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 16. 개화기 외세의 경제 침략과 국민 경제의 모색 (개화기 무역, 이권침탈, 일본의 경제 침탈, 동양척식 주식회사)
외세의 경제 침략과 국민 경제의 모색 Ⅰ. 개항과 불평등 조약 1. 통상 교역 - 개항 (1876) : 강화도 조약 2. 불평등 무역 구조 (1) 무관세, 저관세, 치외법권, 외국화폐유통 허용 (2) 결과 - 피해, 황폐 Ⅱ. 외국 상인의 침투, 무역의 확대 ➝ 무역적자 증가, 토착수공업 성장저지, 곡가의 등귀 초래 1. 개항 초기 일본의 무역 형태 (1) 일본 상인 특징 - 몰락한 상인, 무사층 (2) 개항 초기 1) 거류지 무역 - 수호조규부록 (10리 제한) 2) 약탈적 무역 3) 중개무역 - 곡물 귀금속 ↙ 보부상 ← 개항장 객주·여각 일본내 면직공장 조선인 소비자 소매상 ↙ ↓ ↖ ↓ ← 서울 육의전 ← 일본직영상인 ← 영국상인 ↖ 일본인 내지상인 * 면제품 [상하이, 홍콩, 영국 상인] → 일..
2012. 6. 2.
[개화기] 15. 애국 계몽 운동 (사회진화론, 보안회, 헌정연구회, 대한 자강회, 신민회, 대한 협회, 오세창, 105인 사건, 비밀 결사 단체)
애국 계몽 운동 Ⅰ. 애국 계몽 운동의 전개 1. 배경 (1) 사회 진화론 1) 다윈의 약육강식, 적자생존을 스펜서가 인간사회에 적용 → 개화인사 유길준에 의해 수용 2) 1880년대에 소개 1900년대에 크게 확산 3) 대한협회, 대한자강회, 일진회는 이를 이론적 근거로 삼아 정치·사회활동을 하였다. 4) 계몽운동단체들은 이에 근거하여 식산흥업과 교육장려를 통한 실력양성을 중시하였다. (2) 일진회에 대항 * 일진회 - 송병준, 이용구 → 한일합방 청원서 제출 2. 내용 (1) 전근대적인 사상을 타파하여 자유·평등의 민주적인 근대 국가를 건설하려는 운동 (2) 개화사상과 연결 (3) 정치적으로 입헌군주제 지지 (4) 국권상실은 전제정치와 인민의 우매함 때문이기도 하다. (5) 국교와 국사가 망하지 않으..
2012. 6. 2.
[개화기] 15-1. 개화기 언론 (개화기 신문, 구한말 신문, 한성순보, 최초의 신문, 독립신문, 황성신문, 남궁억, 제국신문, 만세보, 바델, 경남일보, 국민신보)
(1) 한성순보 (1883 ~ 1884) 1) 최초 신문 2) 박문국 3) 국내소식, 서양문화 소개 4) 관보성격의 순 한문 → 한성주보는 국한문 혼용 5) 초기 개화파들이 근대적 개혁을 위해 활용 (2) 독립신문 (1896~1899) - 독립협회 1) 최초의 근대적 일간지 2) 서구 근대 사상과 학문 전파, 서구와 일본의 신문명찬양, 서양문물제도 소개, 대중 계몽 3) 최초의 민간 신문 4) 한글판, 영문판 5) 최초 띄어쓰기 (3) 황성신문(1898~1910) - 남궁억 1) 민족주의 2) 시일야 방성대곡 - 장지연 3) 국한문 혼용체 - 양반, 유생 대상 4) 구본신참 표방, 동도 개화파의 대변지 5) 박은식, 남궁억, 신채호 6) 한문교육을 받은 지식인이 주로 구독 (4) 제국신문 (1998~19..
2012. 6. 2.
[개화기] 14. 항일 의병 전쟁 ( 을미의병, 문석봉, 이소응, 유인석, 이강년, 곽종석, 대한 사민 논설, 활빈당, 러일전쟁, 가쓰라 태프트 조약, 포츠머스 조약, 헤이그 특사, 을사조약, 을사의병, 정..
항일 의병 전쟁의 전개 cf) 임진왜란 의병 - 정문부, 휴정, 유정, 정인홍, 김천일, 김덕령, 고경명, 조헌, 곽재우 cf) 정유재란 - 정봉수, 이립 Ⅰ. 항일 의병 투쟁의 시작 을미의병(1895) → 을사의병 (1905) → 정미의병(1907, 전쟁화) 1. 을미 의병 (1895 - 의병의 발단) (1) 배경 - 일본의 침략, 적극적 저항 (2) 계기 - 을미사변, 단발령 (3) 유생이 주도 (위정척사파) - ‘창의토왜’란 깃발을 들고 봉기, 농민도 참여 (4) 의병장 1) 문석봉 (유성,보은) / 2) 유인석, 이춘영, 안숭우, 홍사구, 김백선, 서상열 (충주, 제천) / 3) 이소응 (춘천) / 4) 허위(선산) / 5) 이강년 (문경) / 6) 기우만 (장성) / 7) 홍주 - 안병찬, 김복..
