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oy 국사320

[조선] 11. 조선 전기 조직과 기관 (정3품, 종3품, 내수사, 전함사, 전연사, 장원서, 사포서, 경관직, 장계, 서계, 윤대, 권당, 구언) 1. 정3품 아문장례원노비문서, 송사사옹원왕실 음식물관상감천문, 풍수예빈시사신, 정승 음식상서원옥새, 군사지위내의원납부 약 조제사역원번역사섬시화폐, 외거노비 신역통례원의식상의원의복, 금은 관리사복시수레, 말제용감조공 진헌봉상시제사군자감군수, 저축군기시무기장학원음악종부시왕실족보사재감소금, 생선, 횃불사도시왕궁 창고전의감왕실 내 의약2. 종3품 아문* 세자시강원 (세자계도)3. 정4품 아문종학종실교육전설사장막공급광흥창관원의 녹봉수성금화사궁성도성 수축, 화재진압풍저창미두 등 물품4. 종4품 아문1) 전함사 - 전함 건조 / 2) 전연사 - 궁청소5. 정5품 아문* 내수사 - 왕실 재정T) 왕실 경비는 정부에서 지출하게 하는 궁부일체의 제정 구조를 만들었다.6. 종5품 아문소격서초제평지서시장감독, 도량형 단속,.. 2014. 1. 28.
[조선] 10. 조선 전기 기관 (승정원, 의금부, 삼사, 한성부,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 경연, 4관, 예문관 교서관, 승문원, 춘추관) (3) 승정원 (왕권강화)1) 비서기관, 왕명 출납2) 6방 설치a. 도승지 (정3품, 아문) - 비서실장격 b. 6승지 (정3품)3) 후임자의 자천권이 있었다.(4) 의금부 (義禁府, 왕권강화) 1) 죄인 심문, 법률 집행 - 판사 (종1품, 아문) / 지사 (정2품)2) 지위고하 신문막론 처벌3) 왕 직속 최고 법사(5) 한성부 (漢城府 , 왕권강화) 1) 서울의 행정 치안, 호구대장, 사장, 순찰, 부채 등 담당 - 판윤 (정2품) / 좌•우윤 (종2품)2) 사법권, 소송, 도적 징계(6) 삼사1) 비리 감찰, 정사 비판 언론 기능a. 사헌부 - 시정을 논, 관원을 규찰, 억울한 일, 감찰 (종2품 아문)b. 사간원 - 정자의 잘못을 논박, 상소, 간쟁, 논박 (정3품 아문) (cf. 고려 - 중서.. 2014. 1. 27.
[조선] 9. 조선 전기 조직, 기관 (의정부, 6조 (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 속아문)) 3. 중앙 정치 조직 (경직)(1) 의정부 (議政府)1) 경관직 총괄 - 재상들의 합의로 국정 총괄2) 재상권과 합의제의 발달 (영의정, 정1품)* 도평의사사보다 권한이 약화1. “의정부의 서사하는 권한을 6조에 귀속시켰다. ~ 처음에 왕은 의정부의 권한이 지나치게 큰 것을 염려하여이를 혁파하려 하였다. 의정부가 관장한 것은 사대 문서와 중죄인에 대한 심의뿐이다.” 「태종실록」 ☞ 6조 직계제(1) 재상의 권한이 강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O)(2)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한 정책이었다? (O)2. “6조 직계제를 시행한 후의 일의 크고 작음이나 가볍고 무거움이 없이 모두 6조에 붙여져 의정부와 관련을 맺지않고, 의정부 관여 사항은 오직 사형수를 논결하는 일뿐이므로 옛날부터 재상을 임명.. 2014. 1. 26.
[조선] 8. 조선 전기 정치 조직, 기관 (당상관, 당하관, 참상관, 참하관, 행수법, 대가제, 한품서용제, 순자법, 계고직비) Ⅱ. 중앙의 정치 1. 정치 체제 확립(1) 정치 체제의 법제화 - 경국대전(2) 관리의 구분 - 30등급 (18품 30단계)1) 직책에 따라가. 산관 - 자체가 관직은 아님a. 영직 (무급) - 세종 ~b. 노인직 (무급) - 성종, 80세 이상c. 봉조하(유급) - 당상관에 실직자까지 녹봉지급나. 직관 - 실제 직책a. 정직 (유급)b. 체아직(유급) - 직업군인, 하급기술관, 임시시험실시, 적은 수의 서용위해 실시c. 무록관(무급) - 포폄성적이 나쁜 자, 차별2) 관계에 따라가. 당상관 a. 정3품 상계 (문반 - 통정대부 / 무반 - 절충장군) 이상 통칭b. 왕과 논의, 주요관서 책임자c. 순자법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국왕에 의해 직접 승진여부가 결정나. 당하관a. 실무담당b. 정3품 하직 이하 .. 2014. 1. 25.
