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남북국] 4. 통일 신라의 정치 조직 (통일 신라의 중앙관제, 통일 신라의 지방 조직, 9서당 10정, 9주 5소경, 상수리 제도, 외사정, 좌이방부, 우이방부, 창부, 사정부, 시중 중시)

by 소이나는 2013. 7. 6.
반응형


Ⅴ. 남북국의 정치 조직1. 통일 신라의 중앙 정치의 정비(1) 중앙 관제 1) 국왕중심 a. 장관복수제b. 병부 강화 - 6관등제, 대아찬에서 태대각간까지로 높임 → 재상, 사신을 겸직
2) 시중(중시)의 지위를 강화a. 화백회의 보완b. 왕의 지배를 받는 행정부적 성격c. 장관인 중시는 상대등보다 중요시 되는 경우가 있었다.3) 총괄 최고 관부 부재 
4) 복합적 관직제도 - 6전 조직, 5등관제 - 영, 경, 대, 사지, 사5) 골품제와 관질 밀착 운용6) 왕실 국가 사무 분리 → 3궁 통합 때부터 본격화 7) 사정부 : 감찰기관
(2) 14개 관청 정비 : 집사부 아래 위화부 등 13부를 두고 행정 업무 분담 (횡적 편제 - 병렬적, 독립)(3) 민족 융합 정책 1)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우대
2) 9서당 편성 : 민족 융합 정책 (∵ 유민을 중앙군에)“문무왕 10년에 왕은 사찬(沙飡) 수미산(須彌山)을 보내 안승을 고구려 왕으로 봉하였다. 14년 8월에 안승을 보덕왕으로 삼았다.”“문무왕 13년에 백제에서 온 사람으로써 내외관을 마련하였는데, 그 별슬 차례는 본국의 관위에 따라 주었다.”“신무왕 6년에 고구려인으로써 경관(京官)을 마련하였는데 본국의 고나품을 헤아려 이를 주었다.”

soy 한국사,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4) 중국식 명칭 : 집권력 강화 관부 시기 업무 발 해 고 려 조 선 근대 이후집사부 진덕여왕 국가 기밀 정당성 중서문하성 의정부 통리기무아문
병 부 법흥왕 군사•국방 지부 병부 병조 군무아문조 부 진평왕 공물•부역 인부 호부 호조 탁지아문창 부 진덕여왕 재정•회계
위화부 진평왕 관리 임명 충부 이부 이조 내무아문예 부 의례•교육 의부 예부 예조 외무아문, 학무아문영객부 외교•사신접대
승 부 마정•육상 교통 좌이방부 진덕여왕 형률•노비 예부 형부 형조 법무아문우이방부 문무왕
선 부 선박•해상교통 공장부 신문왕 수공업 신부 공부 공조 공무아문, 농상아문예작부 토목•영선
사정부 무열왕 관리 감찰 중정대 어사대 사헌부 도촬원수 상 시중 대내상 문하시중 영의정 합의기관 화백 정당성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의정부비변사 통리기무아문2. 통일 신라의 지방 제도 : 9주 5소경(1) 9주 : 한주, 상주, 웅주, 전주, 앙주, 강주, 무주, 삭주, 명주1) 장관 
a. 명칭 변경 = 군주 ➝ 총관 ➝ 도독 (∵ 군사적 성격에서 점차 행정적으로 변해갔다.)b. 6두품도 취임은 가능 했지만, 진골이 독점 (단서에 ‘진골만’이라 달음)2) 촌주
3) 신라•가야 3주, 백제 3주, 고구려 3주4) 외사정 (外司正)파견 (감찰임무) : 중앙 집권적 통치 조직 강화(문무왕 - 주마다 2인의 외사정) cf. 중앙에는 ‘내사정’(3) 5소경 
1) 군사, 행정, 수도가 구석이라는 약점 보완, 피정복민 회유•감시, 문화보급2) 장관 - ‘사신’3) 충주 - 가장 일찍 소경설치 (우륵, 강수, 김생 등 가야계 귀족들이 사민)
(4) 군 - 태수 / 1인 외사정(5) 현 - ‘소수’, ‘현령’파견     [9주 5소경](6) 상수리 제도 : 지방 호족을 상경(7) 특수 행정구역 - 향•부곡•성 설치 (‘소’는 無 → 고려 때)
서원경 (청주) 1) 민정문서  2) 서원향약(이이)  3) 이인좌의 난  4) 직지심체요절중원경 - 2소경에도 있음 (통일 전에 설치)[김찰기관]  (통일신라) 사정부 ➝ (발해) 중정대 ➝ (고려) 어사대(순마소) ➝ (조선) 사헌부 
➝ (갑오개혁) 도찰원 ➝ (현재) 감사원[대     학] (신라) 국학 → (발해) 주자감 → (고려) 국자감 → (조선) 성균관[왕의 교서] (고려) 한림원 → (조선) 예문관
[언론 자문] (고려) 대성 → (조선) 사간원, 홍문관 → (근대 이후) 중추원[출납 회계] (고려) 삼사 → (근대 이후) 회계심사원[왕실업무]  (고려) 중추원, 밀직사 → (조선) 승정원 → (근대이후) 궁내부
[도서보관]  (발해) 문적원 → (고려) 비서성, 수서원 → (조선) 규장각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북국] 7. 통일 신라의 경제 (민정문서, 촌락문서, 연수유답, 정전, 관료전, 계연, 장보고, 법화원, 교관선, 이슬람상인, 휴경법)  (2) 2013.07.11
[삼국] 14. 삼국의 경제 (삼국 수취제도, 경무법, 두락제, 결부법, 진대법, 귀족 경제, 삼국 농민경제)  (3) 2013.07.10
[남북국] 6. 남국국 시대의 사회 (통일 신라의 사회, 발해의 사회, 금입택)  (2) 2013.07.09
최승로의 시무 28조 내용  (1) 2013.07.08
[남북국] 5. 발해의 통치 조직 (발해의 중앙관제, 발해의 지방 조직, 3성 6부, 5경 15부 62주, 독주주, 좌사정, 우사정, 중정대, 문적원, 주자감, 정당성)  (4) 2013.07.07
[삼국] 13. 삼국의 통치체제, 통치조직 (고구려, 백제, 신라의 중앙관제, 지방 조직, 6좌평, 22부, 5부 5부, 5부 5방, 17관등, 6부, 5주 2소경)  (5) 2013.07.05
[남북국] 3. 발해 (대조영, 고왕, 무왕, 문왕, 선왕, 애왕, 해동성국, 연호, 발해 건국, 발해 멸망)  (5) 2013.07.04
[남북국] 2. 통일 신라 말기 왕의 업적과 사건 (선덕왕, 원성왕, 독서삼품과, 애장왕, 헌덕왕, 김헌창의 난, 흥덕왕, 청해진, 경문왕, 진성여왕, 원종대노의 난, 경순왕, 신라 호족, 6두품)  (2) 2013.07.03
[남북국] 1. 신라 중대 왕들의 업적, 사건 (무열왕, 문무왕, 대왕암, 신문왕, 만파식적, 김흠돌의 난, 효소왕, 성덕왕, 경덕왕, 혜공왕, 9주5소경)  (14) 2013.07.02
[삼국] 12. 삼국 통일 (백제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신라의 삼국 통일, 백제 고구려 부흥운동, 흑지상지, 복신 도침, 검모잠, 소부리주, 기벌포 전투, 매소성 전투)  (6) 2013.07.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