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국사, soy 한국사, soy 국사, 교육, 사회, 학문, 역사, 고려, 고려시대, 소이나는, desert.story.com, 님아이건노이라요,
soy 한국사
(http://desert.tistory.com by 소이나는)
- 재배포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불법 복제를 하지 말아주세요.
5경보다 4서 중시 (4서 :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주자가례 중시, 가묘 건립2. 성리학의 전래 과정(1) 소개 : 충렬왕 때 안향 「주자전서 (朱子語類)」(원 시기) “안향은 학교가 날로 쇠퇴함을 근심하여 양부(兩府)에 의논하기를 “재상의 직무는 인재를 교육하는 것보다 우선하는 것이 없습니다.”하고 ~ 만년에는 항상 [안 향] 회암 선생 (주자)의 초상화를 걸어 놓고 경모하였으므로 드디어 호를 회헌이라 하였다.” – 고려사(2) 수용 초기1) 성리학자들은 불교 철학으로 성리학 체계를 이해하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2) 실천적•윤리적 측면이 매우 강했다. (형이상학적 측면이 약했다.)(3) 백이정이 배워와 이제현, 박충좌 등에게 전수(4) 충선왕 때 이제현 ➝ 이색 등에게 전파(5) 충숙왕 이후 안축, 이곡, 이색 등이 원나라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는 등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6) 확산 : 공민왕 때 이색 ➝ 정몽주(동방 이학의 조), 권근, 정도전* 안향, 백이정 ➝ 이제현, 박충좌 ➝ 이색, 이숭인, 정몽주 ➝ 정도전, 조준, 길재, 권근3. 성리학의 영향(1) 신진 사대부의 사상적 기반 ➝ 조선 개창 이념으로 등장(2) 실천적 기능 강조(3) 유교 의식 보급 : 「소학」이 존중, 「주자가례」가 채용, 가묘(개인 사당)을 세움 (고려 후기)(4) 유학의 성격이 철학적인 유학으로 바뀜(5) 불교 비판T) 정몽주는 배불론을 전개했다? (X)T) 성리학이 전래되면서 고려의 유학은 점차 보수적으로 바뀌었다? (X)☞ 중기가 보수적, 후기는 점차 급진적 (조선의 개창)
댓글