[조선] 7. 문종, 단종, 세조, 성종 (계유정난, 독서당, 도첩제 폐지, 유향소 폐지, 홍문관, 6조 직계 부활) 5. 문종, 단종(1) 왕권 약화(2) 재상 중심의 정치 - 김종서, 황보인 ➝ 수양대군이 김종서 등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름(3) 이징옥의 난 (단종 1453) - 함길도 조절제사 이징옥이 ‘대금황제’라 칭하고 반란6. 세조 (1455~1468) - 왕권 강화(1) 계유정난 (癸酉靖難 ) (1453) - 사육신과, 김종서, 김시습 등 생육신을 제거 (→ 훈구파 형성 시작)(2) 6조 직계제 부활“상왕(단종)이 어려서 무릇 조치하는 바는 모두 대신에게 맡겨 논의 시행하였다. 지금 내가 명을 받아왕통을 계승하여 군국 서무를 아울러 모두 처리하며, 조종의 옛 제도를 모두 복구한다.”(3) 경국대전 편찬 시작 - 호전•형전 간행(4) 집현전 폐지 - 사육신 제거 계기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유지, 유성원,.. 2014. 1. 24.
[조선] 6. 세종 대왕 (세종의 업적, 집현전, 전제 상정소, 공법 상정소, 남형 금지, 쓰시마 정벌, 이종무, 세종 시절 편찬, 향약 집성방, 첨사원, 농사직설) 4. 세종 (1418~1450)(1) 집현전 (集賢殿) 설치1) 왕립 학술 연구 기관, 유교연구, 경연 ➝ 후에 홍문관, 규장각으로 이어짐2) 중국 고전, 고제 연구, 서적편찬 3) 경연, 서연 (X- 간쟁, 논박)4) 국가제도, 문물정비5) 수문전, 보문각의 후신(2) 유교적 왕도정치1) 의정부 서사제 - 왕의 권한을 의정부에 넘겨줌, 재상 들을 등용 ➝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중심2) 윤리 강조 - ‘주자가례’, ‘국조오례의’ (國朝五禮儀)(3) 왕권, 신권의 조화 노력(4) 유교적 민본 사상을 실현1) 인재 발굴, 청백리 재상 등용2) 여론 존중(5) 민생 안정책1) 전제 상정소 (田制詳定所) 설치 - 전분6등법2) 공법 상정소 (貢法詳定所) 설치 - 연분9등법 (공법 실시)3) 형벌 제도 개선 .. 2014. 1. 23.
[조선] 5. 조선 정종, 태종 (6조 직계제, 호패법 실시, 신문고 설치, 서얼금고법, 자녀안, 서얼차대법, 삼가 금지법) 2. 정종 (1398~1400)(1) 개경 천도,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개편 (2) 2차 왕자의 난 (방간의 난, 1400) - 방간이 박포와 방원에게 도전 ➝ 실패(3) 관제 개혁1) 도평의사사 폐지, 의정부 설치2) 중추원을 삼군부(三軍府)로 개칭3) 승정원 (承政院) 설치3. 태종 (1400~1418)(1) 왕권의 강화,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1) 공신 세력 제거 (정도전 제거)2) 6조 직계제 실시 - 재정•군기•인사권을 6조에 귀속 (cf 이전에는 사평부, 승추부, 상서사에서 장악) → 의정부 약화3) 대신, 외척 견제 - 사간원 독립 (∵ 최초로 독립된 간쟁기구)4) 사병혁파(2) 국가 재정 기반 안정1) 양전 (量田)사업 - 토지 대장인 양안 (量案) 작성 (20년마다)2) 호적 작성 .. 2014. 1. 22.
