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통치 조직의 정비Ⅰ. 삼국의 통치 체제1. 성격(1) 초기 : 부족적1) 지배 집단의 성장 : 고구려, 백제의 5부, 신라의 6부가 중앙의 지배 집단2) 왕권의 미약
(2) 후기 : 행정적1) 관등제의 정비2) 왕권의 강화 2. 귀족 합의 기구(1) 기능 : 왕권 견제(2)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신라의 화백회의
* 제가 회의 “감옥이 없고 제가들이 논의하여 사형 ~ 처자는 몰수해 노비로 한다.”* 정사암 회의 “호암사에 정사암이란 바위가 있다. 국가에서 재상을 뽑을 때 후보자 3~4명의 이름을 써서 상자에
넣어 바위 위에 두었다. 얼마 뒤에 열어 보아 이름 위에 도장이 찍혀 있는 자를 재상으로 삼았다.” * 화백 회의 “큰일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중의를 따른다. 이를 화백이라 부른다. 한 사람이라도 반대하면
통과하지 못하였다.” (만장일치) 3. 관직 체계의 운영(1) 삼국의 관등제와 관직체제의 운영은 신분제에 의하여 제약을 받았다.(2) 신라 : 골품 제도와 결합
4. 지방 통치(1) 초기 : 성•촌 단위 개편 ➝ 한계 : 자치가 유지(2) 후기1) 부•방•주 단위로 개편 - 광역 행정구역2) 말단 행정에는 촌주 (중앙에서 파견한 것 아님)
(x – 각 부의 귀족들은 중앙 왕실에 예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자 관리를 거느리고 자신의 영역을 지배하였다.)(3) 군사적 성격 - 행정과 일원적 조직 (X- 분리)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관 등 10여 관등(형, 사자) 16관등 (솔, 덕) 17관등(찬, 나마)중앙관제 내평, 외평, 주부 6좌평, 22부(중국식) 병부 등 10부 집사부 등 14부 3성6부 (중국식)
수 상 대대로 (막리지) 상좌평(내신좌평) 상대등(선출) 시중, 중시 (임명) 대내상수 도 5부(고국천왕) 5부 6부 지 방 5부(욕살),
성(처려근지, 도사) 5방(방령) → 아래 군장 5주(군주 : 군사적),군현 9주(총관➝도독 : 행정적) 15부 62주, 현 (현승)특수구역 3경제(국내성, 평양성, 한성) 22담로 (무령왕)
(웅진시대) 2소경(동원경, 중원경) 5소경(사신) 5경제(지방문화 보급)군사제도 대모달, 말객 (지휘) 방령, 군장 서당, 6정 9서당, 10정 10위, 대장군
합의제도 제가회의 정사암 회의 화백 회의 정당성* 합의제도 : 고려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 조선 (의정부, 비변사)Ⅱ. 고구려
1. 중앙 관제(1) 10여 관등 편제 : 대대로, 태대형, 태다사자, 대사자 등 (형 : 연장자, 사자; 조세 수취) cf) 연맹 왕국 - 이원적 구조4c - 사자계 우위6c - 형(兄)계 우위 (12관등, 대대로)7c - 사자계 우위 (14관등)(2) 수상 : 국상(초기) ➝ 대대로(3년에 한 번씩 선거) ➝ 대막리지(후기)
(3) 제가회의1) 주재자 - 상가(相加) (→ 후에 ‘국상’)2) 주요 국정 5등계인 조의두대형 이상 참석 (X - 6관등인 대사자)(4) 관칙1) 발고추가 - 빈객을 관장하는 직무
2) 국자박사, 대학사3) 대모달 (대당주)4) 말객 - 대형 이상 관등 → 1관직 복수 관등제 실시cf) 주부 - 외국 조세를 받음, 군사 활동 통제, 제정2. 지방 조직
(1) 수도 : 5부, 지방 : 5부, 장관 : 욕살, 성 : 처려근지(도사), 가라달, 누초를 다스림* 5부 - 부족적 성격에서 행정적으로 변화 - 내부, 우부, 후부, 좌부, 전부
