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Soy 한국사 ※

[고려] 28. 고려 시대 화폐주조, 고려의 무역활동 (건원중보, 삼한통보, 해동통보, 활구, 쇄은, 저화, 장생고, 보, 아라비아 상인, 고려 수출품, 고려 수입품, 팔관보, 금종보, 광학보, 경보, 제위..

by 소이나는 2013. 10. 8.
반응형


Ⅴ. 화폐 주조와 고리대의 유행1. 주조 : 이익금을 재정에 보탤 수 있음(1) 배경 : 상업 활발(2) 이점 : 이익금을 재정에 보탬(3) 발행1) 성종 : 건원중보 (乾元重寶), 유통은 실패 (실효성이 적었다.), 최초의 철전2) 숙종a. 동전 = 삼한통보, 해동통보, 해동중보b. 은전 = 활구 (闊口) (은병 - 의천(숙종의 동생)의 주장, 우리나라 지형을 본떠 만듦)3) 충렬왕 : 쇄은 (碎銀) - 은을 무게로 달아 사용4) 충혜왕 - 소은병5) ‘보초’유입6) 공양왕 : 저화 (楮貨) - 최초의 지폐(4) 화폐 유통의 한계1) 지급자족의 경제 활동      (cf. 쌀의 자급자족 : 1970년대)2) 귀족의 반발3) 미포, 쌀, 베 등 물품 화폐가 여전히 중요한 비중                       [삼한통보]        [해동통보]4) 조세, 공물을 현물로 거두는 제도cf) 전폐 - 조선 세조 때 주조“목종 선대의 조정에서는 이전의 법도와 양식을 따라서 조서를 반포하고 화폐를 주조하니 수년 만에 돈꿰미가 창고에  가득 차서 화폐를 통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이에 선대의 조정을 이어서 전폐(錢幣)는 사용하고 추포(麤布)를 쓰는 것을 금하게 함으로써 세상을 놀라게 하는 일은, 국가의 이익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한갓 백성들의 원성을 일으키는 것이라 하였다. ~ 문득 근본을 힘쓰는 마음을 지니고서 돈을 사용하는 길을 다시 정하니, 차와 술과 음식 등을 파는 점포들에서는 교역에 전과 같이 전폐를 사용하도록 하고, 그 밖의 백성들이 사사로이 서로 교역하는 데에는 임의로 토산을 쓰도록 하라.” – 고려사2. 고리대업의 성행, 농민의 몰락(1) 고리대 성행(2) 농민 몰락(3) 장생고 : 「일종의 사설 금융 기관」 고리대화3. 보(寶)의 발달 : 공공복리를 위해 만든 일종의 재단(1) 이자를 사업의 경비로 충당하는 것1) 법정이자율 - 1/32) 주로 사원에서 설치 운영3) 통일신라에도 사원에서 보가 설치 되었




