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법률 ※/Soy 헌법

집행에 관한 권한

by 소이나는 2008. 8. 25.
반응형
 

집행에 관한 권한

   

   1. 최고의사 결정권, 최고지휘권 - 행정부 수반

       

   2. 법률집행권

       

   3. 외교에 관한 권한

      (1) 조약체결⋅비준 - 국무회의심의, 헌법 제60조 1항의 조약은 국회의 동의

      (2) 외교사절의 파견, 접수

      (3) 선전포고, 강화권 - 국무회의 심의, 국회의 동의

      (4) 국군의 해외파견권 - 국회의 동의

      (5) 외국군대의 국내주류허용권 - 국회의 동의

       

   4. 정부구성권, 공무원 임명권

       


대통령의 공무원 임면에 대한 제약

국회의 동의

 ① 대법원장,  ② 대법관,  ③ 국무총리,  ④ 감사원장,  ⑤ 헌재소장

타 기관의 제청

 ① 대법관(대법원장),  ② 국무총리(국회),  ③ 행정각부의 장(국무총리),  ④ 감사위원 (감사원장)

타 기관의 선출

 헌재소 재판관 3인 (국회)

타 기관의 지명

 헌재소 재판관 3인 (대법원장)

국무회의의 심의

 ① 검찰총장,  ② 합동참모의장,  ③ 각군참모총장,  ④ 국립대학교총장,

 ⑤ 대사,      ⑥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        ⑦ 국영기업체의 관리자

   5. 재정권

        예산안편성제출권, 준예산집행권, 예비비지출권, 추가경정예산안편성제출권,

        국채모집권 및 예산외 국가부담계약체결권, 긴급재정경제처분명령권, 결산심사권


  6. 영전수여권

       

  7. 국군통수권

       (1)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하는 권한을 갖는다. (헌법 제74조 제1항)

       (2) 통수 - 군령과 군정에 관한 권한을 행사함

             1) 군령 - 군을 동원, 작전, 지휘하는 용병작용

             2) 군정 - 군을 조직, 편성, 관리하는 양병작용

       (3) 국군의 기본구조

             1) 정치적 중립주의

             2) 군정⋅군령의 일원주의 - 대통령이 통합적으로 운영(병정통합주의) → 정부가 군부 완전지배

             3) 각군 분리주의 - 군 내부의 견제, 균형

             4) 조직의 법정주의 - 법률로 정한다.





             5) 문민통제주의 - 군인은 현역을 면한 후가 아니면 국무총리나 국무위원으로 임명될 수 없다. (헌법)

                                따라서 국방부 장관은 현역출신이어서는 안 된다.

             6) 문민 우위의 원칙

                 ① 헌법에 직접 규정 無

                 ② 대통령의 군수통수권행사에 있어 중요사항은 국무회의 심의, 국무위원의 부서를 요구한다.

                 ③ 선전포고시 국회의 동의

       (4) 군사제도

            1) 군사재판권 - 대법원

            2) 광범위한 입법형성권 - '최적의 전투력유지', 국가 안보와 직결

            3) 군인도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 - 인적, 물적 주권자인 국민 부담을 기초로 성립, 유지된다.

            4) 제5조 2항 - 국가안전보장, 국토방위 신성의무, 정치적 중립

            5) 제33조 제3항 - 주요방위산업체 근로자 단체행동권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해 부정할 수 있다.

            6) 군형법상 군사기밀과 군사기밀보호법상의 기밀을 다르다.

            7) 국가안전보장회의 - 대외, 국내, 군사정책 대통령 자문 (통일 정책은 x)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