상공개제도 사건

                 "이미 공개된 형사재판에서 유죄가 확정된 형사판결이라는 공적 기록의 내용 중 일부를 국가가

                  공익목적으로 공개하더라도 사생활의 비밀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2. 판례

      (1) 헌재소

      (2) 대법원

        

   3. 검토

 


      (3) 사생활의 비밀⋅자유와 국정감사⋅조사권

             국감조법 제 8조 " 감사 또는 조사는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목적으로 행사되어서는 안 된다."


      (4) 사생활의 비밀⋅자유와 행정조사

             독일연방헌재의 '호구조사판결' → "익명화되지 않은 조사는 법률의 수권과 인격권보호를 위한 예방적조치가

                                              있어야 가능하다."


      (5) 사생활의 비밀⋅자유와 범죄수사


      (6) 사생활의 비밀⋅자유와 행정상 공표

             1) 고액체납자의 명단 공표 → 국세기본법 제85조의 5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보기 클릭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