2012. 6. 2.
[개화기] 11. 삼국간섭, 을미사변, 을미개혁 (고종)
* 삼국간섭 (1895) 1. 독, 러, 프 2. 시모노세키 조약의 내용인 요동 반도의 일본 영유에 대한 반대 ☞ “랴오둥 반도를 일본이 소유하면 청국 수도를 위태롭게 한다. 뿐만 아니라 조선국 독립까지도 유명무실하게 만들고, 동아시아의 영구적인 평화를 가로막을 것이다. 이에 일본 정부에게 랴오둥 반도를 차지하는 것을 포기하기를 권고한다.” 3. 조선은 러시아와 연결하여 일본을 견제하려 함. * 을미사변, 을미개혁 1. 을미사변 (1) 3국 간섭 (프, 러, 독 - 1895) 1)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요동을 일본에 할양 - 러. 프, 독이 반환을 요구 2) 조선 - 친러정부 (2) 제3차 김홍집 내각 - 친러 = 명성황후는 이범진, 이완용 등 친러파와 연결하여 일본 세력의 제거를 시도 (3)..
2012. 6. 1.
[개화기] 12. 아관 파천, 독립협회 (춘생문 사건, 헌의 6조, 독렵협회 3대 사상, 자주국권, 자유민권, 자강개혁, 익명서사건, 관민공동회, 독립문)
Ⅰ. 아관 파천, 독립협회 1. 춘생문 사건 1) 이범진 2) 국왕 미 공사관에 이어 → 친일 타도 → 실패 2. 아관파천 (1896) : 고종이 러 공사관으로 (1) 배경 - 1) 반일정서 2) 개혁 불만 3) 을미사변 - 신변위협 4) 러시아의 세력 만회 (2) 결과 - 1) 친러내각 2) 개화파 정부 와해 3) 열강의 침탈 강화 4) 고문파견 - 알렉세프 3. 독립협회의 창립, 구성 (1) 창립 (1894) - 서재필, 독립신문(신문을 먼저 창간후 협회 설립, 순한글) (2) 서재필, 윤치호, 이상재 (개화파) / 남궁억, 정교 (유학자 - 황성신문계열), 이완용, 안경수 cf) 공식기관지는 ‘대조선독립협회회보’ - 독립신문은 비공식 일간신문 (3) 도시 시민층, 광범위한 사회층 지지, 서양의 자유..
2012. 6. 1.
[개화기] 9. 동학 농민군의 봉기 (교조 신원 운동, 삼례집회, 서울 복합 상소, 보은 집회, 금구 집회, 사발통문, 고부민란, 우금치 전투, 황토현 전투, 녹두장군, 전봉준, 북접, 남접 송병희, 사발..
* 동학 농민군의 봉기 1. 교조 신원 운동 (1) 1차 - 삼례 집회 (1892) = 전라 감사의 거부로 실패 (2) 2차 - 서울 복합 상소 (교조 신원 복합상소) (1893) - 국왕에 상소 = 실패 (3) 3차 - 보은 집회 (1893) 1) 종교 운동 - 농민운동 전환 2) 정치적 구호 - 일본 축출, 탐관오리 처벌 (4) 전라도 금구집회 - 전봉준 (척왜창의) 2. 배경 (1) 정부의 대책 미비 (2) 농촌 파탄 - 농민 불안, 불만 (3) 확산 - 3남 중심, 농민 요구에 부합, 조직정비 (포접제 조직) (4) ‘청’이 강세인 시기 3. 전개 1894. 1月 고부민란 (만석보)→ 안핵사 파견 3月 1차 봉기 (남접), 강령 3月~4月 황토현 전투 승리 4月 전주 점령 5月 전주화약체결, 집강..
2012. 5. 31.
[개화기] 8. 개항 이후 국내외의 상황 (열강의 침략, 러일 협상, 베베르 고무라 각서, 로마노프 야마카타 협정, 로젠 니시 협정, 거문도 점령 사건, 중립론, 유길준)
개항 이후 국내외의 상황 1. 열강의 침략 경쟁 격화 (1) 청일의 대립 (2) 러시아의 확대 1) 친러 2) 조러 통상조약 (1884) - 베베르 (청 견제) 3) 조러 비밀협정(1886) 추진 - 러시아 군대 파견 → 청의 반대로 폐지 = 청은 대원군을 귀국시키고 묄렌도르프를 ‘데니’로 교체 4) 데니 ‘청한론’ - 청국의 고종 폐위 음모 고발 5) 조러 육로 통상 조약 (1888) - 경흥 개방, 두만강 운항권 cf) 러일 협상 1) 베베르·고무라 각서 - 친러정부 인정, 일본의 을미사변 책임인정 2) 로마노프·야마카타협정 - 38선으로 나누자 = 로마노프의 거부 3) 로젠·니시 협정 - 대한의 주건, 독립 확인, 내정 불간섭 약속 cf) 러시아 견제 1) 나선정벌(청) 2) 병인박해 이전 프랑스를..
