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수공업자1. 고려 전기(1) 관청 수공업 1) 부역 동원, 공장안(工匠案)에 올려 물품 생산2) 최고 미20석, 최하 도7석에 녹봉에 해당하는 ‘별사’의 대우T) 관청에 소속되지 않은 공장들도 공장안에 올라 일정기간 공사에 징발되었다.* 공장안 : 기술자 조사 장부(2) 소(所) 수공업 : 공물로 납부, 전업적 수공업 집단 (장인들은 거주∙이전의 자유가 없었다.)(3) 가내 수공업2. 고려 후기(1) 민간 수공업1) 농촌의 가내 수공업 중심 : 삼베, 비단, 모시, 명주2) 다양화 : 대나무 제품, 종이 등3) 유통 경제 발전(2) 사원 수공업 : 제지, 직포“승려들이 심부름꾼을 시켜 절의 돈과 곡식을 각 주군에 장리를 놓아 백성을 괴롭히고 있다.” – 고려사절요“지금 부역을 피하려는 무리들이 부처의 이름을 걸고 돈놀이를 하거나 농사, 축산을 업으로 삼고 장사를 하는 것이 ~범패를 부르는 장소는 파∙마늘의 밭이 되었다. 장사꾼과 통하여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팔고 사기도 하며, 손님과 어울려 술 먹고 노래를 불러 절간이 떠들썩하다.” – 고려사Ⅳ. 상업활동- 농업에 의존하였기에 상공업은 그리 발달하지 못하였다. 자급자족 위주의 경제활동1. 고려 전기(1) 도시 상업1) 시전 설치 (개경) : 관청, 귀족이 이용2) 관영 상점 설치 (개경, 서경, 동경) : 서적, 약점, 주점 등3) 비정기적인 시장4) 경시서 (京市署) 설치 : 상행위를 감독 “경시서는 시장에서 사고파는 물건의 가격을 안정시키고, 속이는 것을 금지하며, 세금 부과를 감독하는 등의 일을 관장하는데, 영(令) 1명 종5품이고, 승(丞) 2명 종6품이고, 주부(主簿) 2명 종8품이다.” – 조선왕조실록 (2) 지방 상업1) 관아 근처에 시장 형성2) 행상 (行商) : 돌아다니며 판매, 일용품3) 장시 - 미•포로써 화폐를 삼아 물물 교환4) 불교사원 - 적극 참여(3) 화폐 유통 미미2. 고려 후기(1) 개경의 상업 활동1) 시전 규모 확대2) 항구 발달 : 벽란도(2) 지방의 상업 활동 : 미곡, 생선, 소금, 도자기(3) 경제 구조 변화1) 소금 전매제 (轉賣制) 시행 - 각염법 (충선왕)2) 관청•관리•사원(곡물, 수공업) 등의 개입3) 상인•수공업자의 성장(x- 촌락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물가가 뛰어올랐는데 장사하는 자들이 조그마한 이익을 가지고 서로 다투었다. 최영이 이를 미워하여 무릇 시장에 나오는 물건은 모두 경시서로 하여금 물가를 평정(評定)하고 세인(稅印)을 찍게 하고 난 뒤에 비로소 매매하게 하였고, ~ 그러나 이 일은 마침내 [고려의 산업 중심지와 고려의 교통로]시행되지 못하였다.” – 고려 후기 상공업의 발달을 막지 못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