(2) 특별 행정구역 : 3경제 - 국내성, 평양성, 한성(재령)(3) 읍락 - 종족에 따른 차등
soy 한국사,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관등 관복 허리띠 장식1 좌평 자주색 은화관식(모자장식)2 달솔 3 은솔 4 덕솔 5 한솔
6 나솔 7 장덕 빨간색 자 색 내용 無8 시덕 검은색 9 고덕 붉은색 10 계덕 푸른색
11 대덕 노란색 12 문독 푸른색 13 무독 흰색 14 좌군 15 진무 16 극우
Ⅲ. 백제1. 중앙 관제(1) 초기 - 한성시대1) 5부 (고이왕) - 동•서•남•북•중부2) 좌장 설치 - 군사 일원화3) 좌평, 귀족제 (정사암회의)a. 좌보, 우보, 좌평 설치b. 5좌평 체계 - 사비천도 전까지
4) 솔계, 덕계 관등 - 신지•읍차에게(2) 관등제 정비 : 수상[상좌평], 6좌평 이하 16관등1) 6좌평 : 천관, 지관, 춘관, 하관, 추관, 동관에서 비롯 ➝ 「주례」의 6관
☞ 내신좌평 (왕명출납), 내법좌평 (의례), 조정좌평 (형벌), 내두좌평 (재정), 병관좌평 (국방), 위사좌평 (숙위, 경비)☞ 중국의 6전 조직 체제 모방2) 특징 : 고구려, 신라 보다 정비됨
(2) 사비 천도 후 : 22부 16관등 (삼국사기, 주서) (cf. 솔덕 - 중국식)2. 지방 조직(1) 수도 : 5부 (2) 지방 1) 5방 (5방의 장관 = 방령)2) 방 아래 군 (3명의 군장(長)이 다스림)
* 방령 - 달솔 관등자 임명 → 방령 밑에 방좌를 둠(3) 22담로 : 웅진시대1) 간접지배에서 → 직접지배 (지방관 ‘태수’ 파견)2) 국왕의 자제와 왕족을 보내 다스림
(4) 사비1) 방리제 - 5부 (상•전•중•하•후부), 5항2) 5방 - 37군 [방중 → 군장, 군령] - 200성(현) [성주, 도사]a. 5방 - 동방 (득인성) - 충남 은진, 서방 (도선성), 남방 (구지하성) - 전남 구례,
북방 (웅진성) – 공주, 중방(고사성) - 전북 고부b. 촌락 – 성현, 편호제 실시 - 호적 작성 : ‘전정호구’기준, 재지 세력 약화 - 재지세력은 방사, 군사, 성사로 임명
Ⅳ. 신라1. 중앙 관제(1) 수도 6부 - 사량부, 본피부, 한기부, 습비부, 정량부1) 내물 이후2) 양부 - 국왕배출 (2) 법흥왕 : 17관등제, 병부(3) 진흥왕 - 사정부(관리규찰), 품주 (국가재정)
(4) 진평왕 : 위화부•조부•예부(5) 진덕 여왕 : 집사부, 창부(재정)(6) 관청1) 4단계 체계 - 장관 (令), 차관 (卿), 실무 (대사), 잡무 (史)2) 1관직 복수관등군
3) 국왕 근시기구 - 사인 (법흥왕) / 이내객 (진흥왕)4) 왕실 업무a. 초기 - 대궁, 양궁, 사량궁 별로 운영b. 진평왕 - ‘내성’설치 (장관 : 사신)cf) 신라의 관등 명칭에는 간, 마루 등 족장적 의미를 지닌 것이 많았다.
2. 지방 조직(1) 지방 : 5주 - 실직주 (삼척), 신주 (경기 광주 부근), 사벌주 (상주), 비사벌주 (창녕), 비열홀주 (안변)→ 장관 : 군주 (軍主) (부대인 ‘정’을 거느림), 주 밑에 군(태수), 현(현량)
(2) 2소경 : 중원경(충주), 동원경(강릉)(3) 주 - 군주 (지증왕때 ‘실직주’가 처음)(4) 소경 - ‘아시촌’에 소경이 최초 (지증왕)(5) 군 - ‘당주’파견 (→후에 ‘태수’로 명칭 변경)
(6) 성(촌) - ‘도사’파견, 재지세력 존재 → 법흥왕은 이에 11개의 외위를 둠1) 촌주 a. 재지 세력 중 가장 유력자로 임명, 복수 존재b. 지방민 출신의 하위 관리
c. 진촌주는 5두품, 차촌주는 4두품과 같다.d. 남한산성비에는 郡上 村主, 郡中 村主 등의 명칭이 보인다.2) 사인, 군사 (7) 주, 군, 현의 이직(吏職)에는 토착 세력 임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