[조선] 4. 조선 태조와 정도전 (한양천도, 불씨잡변, 진도, 조선경국전) [2] 근세 정치적 변화 정치 체제의 확립태정태세 문단세 예성인명 선광인 효현숙경 영정 순헌철 고순Ⅰ. 국왕 중심의 통치 체제 정비1. 태조 (1392~1398)(1) 3대 정책 - 숭유 억불, 중농억상, 사대교린(2) 국호 제정 : 조선(3) 한양 천도 (1391)1) 한강의 수로 교통, 풍수상 명국, 국로의 중심2) 한강 정비 - 경복궁, 종묘, 관아 등 설치 “안팎의 형세가 훌륭한 것은 옛날부터 이름난 것이요, 사방으로 통하는 도로의 거리가 고르며 배와 수레도 통할 수 있으니~” – 태조실록(x- 백제 도읍지로 오랜 역사를 간직 : 조선은 고조선을 계승)(4) 정도전1) 왕도 정치를 바탕으로 재상 중심 정치 주장 ➝ 실현방안 : 경연제도 실시“임금으로 하여금 올바른 경지에 들게 하여야 한다.”2) .. 2014. 1. 21.
[조선] 3. 조선 건국 (근세사회) 경연제도2. 조선 왕조를 근세 사회로 규정하는 이유(1) 중앙 집권적으로 제도 개편, 양반 관료체제의 기틀 마련(2) 양인 수의 증가와 권익 신장(3) 교육의 기회 확대와 민족 문화의 기반 마련X - 상공업에서의 영리성 제고로 독점적 도매상인 성장3. 시대순성리학적 대의명분을 존중 (조선 초) → 자주적 입장에서 고려사를 재정리 (세종) → 존화주의적•왕도주의적 정치의식이 반영 (16c) → 우리나라 역사의 정통성을 강조 (18c)4. 아래 사실들을 종합하여 파악할 때 조선 초기의 상황에 가장 적절한 것은?1) 평양에 단군 사당이 건립 2) 구월산에 삼성사가 건립 3) 원구단을 세워 제사를 지냈다.☞ 민족의식을 강조하였다.(오답으로 나온 것 - 도교 사상이 유행하였다. 농본주의 정책을 추진하였다.)[고려.. 2014. 1. 20.
[조선] 2. 신진 사대부의 성장, 고려의 멸망 (급진 개혁파, 온건 개혁파, 요동정벌, 위화도 회군, 폐가 입진, 과전법, 조선 개창, 하여가, 단심가, 길재, 원처석) soy 한국사, soy 국 근세 사회의 성립Ⅰ. 신진 사대부의 성장1. 특징(1) 진취적(2) 성리학(3) 과거로 진출2. 신흥 무인 세력과 제휴 - 이성계 중심권문세족신진 사대부중앙 고관지방 향리음서과거대농장재향 중소 지주비유학성리학불교배불론자친원친명파최영, 이인임정도전, 조준Ⅱ. 고려의 멸망1. 고려 사회의 모순(1) 권문세족의 발호 - 중앙 집권 약화, 왕권 쇠퇴(2) 공민왕의 개혁 정치 실패 - 원의 압력, 군문세족의 반발(3) 사대부의 분열1) 사원 경제의 폐단과 토지 소유 등 개혁의 방향을 놓고 의견이 다름2) 온건 개혁파 - 이색, 정몽주 - 고려 왕조의 틀 안 점진적 개혁 (다수)3) 급진 개혁파 - 이성계, 정도전 – 역성혁명 (소수)급진 개혁파 (혁명파)온건 개혁파 (온건파)왕조 자체 .. 2014. 1. 19.
[조선] 1. 근세사회 (조선전기 연표) soy 한국사, soy 국사, 한국사, 국사, 교육, 사회, 역사, 일라뽕구, 조선,soy 블로그(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2014. 1. 19.
[고려] 41. 고려 서예, 고려 그림, 고려 음악 (양류관음도, 수월관음도, 천산대렵도, 부석사 조사당 벽화, 관음 보살도, 탄연, 신품4현) Ⅳ. 서예, 그림, 음악1. 서예(1) 전기1) 왕희지체, 구양순체 (장단설)2) 신품 4현 = 유신, 탄연, 최우, (신라시대의 김생) [용주사 종] [천흥사 종]3) 잡과에 ‘서업’을 둘 정도로 중시(2) 후기1) 조맹부의 송설체 (원 간섭기)2) 이암 (cf. 이암 - 농상집요 소개)2. 그림 [탄연의 글씨 – 문수원 중수기](1) 전기 - 이령 「예성강도」, 이광필 - 그림이 전해지지는 않음(2) 후기 1) 「천산대렵도」(天山大獵圖) - 원대 북화가 영향 , 공민왕이 그린 것으로 추정2) 문인화발달, 사군자(3) 불화1) 지상보살도, 관음보살도2) 혜허 : 관음보살도(양류관음도, 楊柳觀音圖) (후기)3) 수월관음도 (水月觀音圖)(14c) : 현재 일본 소장(4) 사경화 - 불교 경정을 필사하거나 .. 2014. 1. 16.
