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법률 ※/Soy 형법

구성요건적 착오의 한계 사례와 고의의 성부

by 소이나는 2009. 7. 29.
반응형
 

구성요건적 착오의 한계 사례와 고의의 성부


   1. 문제점


   2. 구체적 부합설

       * 비판

           1) 사람을 살해할 고의로 사람을 살해했음에도 불구하고 살인미수라는 것은 일반인의 법감정에 반한다.

           2) 고의의 기수 책임을 인정하는 범위가 지나치게 협소해진다.

           3) 객관적 착오와 방법의 착오를 달리 보는 근거가 명백하지 않다.


   3. 법정적 부합설 

        * 비판

           1) 평가적 측면을 강조하여 고의의 사실적 기초를 무시한다.

           2) 고의 전용을 넓게 인정한다.


   4. 추상적 부합설

        * 비판

           1) 항상 경죄의 기수를 인정한다.

           2) 행위자의 의사에 부합하지 않는 사실에 대해서까지 고의를 인정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에 반한다.


   5. 병발착오


       (1) 인식사실이 실현된 경우 - 甲이 乙살해고의 → 乙사망, 丙도 사망

             * 구체적.법정적 부합설 - 乙기수 + 丙과실치사 = 상상적 경합

            

       (2) 인식사실이 실현되지 않은 경우 - 甲이 乙살해고의 → 乙상해 → 丙 사망

             1) 구체적 부합설 - 乙 살인미수 + 丙과실치사 = 상상적 경합

             2) 법정적 부합설

                ① 죄질부합설 - 丙살인기수 (乙의 상해는 흡수)

                       * 비판 - 가해자가 없게 된다.

                ② 구성요건부합설 - 丙살인기수 + 乙과실치상

                       * 비판 - 乙의 고의가 과실로 바뀌었다.

                ③ 수고의설 - 丙살인기수 + 乙살인기수

                       * 비판 - 하나의 고의가 2개로 변신

                ④ ? - 丙과실치상 + 乙살인미수

                       * 비판 - 법정체계를 무시했다.


   6. 공범과 교사범

    

      (1) 정범이 객체를 착오한 경우

            1) 구체적 부합설 - 교사범.간접정범에게는 방법의 착오 (多)

            2) 법정적 부합설 - 교사범.간접정범에게도 객체의 착오

      (2) 정범이 방법의 착오한 경우

            1) 구체적 부합설 - 교사범.간접정범에게는 방법의 착오 (의사일치)

            2) 법정적 부합설 - 교사범.간접정범에게도 방법의 착오

   

  * 甲이 (丙을 살해하라 교사) → 乙이 발사 → 丁이 사망

     (1) 乙

        1) 구체적 객체의 착오

              구체적 부합설 - 丁살인기수

              법정적 부합설 - 丁살인기수

        2) 구체적 방법의 착오

              구체적 부합설 - 丙살인미수 + 丁과실치사

              법정적 부합설 - 丁살인기수

     (2) 甲 (乙의 객체의 착오인 경우)

        1) 구체적 부합설 중 다수설 - 丙살인교사의 미수 + 丁과실치사

        2) 법정적 부합설 - 丁살인교사


[판례]

 1) 처를 살해할 의사로 농약을 숭늉그릇에 놓아두었는데 장녀가 사망 - 장녀에 대한 살인죄

 2) 3명과 싸우다 힘이 달리자 식칼로 휘두르다 말리던 丙에게 상해 - 고의 인정 (과실치상죄가 아니다.)

 3) 乙을 향해 살의를 갖고 소나무 몽둥이로 쳤으나 업힌 丙이 맞아 사망 - 타격의 착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