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법률 ※/Soy 민법

소비대차계약

by 소이나는 2008. 8. 6.
반응형
 

소비대차계약


Ⅰ. 서설

    (1) 의의

          금전 기타 대체물의 소유권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은 그와 같은 종류, 품질, 수량으로 반환할 것을 약정하는 것 (598)

    (2) 성질

          1) 편무계약 - 무이자부 소비대차

          2) 쌍무계약 -   이자부 소비대차

          3) 낙성계약

                 판) 경제적 이득을 취득하여야만 소비대차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Ⅱ. 소비대차계약의 성립 (598)


Ⅲ. 법률효과

     (1) 대주의 의무

          1) 소유권 이전의무

                ① 무이자 소비대차의 당사자는 인도전에 언제든 해제할 수 있다(601).

                ② 인도전 일방이 파산선고를 받으면 소비대차는 효력을 잃는다.

          2) 담보책임

                ① 이자부 - 580 ~582 준용

                ② 무이자부 - 원칙적으로 적용하지 않으나, 대주가 하자를 알고서도 고지하지 않은 경우에 적용한다.


          cf) 파산과 계약

                당연 상실             - 소비대차, 위임

                해지사유(즉시 해지)   - 고용, 도급

                유예기간(해지통고 후) - 임대차


     (2) 차주의 의무

          1) 반환의무

               ① 반환 목적물

                     A. 약정시기 차용물과 같은 종, 품, 량으로 반환하고,

                         이렇게 못 할 때에는 그때의 시가로 상환한다(604).

                     B. 금전일 경우 - 강제통용력을 잃으면 다른 통화로 반환한다(604).

             

               ② 대물대차 특칙 (폭리위험)

                     A. 금전에 갈음하여 유가증권, 기타 물건의 인도를 받은 때에는

                        인도시의 가액으로써 차용액으로 한다(606).

                     B. 강행규정 - 차주에게 불리한 것은 무효이다(608).


               ③ 반환시기의 약정이 없는 경우

                     A. 대주 - 상당기간을 정해 반환을 최고

                     B. 차주 - 언제든지 반환 가능


                T) 소비대차에 있어서 반환시기의 약정이 없더라도 그것이 이자부 소비대차라면 차주는 언제든지

                   자유로이 반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X)

                   이자부인지 여부를 불문한다. 이자부 소비대차도 그때까지의 이자를 붙여서 반환하면 된다.




          2) 이자지급의무

               ① 원칙

                     A. 이자지급 약정이 있으면, 이자 지급은 의무이다.

                     B. 이자지급 약정이 없으면, 무이자부 소비대차이다.

                          판) 거래통념상 약정이 있다고 추정된다 할 수 없다. (무이자부로 보니까)


               ② 이자지급 약정시 약정이율이 없으면 법정이율에 의한다.

               ③ 이자에 대한 지연손해금 청구 할 수 있다. 이는 이자가 아닌 손배이다.

                     cf) 금전채무의 지연배상금 채무에 대한 지체책임 발생 시기는 이행청구를 받은 때이다.

               ④ 이자의 계산

                     A. 차주가 목적물을 인도 받은 때부터 계산한다.

                     B. 차주가 책임 있는 사유로 수령을 지체한 때에는 대주가 이행제공한 때부터 계산 한다(6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