[고려] 40. 고려 청자, 고려 자기 공예, 고려 금속공예, 고려 나전칠기, 고려 범종 (용주사종, 천흥사종, 나전 국당초문 염주함, 청동제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청자 삼가아 운학문 매병, 청자 .. Ⅲ. 청자, 공예 1. 공예 발전 2. 자기 공예(1) 순수 비색 청자 - 11세기, 중국에서 극찬(2) 고려도경 - 송나라 사신 서긍이 전한 견문록 (인종1123) - 이자겸, 김부식, 벽란도, 고려자기, 고려 모시 소개(3) 상감 청자 (12세기 후반 - 이자겸의 난 시기)1) 신라말 햇무리굽 청자 제작 기술을 토대로 송의 자기 기술을 받아 들여 독창적 기법 개척 2) 상감법 - 나전칠기, 은입사 공예에서 응용 ➝ 표면을 파낸 자리에 백토•흑토•적토 등 초벌구이를 한 후에 청자유를 입혀 재벌구이 하는 방법3) 청자 산지 - 전라 강진, 부안4) 원 간섭기 - 북방 가마의 기술이 도입되며 빛깔도 퇴조 ➝ 분청사기로 바뀜 “도기의 빛깔이 푸른 것을 고려인 들은 비색이라고 하는데, 근년에는 만드는 솜씨와 .. 2014. 1. 15.
[고려] 39. 고려 건축, 고려 조각, 고려 석탑, 고려 승탑, 고려 불상 (주심포식, 다포식, 개성만월대, 강릉 객사문, 안동 이천동 석불, 정토사 흥국법사 실상탑, 공주 갑사 승탑, 고달사지 승탑, 법.. Ⅱ. 건축, 조각1. 예술의 특성 - 귀족, 불교2. 건축(1) 전기1) 궁궐 - 개성 만월대의 궁궐터2) 사원 - 헌화사, 흥왕사 [개성만월대]3) 강릉 객사문 - 가장 오래된 최고의 문, 주심포식, 맞배지붕형식(2) 후기 [강릉 객사문]1) 주심포식 (柱心包式) 건물 a. 공포(拱包)가 기둥 위에만 - 전기에 주로 유행b. 안동 봉정사 극락전 (가장 오래),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8작지경, 단층, 배흘림기둥), 예산 수덕사 대웅전 (배흘림양식, 맞배지붕형식) 2) 다포식 (多包式)건물 a. 기둥 사이에도 공포가 있음 - 후기 원의 영향b. 성불사 응진전, 석왕사 응진전, 심원사 보광전 [주심포 양식] [다포양식][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성불사 응진전]3. 석탑(1) .. 2014. 1. 14.
[고려] 38. 고려시대 문학 (고려시대 책, 파한집, 죽림고회, 이인로, 국순전, 패관문학, 동명왕편, 진화, 이곡, 서경별곡, 청산별곡, 가시리) 귀족 문화의 발달Ⅰ. 문학의 성장1. 고려 전기의 문학(1) 향가1) 초기 : 광종 때 ‘균여’가 지은 보현십원가 11수가 「균여전」에 전해짐2) 보현십원가 - 불경을 향가로 풀이3) 중기 - 예종 때 현화사의 낙성식에서 향가를 짓게 함, 하지만 향가는 한시에 밀리기 시작(2) 한문학1) 성종 이후 성행 ➝ 박인량, 정지상, 김황원, 정습영2) 독자적 모습2. 중기의 문학 - 당•송의 한문학 숭상 경향 = 사대성, 보수성3. 무신 집권기(1) 초기 수필 형식 저술1) 낭만적, 현실 도피적 경향2) 이인로 (李仁老) - 파한집 (破閑集) (한가로움을 깨뜨리는 뜻) [파한집]3) 임춘 (林椿)- 국순전 (麴醇傳) = 술을 의인화 “주인공 국순의 조상은 농서(隴西 : 중국 甘肅省에 있는 고을의 이름) 사람으로.. 2014.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