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다.(2) 종류1) 제위보 (광종) : 빈민 구제2) 학보 (태조) : 학교 재단3) 광학보 (정종) : 승려의 면학4) 경보 (정종) : 불경 간행5) 팔관보 (문종) : 팔관회의 경비 충당6) 금종보 : 현화사의 범종 주조를 위해 만든 재단7) 기일보(3) 보의 변질 : 이자 취득에만 급급했다.Ⅵ. 무역활동1. 대외 무역(1) 국가의 통제 : 호족(2) 공무역 중심(3) 송, 요 등 활발(4) 벽란도 : 예성강 어귀     [고려의 대외 무역]cf. 삼국시대 : 당항성(한강) ➝ 통일신라 : 울산항(경주 근처) ➝ 고려 : 벽란도 (개경 근처)2. 송과의 무역 (가장 큰 비중)(1) 수입 : 비단, 약재, 서적, 자기(2) 수출 : 종이, 인삼, 나전칠기, 화문석, 먹, 금•은(3) 북송 때 : 벽란도 ➝ 옹진 ➝ 산둥 ➝ 덩저우(4) 남송 때 : 벽란도 ➝ 흑산도 ➝ 밍저우3. 기타 각국과의 무역(1) 거란(요) : 농기구, 목식, 문방구 (수출) ⟷ 은, 모피, 말(수입) (2) 여진 : 농기구, 곡식, 포목 (수출) ⟷ 은, 모피, 말 (수입)(3) 일본 : 식량, 인삼 서적 (수출) ⟷ 황, 수은, 감귤 (수입) = 활발하지는 않음 → 문종 (11세기) 즈음(4) 아라비아 (大食國) : 수은, 향로, 산호 등 수입 : Corea를 알림(5) 원 간섭기 : 공무역 + 사무역 (다시 활발) → 지나친 유출“쌍화점(雙花店)에 쌍화(雙花)사라 가고 신, 회회(回回)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점(店) 밧긔 나명 들명, 다로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 거디러 다로리 다로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잔 티 거츠니 없다.” 해석 ☞ 만두집에 만두 사러 갔더니 만회회(몽고인) 아비 내 손목을 쥐었어요. 이 소문이 가게 밖에 나며 들며하면 다로러거디러 조그마한 새끼 광대 네 말이라 하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그 잠자리에 나도 자러 가리라. 위 위 다로러 거디러 다로러 그 잔 데 같이 답답한 곳 없다. – 쌍화점 1절 (고려가요)“조수가 들고나메 오고 가는 배는 꼬리가 잇대었구나. 아침에 이 다락 밑을 떠나면 한낮이 채 못되어 돛대는 남만 하늘에 들어가누나. 사람들은 배를 가리켜 물 위의 역마라 하지만 나는 바람 쫓는 준마의 굽도 이에 비하면 오히려 더디다 하리. 어찌 구구히 남만의 지경뿐이랴. 이 목도를 빌리면 어느 곳이고 가지 못할 곳이 있으랴.” – 동국이상국집



반응형

'※ Soy 한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33. 고려 초기 불교 사상 (승록사, 의통, 제관, 고려 광종의 불교 정책)  (1) 2013.10.13
[고려] 32. 고려시대 과거제도 (제술업, 명경업, 승과, 식년시, 지공거, 음서제도, 관리등용)  (5) 2013.10.12
[고려] 31. 고려 시대 교육, 교육기관 (교육조서반포, 국자감, 문신월과법, 고려 사학, 12도, 9재 학당, 7재, 섬학전, 경사6학, 청연각, 보문각, 양현고, 서적포, 비서성, 수서원)  (5) 2013.10.11
[고려] 30. 고려시대 역사서 (7대실록, 황주량, 편년통록, 고금록,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연, 김부식, 해동고승전, 동명왕편, 제왕운기, 사략, 이제현, 편년체, 기전체, 기사본말체, 강목체)  (0) 2013.10.10
[고려] 29. 고려 문화 (고려시대 유학, 안향, 백이정, 성리학)  (2) 2013.10.09
[고려] 27. 고려 수공업, 고려 상업 (벽란도, 소금 전매제, 경시서, 관청 수공업, 사원 수공업, 소 수공업)  (2) 2013.10.07
[고려] 26. 고려 경제 (고려 귀족 생활, 고려 농민 경제, 개간, 윤작법, 깊이갈이, 심경법, 시비법, 이앙법 남부, 문익점 목화씨, 농상집요)  (7) 2013.10.06
[고려] 25. 고려 수취 체제 (조세, 공납, 잡세, 호부, 고려 국가 재정)  (2) 2013.10.05
[고려] 24. 고려시대 경제 (고려 농업, 전시과 제도, 역분전, 시정전시과 개정전시과, 별정 전시과 녹과전, 한인전, 외역전, 공음전, 구분전, 민전, 공해전, 내장전, 한외과)  (0) 2013.10.04
[고려] 23. 고려 백성들의 생활 (향도, 자모정식법, 면재법, 사천 매향비, 흑창, 의창, 상평창, 제위보, 고려 풍습, 일부일처제, 고려 성씨, 고려 여성의 지위, 고려 법률)  (4) 2013.10.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