2012. 5. 31.
[개화기] 7. 개화당의 개혁운동, 갑신정변 (개화당,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우정국사건, 한성조약, 톈진조약)
개화당의 개혁운동 Ⅰ. 개화당 1. 형성 (1) 정치 - 박규수, 유홍기 → 김옥균, 박영효, 유길준 (2) 온건 개화파 1) 양무운동에 영향 받음 (중세처용) 2)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3) 동도 서기론 - 윤선학, 곽기락 “바꾸려는 것은 기이지 도가 아닙니다.” 4) 청, 사대당, 수구당 5) 민씨에 참여 6) 기술만 수용 (3) 급진 개화파 1) 메이지 유신에 영향 받음 (문명개화론) 2) 김옥균, 박영호, 홍영식, 서광범, 서재필 3) 개화당, 독립당 4) 갑신정변 5) 사상, 제도까지 수용 (soy한국사) cf) 홍영식 - 보빙사, 우정총관, 병조참판 ☞ “우리는 돈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지금 빈손으로 돌아가면 집권 사대당이 나를 비판하며 궁지에 몰아넣을 것이다. 어쨌든 우리 당)..
2012. 5. 31.
[개화기] 6. 임오군란 (위안스카이, 묄렌도르프, 상민수륙무역장정, 제물포 조약, 별기군)
임오군란 (1882 6. 9) 1. 원인 - 구식 군대 차별 (신식군 - 별기군, 교련병대) [별기군] T) 정부는 개화 시책으로 일본에 산업 시찰단을 파견하였고, 근대 교육 기관을 설립하여 근대적 학문을 가르쳤지만, 일본의 간섭으로 군제 개혁은 없었다? (X) ☞ 별기군 2. 경과 (1) 구식군대에 빈민도 가담 (미곡이 일본에 유출되 쌀값 폭등으로 경제적 압박) (2) 일본 공사관 습격, 대원군에 도움을 청함, 선혜청 창고인 도봉소 습격 (3) 민씨를 축출함 (청에 도움 요청) (4) 대원군 재집권 → 통리기무아문 폐지, 5군영 부활 (5) 청이 군대를 파견 → 대원군 압송 (soy 한국사) ☞ 「영의정 홍순목이 아뢰기를, “~ 일전에 훈련도감 출신 군졸들이 응당 받아야 할 곡식을 섬을 완전히 채우지 ..
2012. 5. 31.
[개화기] 5. 위정척사 운동 (이항로, 기정진, 유인석, 최익현, 왜양일체론, 개화반대, 이만손, 홍재학, 영남만인소)
위정척사 운동 1. 취지, 내용 (1) 전통적 유고질서와 의식을 존중하여 옛날 성현의 정치를 본받기를 주장 (2) 내수외양 주장 (3) 인륜기준 (4) 경제에도 관심 (5) 조선, 중국이 理, 왜와 양은 氣 - 서양만이 아닌 일본도 배척 2. 이항로, 기정진 → 유인석, 최익현 = 보수적 유생층, 성리학의 주리론에 기초, 반외세 자주운동, 봉건질서 유지, 기득권 3. 전개 과정 (1) 1기 = 1860년 - 병인양요, 통상반대운동, 척화 주전론(이항로, 기정진) “사학의 무리를 잡아 베고, 바다 건너 온 적을 정벌 ~~” (2) 2기 = 1870년대 1)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 2) 개항반대운동 - 왜양일체론 (최익현- 5불가론, 유인석) (3) 3기 = 1880년대 - 개화반대 1) ‘조선책략’유포..
2012. 5. 30.
[개화기] 4. 개화 정책 (개화 사상, 통상 개화론,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수신사 파견, 조사 시찰단, 영선사, 보빙사, 신사유람단, 조선책략)
개화 정책 1. 개화사상 * 통상 개화론 1) 북학파 실학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2) 통상개화론 (박규수) - 양무운동(오경석), 문명 개화론 (후쿠자와 유키치)에게 영향을 받음 3) 온건개화파, 급진 개화파 a. 온건 개화파 - 개화정책 (김홍집, 어윤중, 김윤석) ➝ 양무운동 (민씨 정권과 대체로 연결) b. 급진 개화파 - 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 메이지 유신 4) 근대적 개화 운동, 외세 의존적, 민중의 지지 미약, 일부 개화 지식인 5) 애국 계몽운동으로 연결 (X- 서방의 천부인권) T) 홍재학은 통상 개화론을 주장하였다? (X) ☞ 홍재학 : 척화 상소문, 개화 반대 T) 개화사상은 안으로는 실학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고, 밖으로는 청의 양무운동과 일본의 문명 개화론의..
2012.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